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사과나무, 말똥비름, 박태기나무, 은방울꽃, 해바라기,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피나물, 장미, 층층나무, 미나리냉이, 으름덩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큰여우콩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고들빼기

    고들빼기

  •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봄까치꽃

    봄까치꽃

  •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고들빼기

    고들빼기

  •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풀배낭

  • 다년생 덩굴성 식물이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Yellow
  • 총상화서,
콩과(Fabaceae) 52속 (피자식물문/목련강/콩목)
여우콩속(Rhynchosia) 2종
국명큰여우콩
학명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별명뾰족덩굴돌콩
원산지한국
분포중국, 일본 / 전남(무등산, 백양산), 경남(지리산)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3출엽이고 정소엽이 달걀모양 또는 장란형으로 길이 4~8cm, 나비 3~5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둔하거나 둥글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 꽃은 7~8월에 황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포는 길이 2.5~3.5mm이다. 꽃받침은 갈색 털이 있으며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판통보다 짧다. 꽃부리는 나비모양이고 과실은 협과로 긴타원모양이며 적색으로 익고 겉에 잔털이 있으며 종자는 흑색이고 2개씩 들어있다.
  • 열매는 협과, 편평한 긴 타원형으로 길이 15~20mm, 9~10월에 익는데 짧은 털이 있고, 씨가 2개 들어 있다.
  • 갈색 털이 있다.
서식지산야
개요산과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가늘고 길게 덩굴지며, 다른 물체를 감고 자라고, 갈색 털이 듬성하게 있다. 잎은 어긋나며, 3개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다. 가운데 작은잎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4~8cm, 폭 3~5cm,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 앞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는 샘점이 있다. 꽃은 7~8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가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싸개잎은 타원형으로 길이 2.5~3.5cm다. 꽃받침은 종 모양으로 길이 4~5mm, 5갈래로 갈라지며, 갈색 털이 있다. 기판은 둥글며, 익판과 용골판의 길이는 비슷하다. 열매는 협과, 편평한 긴 타원형으로 길이 15~20mm, 9~10월에 익는데 짧은 털이 있고, 씨가 2개 들어 있다. 우리나라 전라도, 경상도 등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여우콩에 비해 가운데 작은잎이 난형이고, 끝은 길게 뾰족하며, 꽃받침의 갈래조각이 통부보다 짧아 구분된다. 씨는 약재로 쓴다. 나도여우콩, 뾰죽덩굴돌콩, 뾰족여우콩이라고도 부른다.
근연종* 여우콩에 비해 가운데 작은잎이 난형이고, 끝은 길게 뾰족하며, 꽃받침의 갈래조각이 통부보다 짧아 구분된다.

댓글 16

  • 고들빼기 2008.08.20 22:42:39 촬영일시 : 2008.8.14 충북 옥천군 대청호변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 풀배낭 2008.10.19 20:33:20 촬영일시 : 2008-10-11 충남 부여군 성태산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 Profile 봄까치꽃 2009.08.21 16:02:29 촬영일시 : 2009-8-18 전남 목포시 유달산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 Profile 능선따라 2009.08.24 23:06:36 촬영일시 : 2009.8.14 경남 하동군 쌍계사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 고들빼기 2009.10.29 21:04:06 촬영일시 : 2009.10.16 충북 옥천군 석호리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 여울목 2006.10.05 17:31:05 촬영일시 : 2006.9.23 지리산 쌍계사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 15-09-10 23:03:27:여우콩에서 변경(여울목)

  • Profile 봄까치꽃 2008.10.01 15:59:07

    잎이 뾰족한 걸로 보아 큰여우콩 아닐까요?

  • 산들꽃 2010.09.29 22:01:40 촬영일시 : 20100904 경북 경주시 내남면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

  • 산들꽃 2010.09.29 22:03:11 촬영일시 : 20100904 경북 경주시 내남면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

  • 곰배령 2013.09.10 18:39:43 촬영일시 : 20130831 전남 장성군 백양사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 Profile 도리뫼 2017.10.04 19:54:24 촬영일시 : 20171002 인천 옹진군 영흥도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 Profile 바지랑대 2017.10.23 10:45:38 촬영일시 : 20171022 충남 태안군 안면도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 Profile 설뫼* 2017.10.24 09:40:09 촬영일시 : 20171022 충남 태안군 안면읍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 Profile 晴嵐 2022.11.07 07:01:50 촬영일시 : 20221106 경기 안산시 단원구 구봉도 해솔길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

  • 산들꽃 2023.08.29 16:30:03 촬영일시 : 20230829 경북 경주시 학동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

  • 산들꽃 2023.12.23 20:09:40 촬영일시 : 20231212 경북 경주시 학동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 풀배낭

    큰여우콩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좀개구리밥 [4/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mna aequinoctialis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속   6,681
가래나무 [8/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Juglans mandshurica   가래나무과   가래나무속   6,639
나비나물 [5/4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cia unijuga   콩과   나비나물속   6,529
팥꽃나무 [4/2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Wikstroemia genkwa   팥꽃나무과   산닥나무속   6,526
굴거리나무 [2/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aphniphyllum macropodum   굴거리나무과   굴거리나무속   6,520
순비기나무 [6/6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tex rotundifolia   마편초과   순비기나무속   6,411
청미래덩굴 [5/9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milax china   백합과   청미래덩굴속   6,404
너도바람꽃 [5/6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anthis stellata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6,394
처녀치마 [3/6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eloniopsis koreana   백합과   처녀치마속   6,388
가는오이풀 [2/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nguisorba × tenuifolia   장미과   오이풀속   6,372
배풍등 [5/6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olanum lyratum   가지과   가지속   6,355
털머위 [3/5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arfugium japonicum   국화과   털머위속   6,333
노루오줌 [4/6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tilbe chinensis   범의귀과   노루오줌속   6,305
산비장이 [5/5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rratula coronata subsp. insularis   국화과   산비장이속   6,301
별꽃 [3/5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tellaria media   석죽과   별꽃속   6,298
참느릅나무 [3/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lmus parvifolia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속   6,290
딱총나무 [5/5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mbucus williamsii   인동과   딱총나무속   6,264
인동덩굴 [4/8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onicera japonica   인동과   인동속   6,256
도깨비가지 [3/4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olanum carolinense   가지과   가지속   6,241
청가시덩굴 [2/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milax sieboldii   백합과   청미래덩굴속   6,219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