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해당화, 금낭화, 토끼풀,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정향풀, 층층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개벼룩,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김의골풀 국가생물종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골풀과(Juncaceae) 2속 (피자식물문/백합강/골풀목)
골풀속(Juncus) 21종
국명김의골풀
학명Juncus baekdusanensis M. Kim
개요Juncus baekdusanensis M. Kim sp. nov. (Figs. 1-3)
Korean name: Gim-ui-gol-pul 김의골풀
Plants perennial, tufed. Rhizome horizontal. Stems terete, 15-
50 cm. Leaves basal and cauline, leaf sheath auricles 1.5-4.5 mm,
leaf blade terete, 7-15 cm × 0.5-1 mm. Inflorescences terminal, 7-
10 cm, 2-flowers in capitate clusters. Involucral bracts 1, leaflike,
1-5.5 cm. Bracteoles 2, ovate. Perianth segments 6, reddish green,
ovate, 3.5-4.0 × 1.0-1.5 mm, margin white scarious, apex acute.
Stamens 6, filaments 2-2.4 mm, anther ca. 0.5 mm. Ovary ca.
2 mm, style ca. 0.7 mm, stigma 3-branched. Capsule ovoid, 4.0-
5.5 mm, longer than perianth. Fl. July, fr. August.
Type Locality: Mt. Baekdu.
Holotype: Mt. Baekdu. July 10, 2014. M. Kim 20140321.
Herbarium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NU).
Isotypes: JNU, KH.
Paratypes: Mt. Baekdu. August 5, 2014. M. Kim 20140345-
20140348 JNU.
Distribution: Mt. Baekdu
Etymology: The specific epithet is derived from Mt. Baekdu
(Baekdusan) where this new species is located. The Korean
name, Gim-ui-gol-pul, comes from general Jwajin Kim wh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army in this area for Korean
independence.
근연종*Key to Juncus baekdusanensis and its related taxa.
1. Inflorescences pseudolateral
2. Stamens 3
3. Perianth segments unequal ················ J. effusus 골풀
3. Perianth segments equal ··· J. setchuensis 푸른갯골풀
2. Stamens 6 ········································· J. haenkei 갯골풀
1. Inflorescences terminal
4. Herbs annual ····························· J. bufonius 애기골풀
참고문헌https://doi.org/10.11110/kjpt.2014.44.4.238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569

식물이름 학명 조회
물골풀 [2/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Juncus gracillimus   골풀과   골풀속   2,448
두메꿩의밥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uzula nipponica   골풀과   꿩의밥속   1,887
대택비녀골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Juncus stygius subsp. americanus   골풀과   골풀속   1,712
눈비녀골풀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Juncus wallichianus   골풀과   골풀속   2,123
날개골풀 [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Juncus alatus   골풀과   골풀속   2,072
꿩의밥 [3/4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uzula capitata   골풀과   꿩의밥속   3,966
구름꿩의밥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uzula oligantha   골풀과   꿩의밥속   1,801
구름골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Juncus triglumis   골풀과   골풀속   1,683
골풀 [3/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Juncus decipiens   골풀과   골풀속   3,687
갯골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Juncus haenkei   골풀과   골풀속   1,945
검정납작골풀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Juncus fauriei   골풀과   골풀속   819
김의골풀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Juncus baekdusanensis   골풀과   골풀속   260
북미골풀 국가표준식물목록 Juncus torreyi   골풀과   골풀속   27
흰비늘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ryopteris maximowicziana   관중과   관중속   2,037
공작지네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ryopteris decipiens   관중과   관중속   77
나도톱지네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ryopteris cycadina   관중과   관중속   84
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Dryopteris kobayashii   관중과   관중속   94
붉은큰족제비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Dryopteris erythrovaria   관중과   관중속   82
괭이귀 국가표준식물목록 Dorcoceras hygrometrica   괭이귀과   괭이귀속   24
큰괭이밥 [4/4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xalis obtriangulata   괭이밥과   괭이밥속   3,470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