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물참대, 토끼풀, 해당화, 금낭화, 황기, 정향풀,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말발도리, 단풍나무, 코스모스,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좀다람쥐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좀다람쥐꼬리(Huperzia selago (L.) Bernh. ex Schrank & Mart.) : 통통배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CYBERSHOT촬영일자2006:07:01 11:58:26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000조리개 값f/4.0촛점거리97/10조리개 최대개방33/16노출보정-7/10플래쉬Not Fired사진 크기600 X 800원본사진 크기600 X 800

    통통배

  • 상록 다년초
석송과(Lycopodiaceae) 2속 (양치식물문/석송강/석송목)
뱀톱속(Huperzia) 8종
국명좀다람쥐꼬리(희귀멸종위기 식물 : EN 위기종)
학명Huperzia selago (L.) Bernh. ex Schrank & Mart.
원산지한국
분포북반구 한대, 온대
전체크기높이 3-10㎝
형태
  • 잎은 중간에서 윗부분이 좁아진다. 잎은 총생하고 선상 피침형으로서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퍼지지만 윗부분은 안쪽으로 굽어져서 원줄기와 평행해지며 중륵이 없고 길이 3-5mm, 폭 0.7-1mm로서 밑에서는 양쪽 가장자리가 거의 평행해지지만 위에서부터 1/3정도에서 좁아져 끝이 뾰족해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이 넓지 않다.
  • 포자낭은 신장형이며 윗부분의 엽액에 1개씩 달린다.
  • 길이 3-12cm로 자라며, 밑쪽에 가지가 갈라지지 않거나- 2회 갈라진다.
  • 원줄기의 밑부분은 비스듬히 자라기 때문에 땅에 닿는 곳에서 뿌리가 내린다.
서식지고산의 그늘진 습지
개요높은 산의 숲속 양지바른 곳에서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하는 양치식물이다. 식물체가 다소 단단하고 윤기가 돈다. 줄기는 갈라지지 않거나, 밑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길이 5~10cm이다. 잎은 줄기에 빽빽하게 돌려나며,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3~5mm, 폭 0.6~0.8mm,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중앙부까지 평행하다가 점차로 좁아지며, 짙은 황록색으로 광택이 있다. 무성아는 줄기 끝에 달린다. 포자낭은 가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신장형이다. 포자는 7~10월에 익는다. 한반도 중부 이북에 나며, 북반구 온대에 분포한다. 다람쥐꼬리에 비해 잎이 선상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으로 가장자리는 중앙부까지 평행하다가 점차로 좁아지므로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댓글 3

  • 통통배 2008.11.03 16:31:22 촬영일시 : 2006.7 북한 백두산 .

    좀다람쥐꼬리(Huperzia selago (L.) Bernh. ex Schrank & Mart.) : 통통배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CYBERSHOT촬영일자2006:07:01 11:58:26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000조리개 값f/4.0촛점거리97/10조리개 최대개방33/16노출보정-7/10플래쉬Not Fired사진 크기600 X 800원본사진 크기600 X 800


    * 09-01-29 13:13:11 : 다람쥐꼬리에서 변경(통통배)

  • 통통배 2009.01.28 16:47:21 촬영일시 : 2006.7 북한 백두산 .

    좀다람쥐꼬리(Huperzia selago (L.) Bernh. ex Schrank & Mart.) : 통통배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CYBERSHOT촬영일자2006:07:01 11:58:38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800조리개 값f/4.0촛점거리97/10조리개 최대개방33/16노출보정-7/10플래쉬Not Fired화이트밸런스Manual사진 크기600 X 800원본사진 크기1920 X 2560

  • 통통배 2014.06.11 14:42:50 촬영일시 : 20110627 해외 중국 백두산

    좀다람쥐꼬리(Huperzia selago (L.) Bernh. ex Schrank & Mart.) : 통통배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200소프트웨어Ver.2.00 촬영일자2011:06:27 11:18:50감도(ISO)5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1000조리개 값f/4.5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5/10노출보정-2/6플래쉬5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86 X 1024원본사진 크기800 X 1195 좀다람쥐꼬리(Huperzia selago (L.) Bernh. ex Schrank & Mart.) : 통통배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200소프트웨어Ver.2.00 촬영일자2011:06:27 11:21:08감도(ISO)5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1250조리개 값f/5.6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4/10노출보정-2/6플래쉬Not Fired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6원본사진 크기1195 X 800 좀다람쥐꼬리(Huperzia selago (L.) Bernh. ex Schrank & Mart.) : 통통배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CYBERSHOT촬영일자2006:07:01 11:58:38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800조리개 값f/4.0촛점거리97/10조리개 최대개방33/16노출보정-7/10플래쉬Not Fired화이트밸런스Manual사진 크기686 X 1024원본사진 크기800 X 1195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7

식물이름 학명 조회
긴다람쥐꼬리 [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uperzia jejuensis   석송과   뱀톱속   193
줄석송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uperzia sieboldii   석송과   뱀톱속   1,589
좀다람쥐꼬리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uperzia selago   석송과   뱀톱속   2,074
왕다람쥐꼬리 [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uperzia cryptomerina   석송과   뱀톱속   1,860
다람쥐꼬리 [1/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uperzia miyoshiana   석송과   뱀톱속   6,124
백두다람쥐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uperzia asiatica   석송과   뱀톱속   58
뱀톱 [2/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uperzia serrata   석송과   뱀톱속   3,770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