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황기, 말발도리, 비비추, 낙우송, 장미, 산딸나무, 느티나무, 토끼풀, 실별꽃, 회화나무, 봉숭아, 왕벚나무, 팽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태백기린초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塞翁之馬

    塞翁之馬

  •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별꽃

    별꽃

  •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산들꽃

  •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산들꽃

  •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산들꽃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yellow
  • 취산화서,
돌나물과(Crassulaceae) 7속 (피자식물문/목련강/장미목)
기린초속(Phedimus) 10종
국명태백기린초(한반도특산식물)
학명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원산지한국.
분포강원특별자치도 금대봉, 태백산, 두타산에 난다.
전체크기높이 20cm가량.
형태
  • 잎은 마주나기 또는 어긋나기하고 줄기 끝에 나는 잎은 넓은 달걀모양이며 로제트 모양으로 되고 가장자리에 치아모양톱니가 있으며 길이 3-5cm, 폭 3-4cm이다. 줄기잎은 길이 5-7cm, 폭 3-3.5cm이고, 포는 긴 달걀모양으로 길이 1-2cm, 폭 0.5-1.2cm이다.
  • 꽃은 6월에 피고 노란색이며 5-7송이가 취산꽃차례를 이루고 꽃받침은 5장이며 꽃잎도 5장으로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다. 수술과 암술은 각 10개이며 꿀샘이 암술대 밑에 5개 들러 붙는다.
  • 열매는 골돌이다.
  • 줄기는 모여나기하고 비스듬히 서며 높이는 20cm가량이다.
서식지산지에서 난다.
개요해발고도 1,200m 근처의 산지 양지바른 숲 가장자리와 길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약 20cm 정도이다. 줄기는 여러 개가 모여난다. 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며, 줄기 위쪽의 것은 땅 위에 붙어서 방사상으로 퍼져 뭉쳐나고, 상면이 오목하다. 잎자루가 거의 없다. 잎몸은 타원형으로 길이 5~7cm, 너비 3~3.5cm, 위쪽의 잎몸은 넓은 난형으로 길이 3~5cm, 너비 3~4cm이며, 잎 가장자리에 이모양톱니가 있다. 꽃은 가지 끝의 취산꽃차례에 5~7개가 붙어 6~7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꽃받침과 꽃잎은 5개이고, 꽃잎은 길이 1.2cm로 끝이 꼬리처럼 뾰족해지며, 수술은 10개이며, 암술은 5개로 구성되어 있다. 암술의 기저에 5개의 선체가 발달하여 있다. 열매는 골돌이다. 우리나라 강원도 설악산, 두타산, 태백산, 금대봉 일대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태백기린초는 넓은잎기린초와 비슷하지만 줄기 위쪽에 붙는 잎이 넓은 난형으로 땅 위에 붙어서 방사상으로 퍼져 뭉쳐나는 점으로 구별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근연종* ▶가는기린초(S. aizoon): 잎은 어긋나기, 잎자루가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 난상 피침형이다.
▶넓은잎기린초(S. ellacombianum): 잎은 어긋나기, 다육성, 타원형이다.
▶꿩의비름(S. erythrostichum): 전체가 분백색, 잎은 털이 없으며 잎자루는 짧다.
▶기린초(S. kamtschaticum): 잎은 거꿀달걀모양, 넓은 피침형, 양 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가 없다.
참고문헌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댓글 23

  • 塞翁之馬 2006.05.21 01:32:50 촬영일시 : 2006, 05, 20 한밭수목원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塞翁之馬 2006.05.21 01:33:58 촬영일시 : 2006, 05, 20 한밭수목원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별꽃 2006.08.05 21:38:27 촬영일시 : 2006.8.2 태백산에서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Profile 필릴리 2007.07.09 18:11:05 촬영일시 : 2007.7.6 태백산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그리운 2007.10.07 21:58:33 촬영일시 : 2007. 5. 19. 오대산 한국자생식물원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통통배 2008.04.26 17:42:44 촬영일시 : 2007.7 경기 남양주시 .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통통배 2008.04.26 17:43:42 촬영일시 : 2007.7 경기 하남시 학교화단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꽃사랑 2008.05.25 19:54:16 촬영일시 : 2008.5.24 경기 성남시 수정구 성남식물원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kplant1 2008.12.07 15:16:33 촬영일시 : 08. 10. 2 강원 철원군 매월대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08-12-07 15:17:27 : 참개싱아에서 변경(kplant1)

