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토끼풀,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층꽃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habal

    habal

  •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塞翁之馬

    塞翁之馬

  •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현촌

    현촌

  •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벼루

    벼루

  •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추풍

  • 낙엽 활엽 관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Indigo purple
  • 취산화서,
마편초과(Verbenaceae) 6속 (피자식물문/목련강/꿀풀목)
층꽃나무속(Caryopteris) 2종
국명층꽃나무
학명Caryopteris incana (Thunb.) Miq.
별명층꽃풀, 난향초.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중국, 대만; 경상남도, 전라남도 남쪽 섬 및 제주특별자치도.
전체크기높이 30 ~ 60cm.
형태
  •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형이고 첨두이며 길이와 폭이 각 2 ~ 5cm × 1.5 ~ 3cm로, 표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 밀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5 ~ 10개씩의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 길이는 5 ~ 20mm이다.
  • 취산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 많이 달리고, 꽃은 남보라색이며 꽃부리는 길이 5 ~ 6mm로 겉에 털이 있고, 밑부분 열편이 가장 크며 다시 실처럼 갈라진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깊은 5갈래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으로 8월 말 ~ 10월 초에 개화한다.
  • 열매는 거꿀달걀형이며 편평하고 길이 2mm로 중앙에 능선이 발달하였고, 숙존성의 꽃받침 속에 5개의 열매가 들어 있고, 검은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가장자리에 날개가 발달하며, 9월 중순 ~ 11월 중순에 성숙한다.
  • 윗부분이 겨울동안 죽으며 일년생가지에 털이 밀생한다.
서식지햇볕이 잘 드는 척박하고 건조한 절개 사면지 또는 바위곁에 생육한다.
개요주로 남부 지역 바다 근처 산지 햇볕이 잘 드는 사면이나 바위 겉에서 자라지만 내륙에서도 드물게 자라는 높이 30~60cm 정도의 낙엽 반떨기나무이다. 겨울에 윗부분이 죽으며 소지에는 털이 밀생한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2.5~8cm, 폭 1.5~3cm이다. 잎몸은 난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며, 밑은 넓게 뾰족하거나 자른 모양이다. 잎 뒷면에는 털이 빽빽하게 나 있고, 잎 가장자리에는 5~10쌍의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다. 꽃부리는 벽자색이며 길이 5~6mm로서 겉에 털이 있고 밑부분의 열편이 가장 크며 다시 실처럼 가늘게 갈라진다. 수술은 4개중 2개가 길고 암술대는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 도란형, 편평하고 지름 2mm, 숙존성의 꽃받침 속에 5개씩 모여 달리며 10~11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표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작은 날개가 있다. 우리나라 경상도, 전라도 및 남쪽 섬 지역에서 자라며, 타이완, 일본 혼슈 이남, 중국 중남부 등에 분포한다. 꽃차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층을 이루기 때문에 층꽃나무라는 이름이 생겼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근연종* ▶흰층꽃나무(Caryopteris Miq. for. candida Hara)는 백색꽃이 핀다.
동정키반목본성 식물이다. 지상으로 드러난 밑부분은 목질화하여 살아 있으나 그 윗부분은 죽는다. 속명은 희랍어 karyon(호도)와 pteryx(날개)의 합성어로 종자에 날개가 있음을 나타내고 종명은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음을 나타낸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댓글 63

  • 꽃사랑 2011.10.02 16:17:05 촬영일시 : 20111001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 곰배령 2012.09.17 23:27:13 촬영일시 : 20110920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 Profile johan 2012.10.15 19:00:00 촬영일시 : 20120921 충남 아산시 도고산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 Profile 도리뫼 2013.10.01 21:17:46 촬영일시 : 20131001 서울 광진구 아차산생태공원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식재

  • Profile 추풍 2013.12.15 22:13:59 촬영일시 : 20131001 인천 남동구 인천대공원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 Profile 설뫼* 2014.02.23 09:38:58 촬영일시 : 20090923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 통통배 2014.09.23 10:21:35 촬영일시 : 20140910 제주 제주시 .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자생지에서 꽃 핀 모습을 처음 보았습니다.

    자생지 소개에 보면 제주도를 제외한 이라고 되어있지만

    현무암반을 비스듬히 기어서 꽃대를 피운 모습이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 꽃사랑 2014.09.25 18:57:57 촬영일시 : 20140924 경기 성남시 수정구 신구대식물원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 박용석 2014.10.31 15:03:20 촬영일시 : 20121005 전남 신안군 팔금도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 꽃사랑 2015.09.19 13:18:08 촬영일시 : 20150918 경기 성남시 수정구 신구대식물원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 눈송이 2017.09.17 15:47:42 촬영일시 : 20170917 서울 종로구 창경궁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활짝피지는 않았다

    170924길상사

  • Profile 晴嵐 2021.08.25 00:33:02 촬영일시 : 20210824 경기 선택 물향기수목원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층꽃나무

  • Profile 도리뫼 2023.10.07 18:20:05 촬영일시 : 20231001 전남 여수시 돌산도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Miq.) : 추풍

    층꽃나무, 자생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애기자운 [2/2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ueldenstaedtia verna   콩과   애기자운속   1,993
뿔냉이 [4/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orispora tenella   배추과   뿔냉이속   1,419
할미꽃 [4/9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ulsatilla koreana   미나리아재비과   할미꽃속   5,756
의성개나리 [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orsythia viridissima   물푸레나무과   개나리속   2,799
점현호색 [3/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ydalis maculata   현호색과   현호색속   3,990
산형나도별꽃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olosteum umbellatum   석죽과   산형나도별꽃속   189
꿩의바람꽃 [4/7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emone raddeana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4,480
벌레잡이제비꽃 [3/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guicula vulgaris var. macroceras   통발과   벌레잡이속   2,966
히어리 [3/4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ylopsis coreana   조록나무과   히어리속   7,578
푼지나무 [4/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elastrus flagellaris   노박덩굴과   노박덩굴속   7,215
노루귀 [5/17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epatica asiatica   미나리아재비과   노루귀속   8,535
올괴불나무 [4/4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onicera praeflorens   인동과   인동속   4,257
변산바람꽃 [7/9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anthis byunsanensis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7,334
호비수리 [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spedeza davurica   콩과   싸리속   2,750
참개암나무 [1/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ylus sieboldiana   자작나무과   개암나무속   3,746
풀싸리 [4/3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spedeza thunbergii   콩과   싸리속   3,917
참싸리 [4/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spedeza cyrtobotrya   콩과   싸리속   4,224
싸리 [3/2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spedeza bicolor   콩과   싸리속   3,779
조록싸리 [2/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spedeza maximowiczii   콩과   싸리속   3,644
눈해변싸리 [1/2] 국가표준식물목록 Lespedeza macrovirgata   콩과   싸리속   1,448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