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물참대, 토끼풀, 해당화, 금낭화, 황기, 융단사초, 정향풀, 층층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말발도리,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측백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habal

    habal

  •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현촌

    현촌

  •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현촌

    현촌

  •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塞翁之馬

    塞翁之馬

  •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바지랑대

  • 상록침엽교목 관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yellow,violet
측백나무과(Cupressaceae) 5속 (나자식물문/소나무강/측백나무목)
측백나무속(Platycladus) 1종
국명측백나무(희귀멸종위기 식물 : LC 약관심종)
학명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원산지한국
분포한국(충북, 경북),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등의 아시아지역
전체크기수고 25m, 직경 1m
형태
  • 잎은 비늘모양이며 뾰족하고 중앙부의 것은 도란형, 옆의 것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백색 점이 약간 있다. 잎의 폭은 2~2.5mm로 뒷면에는 작은 줄이 있다.
  • 자웅동주로 수꽃은 전년지 끝에 1개 달리며 길이 2-2.5mm로서 10개의 인편으로 구성되고 각 2-4개의 꽃밥이 있으며 화경이 짧다. 암꽃은 구형이고 지름 2mm로서 연한 자갈색이며 8개의 인편으로 구성되고 각 꽃에 6개의 배아가 있다.
  • 구과는 길이 15-20mm로서 난형이며 8개의 실편이 교호로 대생하고 첫째 1쌍에는 종자가 없으며 둘째 것이 가장 크고 종자가 들어 있으며 구상(鉤狀)의 돌기가 있다. 종자는 한 실편에 2-3개, 한 열매에 2-6(보통 6)개 들어 있고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첨두로서 길이 5mm이고 흑갈색으로 9~10월에 성숙한다.
  • 높이 25m, 지름 1m에 달하는 상록교목이지만 흔히 관목상이다. 수관은 불규칙하게 퍼지고 수피는 회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지고 큰 가지는 적갈색이며 소지는 녹색이고 가늘며 납작하고 수직방향으로 발달한다. 가지는 비늘과 같은 인엽으로 4열생한다.
  • 직근과 측근이 있다.
서식지▶대부분 사람들이 잘 오를 수 없는 절벽지에 회양목과 함께 자라고 있다.
▶석회암지대의 지표식생으로서 내건성과 내한성은 강하나 한풍해에는 약하다.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양수이나 다소 내음성을 가지고 있고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도 강하다.
▶노지에서 월동 생육하고, 보통으로 관수관리한다. 환경내성은 강하며, 이식이 용이하다.
개요측백나무목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이다. 석회암 지대 또는 퇴적암 지대 절벽에서 자란다. 침엽 큰키나무로 높이 25m, 지름 1m에 이른다. 수형은 원뿔 모양이다. 나무껍질은 적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세로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갈라지며 벗겨진다. 어린 가지는 녹색으로 납작하며 수직 방향으로 발달한다. 잎은 비늘 모양으로 V자나 X자 모양으로 겹겹이 배열하며 폭이 2~2.5mm로 뒷면에 작은 줄이 있다. 암수한그루이며 구화수는 3~4월에 가지 끝에 달린다. 수구화수는 길이 2~2.5mm의 타원형이고 갈색을 띤 노란색이며, 10개의 비늘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암구화수는 8개의 비늘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연한 자갈색이고 길이 3mm 정도의 구형이다. 열매는 구과, 난형, 처음에는 분백색이지만 9~10월에 익으면 적갈색으로 변한다. 서양측백나무는 비늘조각이 크고 열매가 타원형이며 종자에 넓은 날개가 있으므로 다르다. 내한성, 내건성, 내공해성이 강하여 관상수로 이용가치가 높다. 조경수, 생울타리로도 심는다. 우리나라 정선, 영월, 단양, 대구, 안동, 영양 등에 자생한다. 세계적으로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근연종*▶천지백(Thuja orientalis L. for. sieboldii Rehder):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 와 빗자루처럼 자란다.
▶누운측백(Thuja koraiensis Nak.): 함경남도 및 금강산등 높은 산의 산정 부근에서 자라며 교목 또는 관목으로 잎의 뒷면이 흰가루로 덮힌 것 같고 종자에 날개가 있으며 잎의 향기가 강하다. 찝빵나무라고도 한다.
▶둥근측백(Thuja orientalis cv.compacts): 주간이 없고 밑둥치 부근에서 여러개의 가지가 나와 전체가 넓은 원추형을 이룬다. 3월 중순-4월 중순, 6월하순-7월상순경에 삽목으로 많이 번식시키고 있으며 해가림이 필요하다.
▶서양측백(Thuja occidentalis) : 흔히 찝방나무라고 하며 북미 원산으로 잎에 짙은 향기가 있는 것이 특징이며 정원수로 가장 많이 쓰이는 측백의하나다.
참고문헌한반도 수목지 3(2019), Yang, J.C., Y.M. Lee, S.H. Oh, J.H. Lee and K.S. Chang. 2012. Illustrated Conifer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254 pp., Sun, B.Y. 2015. Cupressaceae. In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eds.). Flora of Korea. Vol. 1.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Ministry of Enviromoent, Korea. Pp. 177-184.

