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말발도리, 단풍나무, 정향풀, 황기, 토끼풀, 물참대, 미나리냉이, 실별꽃, 해당화,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봉숭아, 사과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섬댕강나무


  • 낙엽활엽관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yellow
* 본종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자료입니다.
인동과(Caprifoliaceae) 9속 (피자식물문/목련강/산토끼꽃목)
댕강나무속(Zabelia) 4종
국명섬댕강나무(희귀멸종위기 식물 : CR 멸종위기종)
학명Abelia coreana var. insularis (Nakai) W.T.Lee & W.K.Paik
원산지한국
분포경북 울릉도에 분포한다.
전체크기높이 80cm정도 자란다.
형태
  • 잎은 대생하며 난형, 넓은 난형,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점첨두 또는 미철두(微凸頭)이며 예저이고 길이 3-5cm로서 상반부에 몇 개의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없다. 엽병은 길이 4~6mm로서 대생한 두 개가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 싼다.
  • 꽃은 5월에 피고 연한 황색이며 가지끝에 달리고 화경에 두 개씩 달리며 화경은 길이 3~4mm로서 털이 없고 소화경도 길이 0.5~1.5m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통도 털이 없으며 길이 7~9mm이고 열편은 4~5개로서 도피침형이며 꽃이 필 때는 길이가 5mm에 달하고 화관통부는 길이 5~7mm이다.
  • 열매는 둥글고 9월에 성숙한다.
  • 높이가 80cm에 달하고 원줄기에 여섯 줄의 홈이 있으며 가지는 붉은 빛이 돌고 털이 없다.
서식지암반이 많은 바위 틈이나 골짜기의 햇빛이 많이 쪼이는 지역에서 자생한다. 특히 댕강나무속이 자라는 곳은 거의 석회암 지대이며 매우 건조한 곳에서도 잘 견딘다.
개요▶댕강나무속은 석회암 지대의 대표적인 식생이다.
▶도동의 섬개야광나무, 섬댕강나무 군락이 천연기념물 제51호로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경북 울릉 남면 도동 ⓑ지정사유:특산식물자생지, ⓒ면적:49,587㎡이다. 도동 항구에서 시가지를 향하여 오른쪽의 암벽 능선을 따라 분포해 있는 군락이다. 이 두 수종은 모두 울릉도 특산종으로 소위 진희한 식물의 자생지로서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절벽처럼 된 곳인데 향나무가 군데군데 자라고 틈틈히 울릉도 특산인 섬기린초의 작은 군락이 있다. 능선에 따라서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가 있었으나 섬개야광나무는 많이 없어졌다.
근연종*http://www.wildgreen.co.kr/bbs/zboard.php?id=class&no=436 참조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본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자료로 도감등록이 제한되었습니다.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73

식물이름 학명 조회
흰괴불나무 [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onicera tatarinowii   인동과   인동속   2,204
구슬댕댕이 [4/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onicera vesicaria   인동과   인동속   2,833
주걱댕강나무 [6/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abelia spathulata   인동과   주걱댕강나무속   3,698
올괴불나무 [4/4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onicera praeflorens   인동과   인동속   4,260
백당나무 [3/8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burnum opulus var. sargentii   인동과   산분꽃나무속   5,678
덜꿩나무 [7/6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burnum erosum   인동과   산분꽃나무속   4,725
넓은잎딱총나무 [0/2] Sambucus latipinna   인동과   딱총나무속   2,579
털댕강나무 [5/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Zabelia biflora   인동과   댕강나무속   4,882
섬댕강나무 Abelia coreana var. insularis   인동과   댕강나무속   44
흰등괴불나무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onicera maximowiczii var. latifolia   인동과   인동속   1,722
두메홍괴불나무 Lonicera maximowiczii   인동과   인동속   32
분홍괴불나무 [4/7] 국가표준식물목록 Lonicera tatarica   인동과   인동속   4,067
산가막살나무 [5/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burnum wrightii   인동과   산분꽃나무속   2,908
산괴불나무 [0/3] Lonicera chrysantha var. crassipes   인동과   인동속   2,787
댕강나무 [4/6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Zabelia tyaihyonii   인동과   댕강나무속   3,757
좀댕강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abelia serrata   인동과   주걱댕강나무속   1,621
바위댕강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Zabelia integrifolia   인동과   댕강나무속   1,604
긴털댕강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Zabelia densipila   인동과   댕강나무속   80
홍괴불나무 [6/2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onicera maximowiczii   인동과   인동속   4,036
분꽃나무 [4/4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burnum carlesii   인동과   산분꽃나무속   4,233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