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좀다닥냉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2년생 초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 총상화서,
배추과(Brassicaceae) 39속 (피자식물문/목련강/풍접초목)   ---->십자화과(Brassicaceae)
다닥냉이속(Lepidium) 13종
국명좀다닥냉이(외래식물)
학명Lepidium ruderale L.
원산지유럽
분포충무의 바닷가 길 옆에서 자라고 있다.
전체크기높이 30㎝
형태
  • 근생엽(根生葉)은 2회 깃모양겹잎이고 줄기잎은 1회 깃모양겹잎, 갈래는 선형,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1-2개의 톱니가 있다.
  • 5-6월경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가 달리며 백색이다. 꽃받침조각은 선형이며 꽃잎은 없고 수술은 2개이다.
  • 열매는 단각, 넓은 타원형 또는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2-3㎜로서 겉에 그물 무늬가 있다.
  •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으로 퍼진다.
개요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건조한 풀밭이나 모래땅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20~50cm,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전체에 매우 작은 털이 있다. 뿌리잎은 긴 타원형으로 2회 깃꼴로 갈라진다. 줄기잎은 뿌리잎보다 작고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녹색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 길이 0.5~1.0mm이다. 꽃잎은 거의 발달하지 않는다. 수술은 2개, 암술은 1개다. 열매는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1.5~2.5mm, 끝에 좁은 날개가 있다. 씨는 갈색이며 타원형으로 길이 1.0~1.5mm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8년 인천 월미도에서 처음으로 채집, 기록되었다. 유럽에도 귀화하여 분포하며, 유럽에 분포한다. 이 종은 열매 크기가 다닥냉이보다 작은 특징에 의해 좀다닥냉이로 국명이 신칭되었다. 어린순을 식용하며, 종자를 약용한다. 미륵냉이라고도 한다.
근연종* ▶콩말냉이(L. virginicum): 근생엽은 톱니가 있고, 줄기잎도 톱니가 있다. 열매의 길이는 2.5-3㎜이다.
동정키▶충무 앞 미륵산록에서 처음 발견했기 때문에 미륵냉이라고 한다.
참고문헌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XII) (박수현, 1998)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569

식물이름 학명 조회
왕느릅나무 [1/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lmus macrocarpa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속   3,028
비술나무 [5/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lmus pumila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속   5,209
당느릅나무 [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lmus davidiana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속   2,232
느릅나무 [3/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속   4,820
난티나무 [2/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lmus laciniata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속   3,627
미국느릅나무 [0/1]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lmus americana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속   68
느티나무 [4/3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Zelkova serrata   느릅나무과   느티나무속   5,044
능소화 [3/5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mpsis grandiflora   능소화과   능소화속   4,960
나팔능소화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mpsis × tagliabuana   능소화과   능소화속   43
미국능소화 [3/9]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mpsis radicans   능소화과   능소화속   86
큰잎다닥냉이 [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idium draba   배추과   다닥냉이속   1,386
큰다닥냉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idium sativum   배추과   다닥냉이속   1,823
콩다닥냉이 [6/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idium virginicum   배추과   다닥냉이속   3,822
좀다닥냉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idium ruderale   배추과   다닥냉이속   1,369
앉은잎다닥냉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idium cordatum   배추과   다닥냉이속   1,230
시베리아다닥냉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idium sibiricum   배추과   다닥냉이속   1,274
들다닥냉이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idium campestre   배추과   다닥냉이속   1,924
대부도냉이 [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idium perfoliatum   배추과   다닥냉이속   1,334
다닥냉이 [2/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idium apetalum   배추과   다닥냉이속   3,347
국화잎다닥냉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idium bonariense   배추과   다닥냉이속   1,519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