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정향풀, 토끼풀, 은방울꽃,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흰물싸리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흰물싸리(Dasiphora mandshurica (Maxim.) Juz.) : 꽃사랑한동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촬영일자2017:06:03 11:55:21감도(ISO)32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부분측광노출시간1/60조리개 값f/9.0촛점거리300/1노출보정-1/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3168 X 2112

    꽃사랑한동구

  • 흰물싸리(Dasiphora mandshurica (Maxim.) Juz.) : 고들빼기EXIF DBViewer카메라제조사Unknown카메라모델명Unknown소프트웨어Digital Photo Professional플래쉬Not Fired원본사진 크기1390 X 2085

    고들빼기

  • 낙엽활엽관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장미과(Rosaceae) 42속 (피자식물문/목련강/장미목)
물싸리속(Dasiphora) 3종
국명흰물싸리
학명Dasiphora mandshurica (Maxim.) Juz.
별명은물싸리
원산지한국
분포러시아 시베리아 동부, 일본, 중국 / 북부지방 고산->아고산지대의 암석 위에 자란다.
전체크기높이 1.5m 정도
형태
  • 잎은 홀수깃모양겹잎이며 어긋나기한다. 소엽은 길이 1~2cm로 긴 타원형이고 3~7개(보통5개)이며 양끝이 좁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며 연모(緣毛)가 있다. 탁엽은 피침형으로서 연갈색이고 털이 있다.
  • 꽃은 6-8월에 백색으로 피며 지름 3cm정도로서 새가지 끝에 달리거나 2-3개가 액생하고 꽃받침열편은 난상 삼각형으로서 겉에 견모가 있으며 황록색이고 부악편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며 첨두로서 연모가 있다. 꽃잎은 황색이고 지름 1.5cm 정도로서 둥글다.
  • 수과는 달걀모양으로 광택이 있으며 긴 털이 있는데 서울지방에서는 잘 결실하지 않는다. 7~9월에 익는다.
  • 높이가 1.5m에 달하고 밑에서 많은 줄기를 내어 큰 포기를 만든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세로로 잘게 갈라지고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있다.
  • 잔근성의 뿌리가 있다.
서식지백두산 등지의 고산지대에서 키가 작은 풀이나 소관목들과 어울려 광범위하게 군락을 이룬다. 성질이 강건하여 재배가 용이하나 여름철의 더위에는 생육상태가 좋지 않다. 척박지에서도 잘 견디며 병충해 발생도 적으나 가능한한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공해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내습성과 내조성도 좋은 편이다.
개요고산지대 초지나 습원, 바위 위에서 자라는 키 1.5m쯤의 낙엽 떨기나무이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며, 작은잎은 3~7장이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1~2cm이다. 잎끝은 뾰족하고, 뒷면에 잔털이 나며, 회녹색을 띠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턱잎은 피침형이고, 연한 갈색 털이 난다. 꽃은 7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5수성이고, 햇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2~3송이씩 달리고, 지름 3cm쯤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난형이고, 7~9월에 익는데 광택이 나며, 긴 털이 퍼져 난다. 한반도 북부지방에 자생하며, 러시아 시베리아 동부,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물싸리와 닮았으나 작은잎의 끝부분이 매우 뾰족하고 꽃 색이 흰색으로 피는 점에서 구분한다. 나무는 관상용, 잎은 말려 차로 대용한다. 은물싸리라고도 부른다.
근연종* ▶물싸리(P. fruticosa L.): 꽃은 지름 3㎝내외이며 선명한 노란색이다.
동정키최근에 원예관상용으로 많이 재배하고 있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2

  • 꽃사랑한동구 2017.06.09 03:34:05 촬영일시 : 20170605 경기 용인시 처인구 한택식물원

    흰물싸리(Dasiphora mandshurica (Maxim.) Juz.) : 고들빼기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촬영일자2017:06:03 11:55:21감도(ISO)32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부분측광노출시간1/60조리개 값f/9.0촛점거리300/1노출보정-1/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3168 X 2112

  • 고들빼기 2023.07.27 21:24:40 촬영일시 : 20230727 강원 평창군 봉평

    흰물싸리(Dasiphora mandshurica (Maxim.) Juz.) : 고들빼기EXIF DBViewer카메라제조사Unknown카메라모델명Unknown소프트웨어Digital Photo Professional플래쉬Not Fired원본사진 크기1390 X 2085

    이효석 문학의 숲 정원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국화잎가막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Bidens maximowicziana   국화과   도깨비바늘속   68
쇠바늘골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leocharis pellucida   사초과   바늘골속   68
자주해변억새 국가표준식물목록 Miscanthus condensatus f. purpurascens   벼과   억새속   68
가는물꼬챙이골 국가표준식물목록 Eleocharis parvinux   사초과   바늘골속   69
개방동사니 국가표준식물목록 Cyperus compressus   사초과   방동사니속   69
실비단분취 국가표준식물목록 Saussurea salicifolia   국화과   취나물속   69
애기활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Crotalaria chrysantha   콩과   활나물속   69
사라구 국가표준식물목록 Sonchus palustris   국화과   방가지똥속   69
송곳잎엉겅퀴 국가표준식물목록 Carthamus lanatus   국화과   잇꽃속   69
어수리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Tordylium maximum   산형과   어수리아재비속   69
꼬마수련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Nymphaea pygmaea   수련과   수련속   70
날개흰방동사니 국가표준식물목록 Cyperus pacificus var. margoinflatus   사초과   방동사니속   70
좀들묵새 국가표준식물목록 Vulpia octoflora   벼과   들묵새속   70
들배나무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yrus uyematsuana   장미과   배나무속   70
물억새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scanthus wangpicheonensis   벼과   억새속   71
미국잔디갈고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esmodium paniculatum   콩과   된장풀속   71
개해당화 Rosa rugosa var. kamtschatica   장미과   장미속   71
미로기름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Peucedanum miroense   산형과   기름나물속   71
개이삭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Poa bulbosa   벼과   포아풀속   71
긴방울고랭이 국가표준식물목록 Scirpus wichurae   사초과   고랭이속   7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