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토끼풀,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한라투구꽃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한라투구꽃(Aconitum quelpaertense Nakai) : 산들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N950N소프트웨어N950NKSU5DVG1촬영일자2022:10:15 13:39:25감도(ISO)4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632조리개 값f/1.7촛점거리430/100조리개 최대개방153/10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26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75 X 1200원본사진 크기4032 X 2268

    산들꽃

  • 한라투구꽃(Aconitum quelpaertense Nakai) : 산들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N950N소프트웨어N950NKSU5DVG1촬영일자2022:10:15 13:39:12감도(ISO)4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918조리개 값f/1.7촛점거리430/100조리개 최대개방153/10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26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75 X 1200원본사진 크기4032 X 2268

    산들꽃

  • 한라투구꽃(Aconitum quelpaertense Nakai) : 산들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N950N소프트웨어N950NKSU5DVG1촬영일자2022:10:15 13:42:25감도(ISO)4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744조리개 값f/1.7촛점거리430/100조리개 최대개방153/10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26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75 X 1200원본사진 크기4032 X 2268

    산들꽃

  • 한라투구꽃(Aconitum quelpaertense Nakai) : 산들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N950N소프트웨어N950NKSU5DVG1촬영일자2022:10:15 13:42:30감도(ISO)4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646조리개 값f/1.7촛점거리430/100조리개 최대개방153/10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26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75 X 1200원본사진 크기4032 X 2268

    산들꽃

  • 여러해살이풀이다.
  • Watery violet, white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23속 (피자식물문/목련강/미나리아재비목)
투구꽃속(Aconitum) 32종
국명한라투구꽃(한반도특산식물)
학명Aconitum quelpaertense Nakai
별명섬오돌도기, 섬진범
전체크기높이가 30~100cm이다.
형태
  • 잎과 꽃이 흰줄바꽃과 유사하나, 꽃은 연한 자주색이다.
  • 줄기가 직립한다.
서식지한라산 해발 500~1,400m 이상의 숲 속에 난다.
개요한라산 해발 500~1,400m 정도의 숲속이나 숲 가장자리에서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45cm~100cm 정도로 자란다.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어긋난다. 잎몸은 오각상 원형으로 다소 깊게 5~7개로 갈리고, 각 열편은 가장자리에 얕은 결각 또는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줄기 끝과 그 근처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연한 자주색으로 여러 개가 붙는다. 작은꽃자루에는 반듯이 옆으로 퍼진 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뒤편의 꽃받침은 윗부분이 길게 신장하여 원통 모양으로 끝부분이 약간 굽는다. 열매는 골돌과로 3개의 암술로 구성되며, 겉에 털이 거의 없다. 제주도 한라산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잎과 꽃이 흰줄바꽃과 유사하나, 꽃은 연한 자주색이므로 다르다. 또한 꽃차례에 반듯이 옆으로 퍼진 털이 있는 점에서 굽은 털이 있는 종들과 식별됨과 동시에 줄기가 곧게 서고, 씨방 및 열매에 털이 거의 없는 점에서 줄기가 꼬이고, 암술 및 열매에 털이 있는 줄바꽃과 구별된다. 관상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뿌리를 약용으로 사용한다. 섬오돌도기, 섬진범이라고도 부른다.
동정키분류학적 검토가 요구된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1

  • 산들꽃 2022.10.15 09:10:52 촬영일시 : 20221015 경북 청송군 부동면

    한라투구꽃(Aconitum quelpaertense Nakai) : 산들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N950N소프트웨어N950NKSU5DVG1촬영일자2022:10:15 13:39:25감도(ISO)4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632조리개 값f/1.7촛점거리430/100조리개 최대개방153/10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26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75 X 1200원본사진 크기4032 X 2268 한라투구꽃(Aconitum quelpaertense Nakai) : 산들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N950N소프트웨어N950NKSU5DVG1촬영일자2022:10:15 13:39:12감도(ISO)4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918조리개 값f/1.7촛점거리430/100조리개 최대개방153/10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26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75 X 1200원본사진 크기4032 X 2268 한라투구꽃(Aconitum quelpaertense Nakai) : 산들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N950N소프트웨어N950NKSU5DVG1촬영일자2022:10:15 13:42:25감도(ISO)4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744조리개 값f/1.7촛점거리430/100조리개 최대개방153/10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26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75 X 1200원본사진 크기4032 X 2268 한라투구꽃(Aconitum quelpaertense Nakai) : 산들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N950N소프트웨어N950NKSU5DVG1촬영일자2022:10:15 13:42:30감도(ISO)4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646조리개 값f/1.7촛점거리430/100조리개 최대개방153/10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26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75 X 1200원본사진 크기4032 X 2268

    한라투구꽃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86

식물이름 학명 조회
매화바람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lianthemum insigne   미나리아재비과   매화바람꽃속   1,430
좀산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acris for. oreodoxa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440
왜젓가락나물 [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nunculus silerifoliu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445
바디풀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topyrum fumarioides   미나리아재비과   바디풀속   1,468
북미나리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nunculus natan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496
좀미나리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nunculus arvensi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521
흰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for. albifloru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526
바이칼꿩의다리 [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halictrum baicalense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1,549
유럽미나리아재비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nunculus muricatu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552
나도마름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Halerpestes salsuginosa   미나리아재비과   덩굴미나리아재비속   1,562
국화바람꽃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emone pseudoaltaica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1,563
남바람꽃 [3/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emone flaccida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1,602
한라투구꽃 [4/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nitum quelpaertense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1,609
키다리바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nitum fischeri var. arcuatum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1,624
좀사위질빵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brevicaudat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1,646
줄바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nitum alboviolaceum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1,654
좀종덩굴 국가표준식물목록 Clematis crassisepal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1,677
작은사위질빵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pierotii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1,686
민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tachiroei for. glabrescen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686
바이칼바람꽃 [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emone baicalensis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1,693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