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비비추, 말발도리, 산딸나무, 느티나무, 미나리냉이, 황기, 토끼풀, 실별꽃, 박태기나무, 봉숭아, 사과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층층장구채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 취산화서,
석죽과(Caryophyllaceae) 21속 (피자식물문/목련강/석죽목)
장구채속(Silene) 23종
국명층층장구채
학명Silene macrostyla Maxim.
별명층층대나물(북한명)
원산지한국
분포우리 나라 북부의 산지에 분포한다.
전체크기높이가 1m
형태
  • 잎은 마주나기하고 피침형 또는 피침상 선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잎겨드랑이에 잎이 밀생한 짧은 가지가 있다.
  • 꽃은 7-8월에 피며 백색이고 취산꽃차례는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위로 올라갈수록 화경이 짧아져서 층층으로 갈린 것같이 보인다. 꽃받침은 짧은 원통형이고 길이 6mm정도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막질이며 꽃잎은 5장이고 거꿀피침모양으로서 끝이 2개로 갈라지며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고 길다.
  • 삭과는 넓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6개로 갈라지고 겉에 꽃받침이 남아 있다.
  • 줄기는 모여나기하고 높이가 1m에 달하며 짧은 털이 다소 있다.
  • 목질화된 굵은 뿌리가 있다.
서식지산지에서 자란다.
개요북부지방의 석회암지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굵고 나무질로 된다. 줄기는 모여나며 곧추서고, 높이 50~100cm, 윗부분은 가지를 치고 밑부분에 잔털이 있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시든다. 줄기잎은 마주나며, 선형 또는 좁은 피침형으로 길이 4~9cm, 폭 5~13mm, 끝은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짧은 털이 있고, 양면에 털이 없다. 꽃은 6~8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를 이루고 위로 갈수록 자루가 짧아져 층층이 모여나는 것처럼 보인다. 꽃받침은 넓은 종 모양, 10개의 보라색 줄이 있다. 꽃잎은 흰색, 5개, 끝은 2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꽃받침의 1/3~1/2 길이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다. 열매는 삭과로 난형, 길이 6mm쯤이고, 7~9월에 익는데 끝이 6갈래로 갈라진다. 한반도 함경도 러시아, 중국 등에 분포한다. 가는다리장구채에 비해 꽃이 층층으로 달리고 암술대가 길며, 잎겨드랑이에 잎이 빽빽하게 달리는 짧은 가지가 있어 구분된다. 전초를 약용한다. 층층대나물이라고도 부른다.
근연종*전체가 분을 뒤집어쓴 것같이 흰빛이 나고, 털이 없다. 잎은 달걀모양, 넓은 피침형, 길이 3-4.5㎝, 잎자루는 없다.
▶울릉대나물(S. foliosa Maxim.): 줄기는 밀생, 잎은 선상 피침형, 길이 3-5㎝, 보통 털이 없다.
▶오랑캐장구채(S. repens Person):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전체에 잔털이 퍼져 있다. 잎은 피침형, 긴 타원상 피침형, 길이 3-5㎜이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카나리아야자나무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oenix canariensis   야자나무과   야자나무속   65
카나리새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alaris canariensis   벼과   갈풀속   1,095
카나다엉겅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irsium arvense   국화과   엉겅퀴속   1,633
[4/5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ueraria lobata   콩과   칡속   4,413
칠엽수 [3/4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esculus turbinata   칠엽수과   칠엽수속   5,139
칠보치마 [7/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etanarthecium luteoviride   백합과   칠보치마속   1,744
칠보개물통이 [0/1] 국가표준식물목록 Parietaria micrantha var. coreana   쐐기풀과   개물통이속   1,519
칠면초 [3/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uaeda japonica   명아주과   나문재속   6,105
치자풀 [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onochasma sheareri   명아주과   치자풀속   323
치자나무 [3/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ardenia jasminoides var. jasminoides   꼭두선이과   치자나무속   3,867
층층지네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ryopteris paomowanensis   면마과   관중속   242
층층장구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macrostyla   석죽과   장구채속   1,386
층층잔대 [4/5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denophora triphylla   초롱꽃과   잔대속   3,904
층층이꽃 [3/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꿀풀과   탑꽃속   3,546
층층둥굴레 [2/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lygonatum stenophyllum   백합과   둥굴레속   4,477
층층나무 [4/4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nus controversa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3,978
층층고랭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adium chinense   사초과   층층고랭이속   1,353
층층고란초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lliguea veitchii   고란초과   고란초속   2,137
층층갈고리둥굴레 [2/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lygonatum sibiricum   백합과   둥굴레속   3,891
층실사초 [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remotiuscula   사초과   사초속   1,479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