  • Profile habal 2009.05.30 02:43:57 촬영일시 : 2009.05.24. 강원 태백시 금대봉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Profile habal 2009.05.30 02:45:07 촬영일시 : 2009.05.24. 강원 태백시 금대봉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산들꽃 2009.06.22 21:45:13 촬영일시 : 2009년 6월21일 강원 태백시 금대봉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대구수목원만항재

  • 꽃사랑 2010.05.23 21:35:40 촬영일시 : 20100523 경기 안산시 상록구 안산식물원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Profile 무심거사 2011.06.07 21:17:15 촬영일시 : 20110607 강원 인제군 용대리(식재)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현촌 2011.12.20 06:24:33 촬영일시 : 20110531 충남 아산시 고산초실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Profile 바지랑대 2012.04.16 20:52:26 촬영일시 : 20120413 경기 성남시 수정구 신구대식물원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Profile 바지랑대 2012.06.02 20:40:08 촬영일시 : 20120601 강원 강릉시 오대산자생식물원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곰배령 2012.09.18 22:34:33 촬영일시 : 20110622 강원 평창군 한국자생식물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Profile 설뫼* 2015.01.21 13:00:09 촬영일시 : 20070708 강원 홍천군 응봉산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영춘지맥

  • Profile 도리뫼 2015.06.18 20:56:57 촬영일시 : 20150613 강원 인제군 설악산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Profile 필릴리 2018.07.01 09:42:55 촬영일시 : 20180618 경북 봉화군 청옥산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 Profile 晴嵐 2021.07.26 01:30:47 촬영일시 : 20210724 강원 선택 함백산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태백기린초

  • 산들꽃 2024.05.31 12:27:56 촬영일시 : 20240530 경남 거창군 금원산수목원

    태백기린초(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 산들꽃

    태백기린초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57

식물이름 학명 조회
돌채송화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dum japonicum   돌나물과   돌나물속   3,740
좀바위솔 [2/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stachys minuta   돌나물과   바위솔속   3,995
애기기린초 [2/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edimus middendorffianus   돌나물과   기린초속   4,073
땅채송화 [10/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dum oryzifolium   돌나물과   돌나물속   4,182
바위채송화 [7/6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dum polytrichoides   돌나물과   돌나물속   4,321
정선바위솔 [2/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stachys chongsunensis   돌나물과   바위솔속   4,400
섬기린초 [3/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edimus takesimensis   돌나물과   기린초속   4,489
난쟁이바위솔 [2/3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eterostachys sikokianus   돌나물과   난쟁이바위솔속   4,521
새끼꿩의비름 [2/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ylotelephium viviparum   돌나물과   꿩의비름속   4,619
연화바위솔 [5/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stachys iwarenge   돌나물과   바위솔속   4,867
둥근바위솔 [2/3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stachys malacophylla   돌나물과   바위솔속   5,230
기린초 [4/5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edimus kamtschaticus   돌나물과   기린초속   5,293
둥근잎꿩의비름 [8/5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ylotelephium ussuriense   돌나물과   꿩의비름속   5,351
태백기린초 [5/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edimus latiovalifolius   돌나물과   기린초속   5,516
돌나물 [4/4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dum sarmentosum   돌나물과   돌나물속   5,528
큰꿩의비름 [3/4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ylotelephium spectabile   돌나물과   꿩의비름속   5,740
바위솔 [3/4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stachys japonica   돌나물과   바위솔속   5,917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