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토끼풀,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말똥비름,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좁은잎흑삼릉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좁은잎흑삼릉(Sparganium hyperboreum Laest. ex Beurl.) : 통통배

    통통배

  • 수생 다년초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부들과(Typhaceae) 2속 (피자식물문/백합강/부들목)   ---->흑삼릉과(Sparganiaceae)
흑삼릉속(Sparganium) 7종
국명좁은잎흑삼릉(희귀멸종위기 식물 : DD 자료부족종)
학명Sparganium hyperboreum Laest. ex Beurl.
원산지한국
분포한국(함북, 양강),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 북미
전체크기높이는 30-50㎝.
형태
  • 잎은 길게 자라서 물 위에 뜨며 나비 2-4㎜이고 뒷면에 능선이 없다.
  • 7-8월에 잎 사이에서 화경(花莖)이 나오지만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꽃은 일가화로서 두상으로 모여 달리며 웅화수는 대개 서로 접근하여 달리고 자화수는 2-4개로서 익으면 지름이 7-10mm에 달하며 처음에는 1-2개가 포액보다 약간 위에 달리고 짧은 대가 있으며 대는 길이 12mm정도이다. 암술대는 길이 3㎜, 암술머리는 선형, 길이 1㎜이다. 화피 밑에 길이 1mm정도의 대가 있다.
  • 열매는 길이 4-5㎜로서 짧은 대가 있고 방추형이며 암술대는 길이 3mm정도이다.
  • 높이 30-50cm이다.
서식지▶물 속에 자란다.
개요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수생식물이다. 줄기는 가늘고 물에 잠기며 길이 30~80cm이다. 잎은 선형, 물에 뜨며 길이 30~40cm, 폭 1~3mm, 편평하다. 줄기는 갈라지지 않는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머리양꽃차례 여러 개가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그 길이는 5~7cm이다. 줄기 위쪽은 수꽃 머리모양꽃차례가 1~2개 달리고, 아래쪽으로 암꽃 머리모양꽃차례가 2~3개 달린다. 수꽃의 화피편은 길이 2~2.5mm, 수술대는 짧고 꽃밥은 길이 1mm 정도이다. 암꽃의 화피편은 길이 1.5mm 정도, 암술대는 매우 짧거나 없고, 암술머리는 길이 1mm 정도이다. 열매는 긴 방추형, 길이 4mm 정도이며 능각이 없다. 한반도 북부지방에 자생하며, 북반구 아한대에 분포한다. 흑삼릉에 비해 잎이 가늘고 연약하며 물에 뜨고, 수꽃 머리모양꽃차례는 보통 1개이고, 가장 밑에 달리는 암꽃 머리모양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며, 암술대가 짧아서 거의 없는 것처럼 보이므로 구분된다. 물가래, 좁은잎흑삼능이라고도 부른다.
참고문헌한국식물 도해도감 Ⅴ. 골풀과, 곡정초과, 부들과(2019)

댓글 4

  • 통통배 2009.11.11 15:21:52 촬영일시 : 2006.07 북한 백두산 .

    좁은잎흑삼릉(Sparganium hyperboreum Laest. ex Beurl.) : 통통배

    왕지에서 촬영하였습니다. 최근까지 이름을 모르다가 수생식물 분야 전문가가 동정해 주었습니다.

  • 통통배 2013.08.23 16:03:55

    이게 남흑삼릉으로 최근 재동정되었답니다. 고쳐주시면...

  • 통통배 2013.08.23 16:11:00 촬영일시 : 20130801 해외 중국 백두산

    좁은잎흑삼릉(Sparganium hyperboreum Laest. ex Beurl.) : 통통배 좁은잎흑삼릉(Sparganium hyperboreum Laest. ex Beurl.) : 통통배

    잎뒷면에 능선이 없습니다.

    흑삼릉과 비교해 보세요.

  • Profile 晴嵐 2021.07.06 03:52:41 촬영일시 : 20210705 강원 선택 고성

    좁은잎흑삼릉(Sparganium hyperboreum Laest. ex Beurl.) : 통통배 좁은잎흑삼릉(Sparganium hyperboreum Laest. ex Beurl.) : 통통배 좁은잎흑삼릉(Sparganium hyperboreum Laest. ex Beurl.) : 통통배 좁은잎흑삼릉(Sparganium hyperboreum Laest. ex Beurl.) : 통통배

    좁은잎흑삼릉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미국느릅나무 [0/1]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lmus americana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속   67
애기무궁화 [0/1] Hibiscus syriacus var. micranthus   아욱과   무궁화속   1,981
미국낙상홍 [3/11]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lex verticillata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272
푸른산들깨 [0/9] Mosla japonica var. robusta   꿀풀과   쥐깨풀속   2,864
[1/3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Wisteria floribunda   콩과   등속   2,554
큰잎쓴풀 [2/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wertia wilfordii   용담과   쓴풀속   3,883
이질풀 [4/6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eranium thunbergii   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   4,176
나무수국 [4/3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ydrangea paniculata for. paniculata   범의귀과   수국속   4,423
마편초 [7/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erbena officinalis   마편초과   마편초속   3,038
참제비고깔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elphinium ornatum   미나리아재비과   제비고깔속   3,550
깨꽃 [2/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lvia splendens   꿀풀과   배암차즈기속   2,498
부싯깃고사리 [3/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eilanthes argentea   비고사리과   개부싯깃고사리속   2,515
처녀바디 [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cartilaginomarginata   산형과   당귀속   2,866
솔새 [2/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hemeda triandra   벼과   솔새속   2,873
자라풀 [2/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ydrocharis dubia   자라풀과   자라풀속   3,312
흰오이풀 [1/5]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nguisorba stipulata for. alba   장미과   오이풀속   3,434
좀개미취 [3/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ter maackii   국화과   참취속   5,476
산여뀌 [6/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ersicaria nepalensis   마디풀과   여뀌속   2,659
세잎쥐손이 [5/3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eranium wilfordii   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   4,400
속새 [3/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quisetum hyemale   속새과   속새속   4,499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