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토끼풀,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제주큰물통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한해살이풀
쐐기풀과(Urticaceae) 10속 (피자식물문/목련강/쐐기풀목)
물통이속(Pilea) 7종
국명제주큰물통이(한반도특산식물)
학명Pilea taquetii Nakai
원산지한국
분포제주특별자치도와 지리산
전체크기높이가 10cm 가량 된다.
형태
  • 잎은 마주나기하며 털이 없고 엽신은 넓은 달걀모양 또는 사각상 달걀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거나 없고 녹색이다. 뒷면은 색이 연하고 3맥이 있으며 밑부분은 넓은 예저이거나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치아모양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2~17mm이며 탁엽은 둥글고 길이 1mm 정도이다.
  • 꽃은 일가화로서 잎겨드랑이에 뭉쳐서 달린다. 수꽃은 각 꽃차례에 1송이씩 달리고, 화피열편은 2장이며 길이 0.2mm 정도이고 수술이 2개이다. 암꽃은 화피열편이 3개이며 그 중 2장은 크고 길이 0.7mm정도이지만 나중에는 2mm정도로 된다.
  • 열매는 수과로 달걀모양이고 녹색과 갈색의 반점이 있으며 성숙한 열매는 녹색이고 길이 1.2mm 정도로서 달걀모양이다.
  • 높이 10cm 정도로서 줄기는 녹색이며 가지는 다소 갈라졌다.
개요산지 숲속의 그늘지고, 물기가 있는 지역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녹색이며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며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엷은 녹색이며 3주맥이 있다. 잎의 모양은 넓은 난형 또는 사각상 난형으로 밑은 넓게 뾰족하다. 잎의 양 끝은 좁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암수한포기로 7~9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뭉쳐나고 수꽃은 각 꽃차례에 1개씩 달린다. 수꽃의 꽃잎은 2개, 암꽃의 꽃잎은 3개이다. 열매는 수과, 난형이며 갈색 반점이 있고 녹색으로 익는다. 씨로 번식한다. 우리나라 제주도, 지리산 등 남부 지역에서 자라는 한국 고유종이다. 큰물통이에 비해, 원줄기와 잎이 연약하며, 화피의 열편이 짧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제주큰물통이는 수꽃 꽃차례에 1개의 수꽃이 붙고, 암꽃은 결실기에 2개의 큰 화피의 길이가 열매보다 긴 점에서 강계큰물통이와 구별된다. 타꿰물풍뎅이, 섬물퉁이라고도 한다.
근연종* ▶산물통이(P. japonica Hand-Mazz.): 잎은 막질, 달걀모양, 넓은 달걀모양, 길이 1~3㎝,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모시물통이(P. monglica Weddell):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물기가 많고 연녹색이다. 잎은 달걀모양, 길이 2~10㎝, 가장자리에 삼각상 톱니가 있다.
동정키큰물통이와 비슷하지만, 원줄기와 잎이 더 연약하고, 화피가 더 짧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569

식물이름 학명 조회
큰쐐기풀 [2/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aportea cuspidata   쐐기풀과   혹쐐기풀속   2,796
큰물통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lea hamaoi   쐐기풀과   물통이속   1,515
칠보개물통이 [0/1] 국가표준식물목록 Parietaria micrantha var. coreana   쐐기풀과   개물통이속   1,519
좀깨잎나무 [2/4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spicata   쐐기풀과   모시풀속   3,827
제주큰물통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lea taquetii   쐐기풀과   물통이속   1,346
제주모시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quelpaertensis   쐐기풀과   모시풀속   1,833
제주긴잎모시풀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nakaiana   쐐기풀과   모시풀속   1,608
우산물통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latostema umbellatum   쐐기풀과   몽울풀속   1,636
왜모시풀 [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japonica   쐐기풀과   모시풀속   2,307
왕모시풀 [4/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pannosa   쐐기풀과   모시풀속   3,236
애기쐐기풀 [5/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rtica laetevirens   쐐기풀과   쐐기풀속   4,697
쐐기풀 [5/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rtica thunbergiana   쐐기풀과   쐐기풀속   3,174
섬쐐기풀 [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rtica laetevirens var. robusta   쐐기풀과   쐐기풀속   2,190
섬모시풀 [3/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nivea var. nipononivea   쐐기풀과   모시풀속   2,901
섬거북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taquetii   쐐기풀과   모시풀속   1,976
산쐐기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irardinia diversifolia subsp. suborbiculata   쐐기풀과   산쐐기풀속   1,807
산물통이 [4/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lea japonica   쐐기풀과   물통이속   4,078
바위모시 [2/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eocnide frutescens   쐐기풀과   바위모시속   2,175
물통이 [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lea peploides   쐐기풀과   물통이속   2,632
몽울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latostema densiflorum   쐐기풀과   몽울풀속   1,596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