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정향풀, 토끼풀, 은방울꽃,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변산바람꽃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 B.Y.Sun) : 들꽃사랑

    들꽃사랑

  •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 B.Y.Sun) : 가야

    가야

  •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 B.Y.Sun) : 김새벽

    김새벽

  •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 B.Y.Sun) : 파란수국

    파란수국

  •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 B.Y.Sun) : 산들꽃

    산들꽃

  •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 B.Y.Sun) : 산들꽃

    산들꽃

  •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 B.Y.Sun) : 산들꽃

    산들꽃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너도바람꽃속(Eranthis)
국명변산바람꽃(한반도특산식물)(희귀멸종위기 식물 : LC 약관심종)
학명Eranthis byunsanensis B.Y.Sun
원산지한국
분포한국(경기도 수원시; 전라북도 부안군, 진안군; 경상북도 경주시; 울산시; 지리산; 한라산)
전체크기꽃대는 높이 10-30㎝가량.
형태
  • 근생엽은 오각상 둥근 모양이고 길이와 폭은 각각 3-5cm이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선형이다. 줄기잎은 2장으로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 꽃대는 높이 10cm가량이고 꽃자루는 1cm이며 가는 털이 있다. 꽃받침은 흰색이고 5장이며 달걀모양이고 길이 10-15mm이며 꽃잎도 5장이고 퇴화되어 2개로 갈라진 노란 꿀샘이 있다. 꽃밥은 연한 자색이다. 3-4월에 개화한다.
  • 열매는 대과(袋果)로서 길이 1cm이고 암술대는 2-3mm이다. 종자는 여러개가 들어있으며 둥글고 갈색이다. 털이 없고 짧은 열매자루구비. 표면은 평활하고 1-5개이다.
  • 높이 10-30㎝로 털이 없다.
  • 덩이줄기는 구형으로 직경 약 1.5㎝이다.
서식지낙엽수림의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전북 진안군 마이산에서도 해발 300m지역의 조릿대군락 수림하의 전석지에서 생육하고 있다.
▶전북 부안군 내변산의 세봉계곡 해발 100-200m지역의 물이 얕은 계곡 전석지에서 생육한다.
개요산지 숲속의 계곡 주변 및 숲 가장자리의 전석지에서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10~30cm쯤 자란다. 전체적으로 털이 없다. 땅속줄기는 구형으로 직경 1.5cm 내외이다. 뿌리잎은 오각상 원형으로 길이 3~5cm, 크게 세 열편으로 심열하고, 측열편은 또다시 2심렬하며, 각 열편은 깊게 심렬하여 최종적으로 선단부가 둔한 선형으로 되고, 잎자루가 길다. 꽃은 2~4월에 꽃자루 끝에 1개씩 흰색으로 피며, 직경 3cm 정도이다. 모인꽃싸개잎은 2장으로 각각 불규칙하게 3~4개의 열편으로 분열하여 선형으로 된다. 꽃받침은 5~7장으로 난상 타원형이다. 꽃잎은 깔때기 모양으로 4~11개, 황록색으로 선단부가 약간 파인다. 열매는 골돌과로 심피는 2~8개이고, 길이 약 1cm, 3~5월에 성숙한다. 강원도 설악산, 경기도 안양 수리산, 청계산, 경북 주왕산, 경주 토함산, 울산, 경남 거제도, 전북 내변산, 내장산, 마이산, 동상면, 전남 여수, 나로도, 제주도 한라산 등 주로 한반도 중부 이남 지역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꽃은 줄기 끝에서 1개가 흰색으로 피며, 꽃잎 같은 꽃받침이 5~6개, 꿀샘이 명확하지 않은 꽃잎은 항아리 모양인 점에서 꽃잎의 끝부분이 2개로 갈리고, 끝부분에 노란 꿀샘이 잘 발달하는 너도바람꽃과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동정키Kor.J.Plant Tax.vol.23(1)
▶문헌자료
-.이유미ㆍ이원열. 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도서출판생명의나무. 서울.
참고문헌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한국특산식물
등록된 식물 374

식물이름 학명
미치광이풀 Scopolia parviflora (Dunn) Nakai   가지과   미치광이풀속  
바늘엉겅퀴 Cirsium rhinoceros (H.Lev. & Vaniot) Nakai   국화과   엉겅퀴속  
바위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crucilobus H.Lev.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바위송이풀 Pedicularis nigrescens Nakai   현삼과   송이풀속  
바위종덩굴 Clematis calcicola J.S. Kim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반들대사초 Carex splendentissima   사초과   사초속  
백두산구슬붕이 Gentiana takahashii Mori   용담과   용담속  
백설취 Saussurea rectinervis Nakai   국화과   취나물속  
백양더부살이 Orobanche filicicola Nakai ex Hyun   열당과   초종용속  
백운기름나물 Peucedanum hakuunense Nakai   산형과   기름나물속  
백운배나무 Pyrus hakunensis Nakai   장미과   배나무속  
백운산원추리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합과   원추리속  
버들개회나무 Syringa fauriei H.Lev.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Nakai   국화과   참취속  
범의귀 Micranthes furumii (Nakai) M.Kim   범의귀과   구실바위취속  
변산바람꽃 Eranthis byunsanensis B.Y.Sun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변산향유 Elsholtzia byeonsanensis M.Kim   꿀풀과   향유속  
병꽃나무 Weigela subsessilis L.H.Bailey   인동과   병꽃나무속  
병조희풀 Clematis urticifolia Nakai ex Kitag.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보현개별꽃 Pseudostellaria × bohyeonsanensis M.Kim & H.Jo   석죽과   개별꽃속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