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비비추, 말발도리, 산딸나무, 느티나무, 미나리냉이, 황기, 토끼풀, 실별꽃, 박태기나무, 봉숭아, 사과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천선과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통통배

    통통배

  •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봄까치꽃

    봄까치꽃

  •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麥友

    麥友

  •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통통배

    통통배

  •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무심거사

    무심거사

  •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박용석

  •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박용석

  •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박용석

  • 낙엽활엽관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뽕나무과(Moraceae) 5속 (피자식물문/목련강/쐐기풀목)
무화과나무속(Ficus) 6종
국명천선과나무
학명Ficus erecta Thunb.
별명빈독낭(제주)
원산지한국
분포중국, 일본, 대만, 베트남, 한국(전남, 경남, 제주)
전체크기높이가 2-4m정도이다.
형태
  • 잎은 호생하며 도란상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3.5-20cm로서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없으나 표면에 털이 악간 있는 것도 있고 엽맥이 뚜렷하게 돌출하며 엽병은 길이 1-3cm이다.
  •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5-6월에 새가지의 엽액에서 1개의 화경이 자라고 끝에 3개의 포가 있으며 그 위에 둥근 화낭(花囊)이 있다. 주머니 같은 화낭은 지름 15mm내외로서 그안에 많은 꽃이 들어 있으나, 꽃은 화낭에 싸여 볼 수 없다. 수꽃은 5-6개의 화피열편과 3개 정도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3-5개의 화피열편과 대가 있는 1개의 자방에 짧은 암술대가 있다.
  • 열매는 은화과(隱花果)로 9-10월에 흑자색으로 성숙한다. 화낭이 자라서 열매로 되며 자흑색으로 익으면 식용한다.
  • 높이 2-4m이고 수피는 평활하며 가지는 회백색이고 털이 없다. 새 가지에서 피목(皮目)이 발달하여 무늬처럼 보인다.
서식지바닷가 산록의 양지쪽에서 잘 자란다.
개요바닷가 산지에서 나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높이 2~4m 정도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이다. 나무껍질은 평활하며 가지는 회백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며 잎몸은 도란상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잎끝은 부드럽게 뾰족하고 밑은 원형이거나 심장 모양, 길이 3.5~20cm로서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 1~3cm다.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5~6월에 새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1개의 꽃자루가 자라고 끝에 3개의 꽃싸개잎이 있으며 그 위에 길이 1~2cm의 둥근 꽃주머니(화낭, 花囊)가 있다. 꽃은 이 꽃주머니에 싸여 있어 볼 수 없다. 꽃주머니가 7~8월에 자라서 열매 은화과(隱花果)로 되며 9~10월에 자흑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경상남도, 전라남도, 남해안 섬 지역 및 제주도에서 자생하며 일본 혼슈 이남, 타이완, 베트남, 중국 남부 등에 분포한다. 조경수로 심으며, 어린잎과 열매를 식용한다.
참고문헌368-485.

댓글 20

  • 벼루 2007.01.28 22:30:44 촬영일시 : 2006. 6 제주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동백 곶자왈에서

  • 통통배 2007.06.08 13:25:25 촬영일시 : 2007.5 남해안 섬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 통통배 2008.03.18 18:52:31 촬영일시 : 2008.03 제주 제주시 .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 Profile 봄까치꽃 2008.10.01 14:55:28 촬영일시 : 2008-9-28 전남 진도군 임회면 서망리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 麥友 2009.05.27 20:59:18 촬영일시 : 2008년8월 경남 통영시 한산도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 麥友 2009.05.27 21:00:12 촬영일시 : 2008년8월 경남 통영시 한산도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 꽃천사 2009.08.17 17:14:41 촬영일시 : 2009.8.15 경남 통영시 남망공원 정상부근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 꽃천사 2009.08.17 17:16:23 촬영일시 : 2009.8.15 경남 통영시 달마공원 전망대 부근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 Profile 봄까치꽃 2009.11.01 00:09:39 촬영일시 : 2009-10-31 전남 목포시 유달산 야외식물원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 Profile 봄까치꽃 2009.12.23 13:33:15 촬영일시 : 2009-12-22 전남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 서망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수피

  • 현촌 2011.11.24 19:23:32 촬영일시 : 20111023 충남 아산시 도산초실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 Profile 무심거사 2012.03.01 12:41:37 촬영일시 : 20120213 해외 일본 대마도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 산들꽃 2012.08.12 17:07:48 촬영일시 : 20120805 부산 영도구 태종대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 박용석 2014.10.31 16:08:53 촬영일시 : 20090905 전남 신안군 가거도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열매 모양이 젖꼭지 같다해서

    섬 지역에서는 젖꼭지나무라 부르기도 함

  • Profile 도리뫼 2015.02.22 16:44:49 촬영일시 : 20150220 경남 남해군 양하리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 Profile 설뫼* 2015.11.10 10:32:38 촬영일시 : 20151105 제주 서귀포시 올렛길6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 곰배령 2017.06.21 15:28:05 촬영일시 : 20170619 제주 제주시 차귀도주변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 Profile 추풍 2020.01.24 02:26:50 촬영일시 : 20190530 제주 제주시 한라수목원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

  • Profile 晴嵐 2021.10.24 02:38:29 촬영일시 : 20211023 경남 사천시 향촌동 해안 암벽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천선과나무

  • Profile 晴嵐 2024.05.22 16:45:45 촬영일시 : 20240522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 박용석

    천선과나무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2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애기모람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icus thunbergii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   13
가거애기닥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Broussonetia × kazinoki f. koreana   뽕나무과   닥나무속   18
마주잎꾸지나무 Broussonetia papyrifera for. oppositifolia   뽕나무과   닥나무속   20
민꾸지나무 Broussonetia papyrifera for. lucida   뽕나무과   닥나무속   22
붉은대산뽕 Morus bombycis var. rubricaulis   뽕나무과   뽕나무속   1,581
섬뽕나무 [0/1]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orus bombycis var. maritima   뽕나무과   뽕나무속   1,604
애기닥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oussonetia × kazinoki   뽕나무과   닥나무속   1,760
꼬리뽕나무 Morus bombycis var. caudatifolia   뽕나무과   뽕나무속   1,901
몽고뽕나무 [3/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orus mongolica   뽕나무과   뽕나무속   1,978
돌뽕나무 [3/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orus cathayana   뽕나무과   뽕나무속   2,102
처진뽕나무 [0/4] Morus alba for. pendula   뽕나무과   뽕나무속   2,837
뽕나무 [5/3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orus alba   뽕나무과   뽕나무속   2,929
무화과나무 [7/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icus carica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   3,135
꾸지나무 [4/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oussonetia papyrifera   뽕나무과   닥나무속   3,187
좁은잎천선과 [4/9] 국가표준식물목록 Ficus erecta f. sieboldii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   3,514
왕모람 [4/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icus pumila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   3,801
닥나무 [5/4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oussonetia × hanjiana   뽕나무과   닥나무속   4,175
가새뽕나무 [0/19] Morus bombycis for. dissecta   뽕나무과   뽕나무속   4,270
산뽕나무 [4/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orus bombycis   뽕나무과   뽕나무속   4,455
천선과나무 [8/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icus erecta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   4,724

  • 1
  • 2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