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말발도리, 단풍나무, 정향풀, 황기, 토끼풀, 물참대, 미나리냉이, 실별꽃, 해당화,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흰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다년초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사초과(Cyperaceae) 20속 (피자식물문/백합강/사초목)
사초속(Carex) 226종
국명흰사초
학명Carex doniana Spreng.
원산지한국
분포한국(전북, 전남), 중국, 일본, 대만, 필리핀, 네팔
전체크기높이는 30-60㎝
형태
  • 잎은 편평하며 폭 5-10mm로서 녹색이지만 뒷면은 회청색이고 질이 연하며 밑부분의 엽초는 갈황색으로서 약간 섬유질이 남는다.
  • 화경(花莖)은 삼각형이며 중앙에 1개의 잎이 달리고 윗부분이 거칠다. 소수(小穗)는 4-6개로서 밑부분의 것은 대가 있으며 밑으로 처지고 웅화수(雄花穗)는 줄기끝에 달리며 길이 3-6㎝로서 선상 원주형이고 연한 녹색이며 곧게 선다. 자화수(雌花穗)는 줄기옆에 달리고 원주형이며 윗부분의 것은 대가 없어 곧추서고 밑부분의 것은 길이 3-7㎝로서 처진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흔히 엽초가 없고 화서보다 길며 자화영(雌花穎)은 긴 타원상 난형으로서 연한 백색이지만 뒷면은 녹색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약간 굵으며 3개로 갈라진다.
  •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수평으로 퍼지고 세모지며 긴 타원상 난형이며 짧은 부리가 있고 길이 3mm정도로서 맥이 많고 연녹색이며 막질이다. 수과는 세모진 넓은 난형이며 헐겁게 들어있다.
  • 총생한다.
  • 근경은 길게 뻗으며 끝에 새싹이 생겨서 곧추 자란다.
서식지▶그늘진 습지에 난다.
개요숲속의 트인 곳이나 길가에서 높이 50~70cm 정도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땅속줄기는 길게 뻗는다. 잎은 줄기와 높이가 비슷하고, 너비 5~10mm이고, 분백색이 돌며 뒷면은 작은 돌기로 덮여 있다. 아래쪽의 잎집은 연한 갈색이다. 꽃차례의 포는 잎과 모양이 같고 잎집은 없다. 꽃은 4~6월에 피는데 가장 위의 작은이삭에는 수꽃만 달리고, 길이 3~6cm로 선형이다. 아래의 줄기 옆에 달리는 여러 개의 작은이삭은 암꽃으로만 구성되고 대가 있어 아래로 처지며, 긴원기둥 모양으로 길이 3~7cm이다. 암꽃의 인편은 밝은 녹색이고 끝이 까락으로 되고 까락의 가장자리는 거칠다. 씨방을 둘러싼 과낭은 인편보다 길고 난형으로 3.5~4.0mm이며 3~5개의 맥이 있다. 과낭 표면에는 털이 없고 부리는 길고 끝은 짧게 갈라진다. 암술머리는 세 개로 갈라진다. 우리나라 경기도에 나며, 일본, 말레이시아 등에 분포한다. 개찌버리사초보다 잎이 넓고 작은이삭의 크기가 매우 길어서 구분되지만, 동일한 종으로 포함시켜서 다루기도 한다. 힌사초라고도 한다.
참고문헌한국식물 도해도감 4 사초과(2016)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우단담배풀 [4/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erbascum thapsus   현삼과   우단담배풀속   3,829
애기물꽈리아재비 [2/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mulus tenellus   현삼과   물꽈리아재비속   3,828
좀깨잎나무 [2/4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spicata   쐐기풀과   모시풀속   3,828
불로화 [4/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eratum houstonianum   국화과   등골나물아재비속   3,827
참쑥 [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rtemisia codonocephala   국화과   쑥속   3,827
처진물봉선 [9/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mpatiens furcillata   봉선화과   봉선화속   3,827
[3/3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Zizania latifolia   벼과   줄속   3,826
자주솜대 [4/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aianthemum bicolor   백합과   두루미꽃속   3,823
콩다닥냉이 [6/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idium virginicum   배추과   다닥냉이속   3,821
각시취 [3/4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ussurea pulchella   국화과   취나물속   3,820
페루꽈리 [4/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Nicandra physalodes   가지과   페루꽈리속   3,820
붉은강낭콩 [2/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aseolus multiflorus   콩과   강낭콩속   3,816
무늬둥굴레 [0/23]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for. variegatum   백합과   둥굴레속   3,815
산꼬리풀 [3/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현삼과   꼬리풀속   3,815
잠자리난초 [3/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abenaria linearifolia   난초과   해오라비난초속   3,814
단양쑥부쟁이 [1/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ter danyangensis   국화과   참취속   3,813
갯쑥부쟁이 [2/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ter hispidus   국화과   참취속   3,811
조름나물 [3/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enyanthes trifoliata   조름나물과   조름나물속   3,810
과꽃 [2/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listephus chinensis   국화과   과꽃속   3,808
모감주나무 [3/5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Koelreuteria paniculata   무환자나무과   모감주나무속   3,808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