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토끼풀,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좀겨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좀겨풀(Leersia oryzoides (L.) Sw.) : 도리뫼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D Mark II촬영일자2019:08:24 09:06:11감도(ISO)800촬영모드Manual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200조리개 값f/5.0촛점거리105/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1200원본사진 크기6240 X 4160

    도리뫼

  • 다년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green,white
벼과(Poaceae) 115속 (피자식물문/백합강/사초목)
겨풀속(Leersia) 3종
국명좀겨풀
학명Leersia oryzoides (L.) Sw.
원산지일본, 중국 등 온대지역
분포한국(전국)
전체크기높이 50㎝
형태
  • 엽신은 길이 15~25cm, 너비 6~12mm, 가장자리와 양쪽면이 꺼끌거린다. 15~25cm 6~12mm 엽초는 절간보다 짧고 엽설은 길이 1~2mm 이다.
  • 개방원추화서로 길이 20cm 이상이다. 소수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5~6mm, 가지의 1/2~2/3부분에 성기게 붙는다. 포영은 퇴화되어 소실되었다. 1개의 소화가 임성이며, 소화는 심하게 측면압착 되어 편평하다. 호영은 5맥으로 용골부에 긴 자상강모(刺狀剛毛)와 측면에 짧은 강모가 있다. 내영은 3맥으로 용골부에 긴 자상강모(刺狀剛毛)와 측면에 짧은 강모가 있다.
  • 영과
  • 줄기는 높이 35~70cm, 기부가 옆으로 뻗으며 끝이 직립한다. 마디에는 아래를 향한 털이 밀생한다. 35~70cm
서식지논 주변이나 습지 물가에 자란다.
개요하천 물가, 저수지, 논 주변 등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아랫부분이 옆으로 뻗으며, 높이 40~80cm이고, 마디에 아래를 향한 털이 밀생한다. 잎집은 마디 사이보다 짧고 아래를 향한 거센털이 있으며, 잎몸은 길이 15~25cm, 너비 6~12mm이고, 가장자리는 거칠다. 잎혀는 1~2mm이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전체 꽃차례는 줄기에 긴 가지가 나고 다시 갈라져 원추형이고, 10~30cm이다. 작은이삭은 가지의 중간 이상에 성글게 달린다. 작은이삭은 장타원형이고 길이 4~6mm로 납작하며, 한 개의 소화가 있다. 포영은 모두 퇴화하였고, 호영은 5개의 맥이 있으며, 내영에는 3개의 맥이 있으며, 모두 표면에 거센털이 있다. 우리나라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등에 나며,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 북미 등에 분포한다. 겨풀속은 벼와 계통학적으로 가까운 식물에 속하며, 생육지와 작은이삭 형태도 서로 유사하다. 개빕새피라고도 부른다.
근연종* ▶겨풀(var. japonica Hack.): 소수가 길이 5-6.5mm, 나비 1.5mm이고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동정키겨풀(L. sayanuka)보다 소수는 길이에 비하여 폭이 넓고 용골상의 자상강모는 길며, 폐쇄화의 꽃밥은 길이 0.2mm로 보다 짧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1

  • Profile 도리뫼 2022.11.29 06:09:25 촬영일시 : 20190824 경북 울진군 백암산

    좀겨풀(Leersia oryzoides (L.) Sw.) : 도리뫼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D Mark II촬영일자2019:08:24 09:06:11감도(ISO)800촬영모드Manual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200조리개 값f/5.0촛점거리105/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1200원본사진 크기6240 X 4160

    좀겨풀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569

식물이름 학명 조회
검정방동사니 [3/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uirena ciliaris   사초과   검정방동사니속   1,926
겨우살이 [2/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scum album var. lutescens   겨우살이과   겨우살이속   3,613
붉은겨우살이 [3/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scum album f. rubroauranticum   단향과   겨우살이속   173
흰겨이삭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ostis gigantea   벼과   겨이삭속   1,908
엉성겨이삭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ostis divaricatissima   벼과   겨이삭속   1,036
애기겨이삭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ostis stolonifera   벼과   겨이삭속   1,191
산겨이삭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ostis clavata   벼과   겨이삭속   2,819
민메기이삭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ostis canina for. mutica   벼과   겨이삭속   1,306
긴겨이삭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ostis scabra   벼과   겨이삭속   1,802
겨이삭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ostis clavata var. nukabo   벼과   겨이삭속   2,038
검정겨이삭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ostis flaccida   벼과   겨이삭속   1,456
검은겨이삭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ostis canina   벼과   겨이삭속   1,211
들겨이삭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ostis capillaris   벼과   겨이삭속   103
큰겨이삭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ostis dimorpholemma   벼과   겨이삭속   107
겨자무 [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rmoracia rusticana   배추과   겨자무속   2,885
좀겨풀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ersia oryzoides   벼과   겨풀속   940
나도겨풀 [2/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ersia japonica   벼과   겨풀속   1,815
겨풀 [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ersia sayanuka   벼과   겨풀속   1,760
석결명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nna occidentalis   콩과   결명차속   3,024
결명자 [5/4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nna tora   콩과   결명차속   2,836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