댓글 31

  • Profile habal 2005.09.04 21:46:57 촬영일시 : 2005.08.27 충남 도고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현촌 2005.11.05 20:28:54 촬영일시 : 20042.04.16. 시화신도시 시가지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현촌 2005.11.05 20:29:25

    즉백나무의 4월의 열매

  • 현촌 2005.11.05 20:31:19 촬영일시 : 2005.09.16. 시화신도시 시가지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측백나무의 열매는 6월부터는 달라 진다.

  • 塞翁之馬 2005.12.30 19:37:06 촬영일시 : 2005. 12. 30 대전 한밭수목원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塞翁之馬 2005.12.30 19:39:01 촬영일시 : 2005. 12. 30 대전 한밭수목원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열매속 씨앗

  • 별꽃 2006.06.03 07:32:03 촬영일시 : 2006.5.7 부천시 상동아파트 단지내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들국화 2006.06.26 17:30:13 촬영일시 : 2006 . 6 . 25 서산휴게소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꽃천사 2006.07.04 13:37:50 촬영일시 : 2006.7.4 농장울타리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들국화 2006.07.06 00:13:31 촬영일시 : 2006 . 7 . 5 용인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Profile 설뫼 2006.08.20 23:03:20 촬영일시 : 2006.8.20.13:12 경기 안양시 만안구 병목안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수리산 최경환(프란치스코) 성지

  • Profile 능선따라 2006.11.16 19:22:28 촬영일시 : 2006.10.29 청도 운문사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석뫼 2007.02.21 15:23:45 촬영일시 : 2007.2.21 경주 안강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측백나무꽃

  • Profile 추풍 2007.03.26 20:41:05 촬영일시 : 2007.3.26 인천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꽃사랑 2007.07.19 12:35:19 촬영일시 : 2007.7.6 인천남동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Profile 추풍 2007.09.29 17:59:21 촬영일시 : 2007.9.28 대구 도동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1962년천연기념물 1호로 지정 된 대구 도동의 측백나무 군락지로
    바위절벽에 군락을 이루고 있습니다

  • 고들빼기 2008.05.13 20:55:34 촬영일시 : 2008.5.10 대전 대덕구 인근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꽃천사 2008.09.21 20:53:24 촬영일시 : 2008.9.20 전북 고창군 흥덕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청암 2008.11.16 00:30:54 촬영일시 : 08.9.22 경기 수원시 팔달구 성빈센트병원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고원근 2009.03.23 20:55:35 촬영일시 : 2009 3월21일 경북 구미시 옥계동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산들꽃 2009.03.23 20:56:24 촬영일시 : 2009 3월21일 경북 구미시 옥계동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Profile habal 2009.07.09 13:54:41 촬영일시 : 2009.06.28. 충북 단양군 매포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군락지 입니다.

  • Profile 봄까치꽃 2009.12.08 15:26:10 촬영일시 : 2009-12-7 전남 목포시 양을산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수피

  • Profile 봄까치꽃 2009.12.08 15:27:06 촬영일시 : 2009-12-7 전남 목포시 양을산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열매

  • Profile 무심거사 2011.06.07 21:21:44 촬영일시 : 20110607 강원 인제군 용대리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Profile 바지랑대 2012.05.11 19:18:36 촬영일시 : 20120511 서울 은평구 북한산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곰배령 2013.08.21 21:09:18 촬영일시 : 20130821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Profile 설뫼* 2015.06.17 16:28:52 촬영일시 : 20150326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수꽃

  • Profile 바지랑대 2016.04.21 12:23:31 촬영일시 : 20160412 대구 동구 북벽향림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 눈송이 2017.06.19 14:48:56 촬영일시 : 20170619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꽃이다

  • Profile 晴嵐 2021.05.29 08:36:26 촬영일시 : 20210527 전남 함평군 손불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 바지랑대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

식물이름 학명 조회
측백나무 [5/3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latycladus orientalis   측백나무과   측백나무속   3,330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