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토끼풀,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큰개현삼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塞翁之馬

  •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塞翁之馬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blackish red
  • 원추화서,취산화서,
현삼과(Scrophulariaceae) 29속 (피자식물문/목련강/현삼목)
현삼속(Scrophularia) 8종
국명큰개현삼
학명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별명큰돌현삼
원산지한국
전체크기높이 약 1m이다.
형태
  •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있으며 긴 달걀모양으로서 예첨두이고 절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6~10cm, 폭 3~5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 꽃은 8~9월에 피고 흑자색이며 취산꽃차례는 모여서 전체가 원뿔모양꽃차례로 되고 꽃자루는 길이 7-15mm이다. 꽃받침은 짧으며 5개로 갈라지고 꽃부리는 길이 8-10mm로서 판통이 짧으며 가장자리가 5개로 갈라져서 순형으로 되고 하순이 밑으로 젖혀진다. 꽃대에 샘털이 있다. 수술 4개 중 2개는 길며 꽃대축과 꽃자루에 샘털이 있다.
  • 삭과는 달걀모양으로서 지름 5~8mm이고 2개로 갈라지면서 종자가 나온다.
  •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게 서고 네모지다. 줄기는 자주색이며 가지가 갈라진다.
  • 뿌리는 다육성의 덩이뿌리다.
서식지산지의 풀밭이나 숲 속에서 자란다.
개요높은 산 숲속에 비교적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80~150cm이다. 잎은 마주나며, 긴 난형 또는 좁은 난형, 길이 5~12cm, 폭 3~6cm, 가장자리에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취산꽃차례가 모여서 큰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검붉은 보라색으로, 길이 7~8mm이다. 원추꽃차례는 길이 30cm쯤이다. 꽃받침은 5갈래다. 꽃부리는 단지 모양, 윗입술이 아랫입술보다 길다. 수술은 4개, 2개는 헛수술이다. 열매는 삭과, 넓은 난형, 길이 7~9mm이고, 9~10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이 종에 비해서 현삼은 꽃은 녹색이 도는 노란색이고, 토현삼은 꽃받침 열편의 길이가 폭보다 2배 이상 길고 끝은 뾰족하므로 구분된다. 뿌리를 약용한다. 큰돌현삼이라고도 한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15

  • 塞翁之馬 2006.08.14 00:00:36 촬영일시 : 2006, 08, 09 금산 남이 자연휴양림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 塞翁之馬 2006.08.14 00:04:56 촬영일시 : 2006, 08, 09 금산 남이 자연휴양림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 버들피리 2006.08.17 16:08:43 촬영일시 : 2006.08.13 경기도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 버들피리 2006.08.22 18:26:22 촬영일시 : 2006.08.20 경기도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 고들빼기 2008.08.05 12:51:44 촬영일시 : 2008.7.31 대전 동구 만인산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 여로 2010.08.27 21:46:33 촬영일시 : 20100812 전북 순창군 내장산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 Profile 설뫼* 2010.10.11 13:09:16 촬영일시 : 20101007 충남 아산시 도고산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 Profile 바지랑대 2011.04.14 20:03:08 촬영일시 : 20110414 경기 포천시 왕반산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 Profile 바지랑대 2011.05.09 09:29:25 촬영일시 : 20110508 경기 포천시 왕방산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 현촌 2013.06.17 12:45:20 촬영일시 : 20130616 경기 포천시 석고재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

  • Profile 바지랑대 2013.08.16 10:55:51 촬영일시 : 20130815 경기 의정부시 적석고개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 산들꽃 2014.05.15 07:08:58 촬영일시 : 20140514 경북 경주시 토함산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 14-05-15 18:04:41:토현삼에서 변경(산들꽃)

  • Profile 무심거사 2014.06.17 12:25:00 촬영일시 : 20140613 강원 강릉시 석병산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 Profile 설뫼* 2015.10.28 10:05:53 촬영일시 : 20150823 서울 성북구 북한산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 Profile 도리뫼 2018.05.21 08:11:15 촬영일시 : 20170916 경기 성남시 분당구 불곡산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塞翁之馬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569

식물이름 학명 조회
각시현호색 [1/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ydalis misandra   현호색과   현호색속   3,941
가는괴불주머니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ydalis raddeana   현호색과   현호색속   2,824
날개현호색 [4/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ydalis alata   현호색과   현호색속   2,371
쇠뿔현호색 [2/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ydalis cornupetala   현호색과   현호색속   3,003
수염현호색 [5/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ydalis caudata   현호색과   현호색속   1,934
봉화현호색 [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ydalis bonghwaensis   현호색과   현호색속   370
백두산괴불주머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ydalis speciosa var. chanbaishanensis   현호색과   현호색속   153
누운현호색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ydalis repens   현호색과   현호색속   167
백운현호색 국가표준식물목록 Corydalis baekunnensis   현호색과   현호색속   105
애기현호색 국가표준식물목록 Corydalis fumariifolia   현호색과   현호색속   98
현삼 [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rophularia buergeriana   현삼과   현삼속   2,489
토현삼 [1/2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rophularia koraiensis   현삼과   현삼속   3,585
큰개현삼 [2/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rophularia kakudensis   현삼과   현삼속   3,344
좀현삼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rophularia kakudensis var. microphylla   현삼과   현삼속   1,268
제주현삼 Scrophularia buergeriana var. quelpartensis   현삼과   현삼속   1,407
일월토현삼 [0/2] Scrophularia koraiensis var. melutina   현삼과   현삼속   2,053
섬현삼 [2/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rophularia takesimensis   현삼과   현삼속   1,779
설령개현삼 Scrophularia borealikoreana   현삼과   현삼속   1,336
몽울토현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rophularia cephalantha   현삼과   현삼속   1,748
개현삼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rophularia alata   현삼과   현삼속   3,484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