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비비추, 말발도리, 산딸나무, 느티나무, 미나리냉이, 황기, 토끼풀, 실별꽃, 박태기나무, 봉숭아, 사과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참반디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벼루

    벼루

  •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무심거사

    무심거사

  •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바지랑대

    바지랑대

  •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여울목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 산형화서,
산형과(Apiaceae) 45속 (피자식물문/목련강/미나리목)   ---->미나리과(Apiaceae)
참반디속(Sanicula) 3종
국명참반디
학명Sanicula chinensis Bunge
별명참바디
원산지한국
분포전국 각처
전체크기높이 15~100cm
형태
  • 근생엽은 지름 5~10cm로서 밑부분까지 3개로 갈라지며 측열편은 다시 2개로 갈라져 5개로 갈라진 손모양겹잎과 비슷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심하게 주름지고 뒷면의 잎맥이 튀어나오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0-20cm이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엽병이 점점 짧아져서 마침내 없어지고 옆의 것이 갈라지지 않으며 엽병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 꽃은 7월에 피고 백색이며 정생하는 겹우산모양꽃차례에 달리고 소산경은 길이 3-20mm이며 양성꽃의 수꽃은 가장자리에 달려 어긋나기하고 꽃자루가 길며 양성꽃은 중앙부에 달리고 꽃자루가 없다.
  • 열매는 2~4개씩 모여 있으며 대가 없고 난상 구형으로서 바늘같은 꽃받침과 더불어 길이 5-6mm이며 달걀모양이고 표면에 있는 갈고리 모양의 가시는 길이 1.5mm정도이다. 분과, 9월에 익는다.
  • 줄기의 높이는 15~100cm이고 곧게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 뿌리는 짧고 굵다.
서식지보수력이 높고 배수양호한 사질토양이 좋으며 유기질이 풍부한 토양에서 잘 자라며, 전국의 산간 음지에서 자란다.
개요산지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80cm다. 잎은 작은잎 3장으로 된 겹잎이며, 양쪽 작은잎은 2갈래로 깊게 갈라져서 손바닥 모양처럼 되며, 작은잎은 길이 4~10cm다. 잎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뿌리잎이 길이 7~30cm며 줄기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꽃은 7~8월에 녹색 또는 흰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에서 난 꽃대에 몇 개씩 모여 산형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 가장자리에는 수꽃이 달리고, 안쪽에는 양성꽃이 달린다. 모인꽃싸개잎은 잎 모양이며, 3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작은꽃싸개잎은 8~10장, 선형으로 길이 1~2mm다. 꽃잎은 5장, 도란형, 끝이 안쪽으로 말린다. 열매는 분과, 둥근 난형, 열매자루가 없고, 9월에 익으며, 겉에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붉은참반디에 비해 꽃은 여름에 피고 자주색 또는 흰색이고, 줄기와 꽃차례는 가지가 갈라지므로 구분된다. 또한 열매는 끝이 갈고리처럼 굽은 가시털인 반면, 붉은참반디와 애기참반디는 아래쪽이 돌기 모양이므로 구별된다. 어린순은 식용하며, 뿌리줄기는 약용한다. 참바디나물, 참반듸라고도 한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댓글 23

  • 벼루 2006.02.25 06:26:57 촬영일시 : 2005. 7 태백산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여울목 2006.09.17 22:22:37 촬영일시 : 2006.9.11 계룡산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여울목 2006.09.17 22:23:07 촬영일시 : 2006.9.11 계룡산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塞翁之馬 2006.09.26 23:58:19 촬영일시 : 2006, 09, 19 대전 만인산 자연휴양림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塞翁之馬 2006.09.27 00:01:55 촬영일시 : 2006, 09, 19 대전 만인산 자연휴양림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버들피리 2007.07.28 10:05:22 촬영일시 : 2007.07.17 경기도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버들피리 2007.07.28 10:06:36 촬영일시 : 2007.07.17 경기도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Profile 추풍 2008.06.29 21:25:23 촬영일시 : 2008.6.27 경북 문경시 조령산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Profile 추풍 2008.06.29 21:26:10 촬영일시 : 2008.6.27 경북 문경시 조령산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푸른산야 2008.08.02 23:51:33 촬영일시 : 2008.08.02 부산 금정구 금정산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푸른산야 2008.08.02 23:52:57 촬영일시 : 2008.08.02 부산 금정구 금정산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통통배 2009.06.18 20:54:01 촬영일시 : 2009.06 경북 울릉군 .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Profile 추풍 2010.06.29 12:03:08 촬영일시 : 20100625 경기 남양주시 천마산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Profile 설뫼 2010.12.19 09:40:47 촬영일시 : 20101015 경기 남양주시 운길산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Profile 무심거사 2011.06.13 23:53:04 촬영일시 : 20110611 경기 포천시 죽엽산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Profile 바지랑대 2011.06.28 22:04:09 촬영일시 : 20110628 경기 광주시 무갑산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Profile 바지랑대 2011.08.20 21:35:15 촬영일시 : 20110818 강원 홍천군 서석면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Profile 설뫼 2013.01.26 22:43:38 촬영일시 : 20110818 강원 홍천군 서석면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홍천국유림

  • Profile 도리뫼 2013.07.16 20:00:37 촬영일시 : 20130716 경기 성남시 분당구 불곡산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산들꽃 2013.08.19 06:33:49 촬영일시 : 20130818 강원 원주시 아흔하홉계곡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Profile 추풍 2013.11.16 00:34:16 촬영일시 : 20130825 경기 양평군 사나사계곡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 Profile 晴嵐 2021.07.06 03:54:20 촬영일시 : 20210705 강원 선택 홍천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참반디

  • 고들빼기 2023.07.27 21:16:41 촬영일시 : 20230727 강원 평창군 봉평

    참반디(Sanicula chinensis Bunge) : 여울목

    참반디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17

식물이름 학명 조회
갈기기름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Peucedanum chujaense   산형과   기름나물속   69
어수리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Tordylium maximum   산형과   어수리아재비속   69
미로기름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Peucedanum miroense   산형과   기름나물속   71
동강기름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Peucedanum tongkangense   산형과   기름나물속   75
유럽독미나리 국가표준식물목록 Aethusa cynapium   산형과   유럽독미나리속   76
병풀아재비 [3/1] 국가표준식물목록 Bowlesia incana   산형과   병풀아재비속   87
쟁반시호 국가표준식물목록 Bupleurum lancifolium   산형과   시호속   99
큰산참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mpinella calycina   산형과   참나물속   101
난쟁이시호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upleurum bicaule   산형과   시호속   107
선당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aucus carota subsp. maritimus   산형과   당근속   114
두메시호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upleurum chinense   산형과   시호속   115
두메방풍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eucedanum terebinthaceum var. paishanense   산형과   기름나물속   117
산궁궁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nioselinum smithii   산형과   산천궁속   124
섬기름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eucedanum litorale   산형과   기름나물속   128
백약이참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mpinella saxifraga   산형과   참나물속   185
갈래잎어수리 [3/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eracleum dissectum   산형과   어수리속   190
전호아재비 [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aerophyllum tainturieri   산형과   전호아재비속   772
이란미나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saea heterocarpa   산형과   이란미나리속   941
짧은사상자 Osmorhiza aristata var. montana   산형과   긴사상자속   1,229
좀시호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upleurum sachalinense   산형과   시호속   1,247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