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융단사초,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좀꼬리까치밥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좀꼬리까치밥나무(Ribes komarovii Pojark. var. breviracemum (Nakai) T.B.Lee) : kplant1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PowerShot G9촬영일자2009:11:17 00:26:58감도(ISO)160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60조리개 값f/2.8촛점거리7400/1000조리개 최대개방95/32노출보정0/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3264 X 2448

    kplant1

  • 낙엽활엽관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Yellow
  • 총상화서,
범의귀과(Saxifragaceae) 17속 (피자식물문/목련강/장미목)
까치밥나무속(Ribes) 18종
국명좀꼬리까치밥나무
학명Ribes komarovii Pojark. var. breviracemum (Nakai) T.B.Lee
원산지한국
분포러시아 우수리 / 전라북도, 경상북도 및 평안남도, 함경북도에서 자란다.
전체크기높이 2.5m에 달한다.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며 난상 원형이고 첨두, 예저로 길이 3-4cm이며 대개 3-5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위에 샘털이 있다.
  • 꽃은 이가화로 총상꽃차례에 샘털이 있으며, 포는 떨어지고 암꽃화서는 길이 5cm정도이고, 수꽃의 꽃받침통은 술잔모양이며 꽃받침조각은 둥글고 꽃잎은 도란상 타원형이며 수술이 꽃잎보다 길다. 암꽃에 있어서 씨방은 거꿀달걀모양이고 털이 없으며 꽃받침조각은 타원형이고 4월에 황색으로 개화한다.
  • 열매는 구형으로 7월에 붉은 색으로 성숙한다. 과서의 길이가 1㎝정도로서 짧다.
  • 높이가 2.5m에 달하고 가지에 털이 없다.
근연종*▶꼬리까치밥나무(R. komarovii A. Pojark.)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2

  • kplant1 2012.11.24 09:15:47 촬영일시 : 20120910 강원 평창군 계방산

    좀꼬리까치밥나무(Ribes komarovii Pojark. var. breviracemum (Nakai) T.B.Lee) : kplant1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PowerShot G9촬영일자2009:11:17 00:23:22감도(ISO)125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60조리개 값f/2.8촛점거리7400/1000조리개 최대개방95/32노출보정0/3플래쉬unkown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3264 X 2448

    깊은 산에 나는 희귀한 낙엽관목

  • kplant1 2012.11.24 09:20:32 촬영일시 : 20120911 강원 평창군 계방산

    좀꼬리까치밥나무(Ribes komarovii Pojark. var. breviracemum (Nakai) T.B.Lee) : kplant1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PowerShot G9촬영일자2009:11:17 00:26:58감도(ISO)160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60조리개 값f/2.8촛점거리7400/1000조리개 최대개방95/32노출보정0/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3264 X 2448

    희귀 관목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00

식물이름 학명 조회
숙은노루오줌 [2/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tilbe koreana   범의귀과   노루오줌속   3,088
애기물매화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rnassia alpicola   범의귀과   물매화속   1,459
까막까치밥나무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ibes ussuriense Jancz.   범의귀과   까치밥나무속   1,992
좀꼬리까치밥나무 [1/2] 국가표준식물목록 Ribes komarovii var. breviracemum   범의귀과   까치밥나무속   3,550
바위괭이눈 [0/5] 국가표준식물목록 Chrysosplenium macrostemon   범의귀과   괭이눈속   2,709
큰돌단풍 Mukdenia rossii for. multiloba   범의귀과   돌단풍속   1,507
돌부채손 국가표준식물목록 Mukdenia acanthifolia   범의귀과   돌단풍속   3,348
떡잎산수국 국가표준식물목록 Hydrangea serrata f. coreana   범의귀과   수국속   2,090
미국수국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ydrangea arborescens   범의귀과   수국속   1,774
바위까치밥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ibes pauciflorum   범의귀과   까치밥나무속   1,502
서울고광나무 [0/2] Philadelphus seoulensis   범의귀과   고광나무속   1,829
양까막까치밥나무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ibes nigrum   범의귀과   까치밥나무속   2,224
양덕고광나무 Philadelphus koreanus   범의귀과   고광나무속   1,313
오대산괭이눈 Chrysosplenium alternifolium var. sibiricum   범의귀과   괭이눈속   1,660
왕고광나무 Philadelphus koreanus var. robustus   범의귀과   고광나무속   1,425
외잎승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tilbe simplicifolia   범의귀과   노루오줌속   1,748
중국고광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iladelphus incanus   범의귀과   고광나무속   1,489
진퍼리노루오줌 Astilbe rubra var. divaricata   범의귀과   노루오줌속   1,483
카란트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ibes sativum   범의귀과   까치밥나무속   1,506
한라노루오줌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tilbe rubra var. taquetii   범의귀과   노루오줌속   1,323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