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융단사초,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제주진득찰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제주진득찰(Sigesbeckia orientalis L.) : 봄까치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 Techwin카메라모델명소프트웨어506181촬영일자2008:09:28 10:27:17감도(ISO)63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90조리개 값f/3.5촛점거리66/10조리개 최대개방116/32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39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봄까치꽃

  • 한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Yellow
  • 두상화서,
국화과(Asteraceae) 106속 (피자식물문/목련강/국화목)
진득찰속(Sigesbeckia) 3종
국명제주진득찰
학명Sigesbeckia orientalis L.
원산지한국
분포제주특별자치도 지역에 자란다.
전체크기높이는 20-55㎝
형태
  •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길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삼각상 달걀모양이며 예두 절저이고 엽병으로흐르며 길이 5-14㎝, 나비는 3-12㎝로서 양면에 복모가 밀생하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기부에 3맥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윗부분이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타원상 둔두로 된다.
  • 머리모양꽃차례는 많으며 지름 16-21mm로서 긴 화경이 있고 화경에 대가 있는 샘털이 섞여 있는 것도 있으며 총포는 5개로서 대가 있는 선(腺)이 있다. 설상꽃부리는 길이 2.2-2.5mm로서 황색이고 3개의 톱니가 있다.
  • 수과는 길이3mm, 지름 1mm정도로서 4개의 능선과 털이 있다.
  • 높이 20-55cm이고 가지가 차상(叉狀)으로 갈라지며 짧은 털이 밀생한다.
서식지풀밭에서 자란다.
개요들판, 길가, 경작지 주변 등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30~100cm, 윗부분에서 가지가 2개씩 갈라지며,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마름모형, 잎자루를 포함한 길이 8~9cm, 폭 5~7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쐐기 모양으로 흘러내려 줄기에 붙으며 가장자리에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다. 줄기 윗부분의 잎은 작고 털이 많다. 꽃은 8월에 피는데 지름 15~20mm의 머리모양꽃이 줄기와 가지 끝에서 산방꽃차례에 달린다. 머리모양꽃의 가장자리는 혀 모양의 암꽃으로 되며, 가운데는 관 모양의 양성꽃으로 된다. 암꽃은 보라색이고 꽃부리의 끝은 3갈래로 얕게 갈라지며, 양성꽃은 노란색이고 꽃부리의 끝은 5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 길이 3mm, 9월에 익는데 4개의 능선이 있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자생하며, 아시아, 동유럽 등에 분포한다. 진득찰에 비해서 줄기가 서로 엇갈린 모양으로 갈라지고 잎의 가장자리는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전초를 약용한다. 동방진득찰, 진득찰이라고도 한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5

  • Profile 봄까치꽃 2008.10.02 10:29:32 촬영일시 : 2008-9-28 전남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 남도석성

    제주진득찰(Sigesbeckia orientalis L.) : 봄까치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 Techwin카메라모델명소프트웨어506181촬영일자2008:09:28 10:27:17감도(ISO)63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90조리개 값f/3.5촛점거리66/10조리개 최대개방116/32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39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 청암 2010.12.10 09:18:16 촬영일시 : 20101109 제주 서귀포시 중문단지

    제주진득찰(Sigesbeckia orientalis L.) : 봄까치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1촬영일자2010:11:09 11:32:55감도(ISO)64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0/400조리개 값f/2.8촛점거리60/10조리개 최대개방48/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592 X 1944

  • 박용석nerd 2015.09.29 03:56:36 촬영일시 : 20060918 전남 신안군 홍도

    제주진득찰(Sigesbeckia orientalis L.) : 봄까치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T30촬영일자2006:09:18 19:54:35감도(ISO)125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unknwon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600조리개 값f/3.5촛점거리633/100조리개 최대개방58/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1024 X 768 제주진득찰(Sigesbeckia orientalis L.) : 봄까치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T30촬영일자2006:09:18 19:54:43감도(ISO)125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unknwon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500조리개 값f/3.5촛점거리633/100조리개 최대개방58/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1024 X 768

  • Profile 도리뫼 2017.11.08 19:51:14 촬영일시 : 20171105 전남 여수시 돌산도

    제주진득찰(Sigesbeckia orientalis L.) : 봄까치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70D촬영일자2017:11:05 08:05:54촬영자cj lee cjle@chol.com감도(ISO)320촬영모드Manual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부분측광노출시간1/160조리개 값f/10.0촛점거리4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5472 X 3648

  • 산들꽃 2019.10.18 02:01:46 촬영일시 : 20191017 울산 동구 대왕암

    제주진득찰(Sigesbeckia orientalis L.) : 봄까치꽃EXIF DB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소프트웨어Digital Photo Professional촬영일자2019:10:17 14:39:51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125조리개 값f/5.6촛점거리200/1노출보정-2/3플래쉬Not Fired사진 크기1024 X 683 제주진득찰(Sigesbeckia orientalis L.) : 봄까치꽃EXIF DB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소프트웨어Digital Photo Professional촬영일자2019:10:17 14:40:25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125조리개 값f/5.6촛점거리90/1노출보정-2/3플래쉬Not Fired사진 크기1024 X 683 제주진득찰(Sigesbeckia orientalis L.) : 봄까치꽃EXIF DB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소프트웨어Digital Photo Professional촬영일자2019:10:17 14:40:49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160조리개 값f/5.6촛점거리100/1노출보정-2/3플래쉬Not Fired사진 크기1024 X 683

    .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조각자나무 [6/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editsia sinensis   콩과   주엽나무속   3,649
[3/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italica   벼과   강아지풀속   3,566
제충국 [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anacetum cinerariifolium   국화과   쑥국화속   2,372
제주황기 [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tragalus mongholicus var. nakaianus   콩과   황기속   1,667
제주현삼 Scrophularia buergeriana var. quelpartensis   현삼과   현삼속   1,407
제주하늘지기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imbristylis schoenoides   사초과   하늘지기속   1,145
제주피막이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ydrocotyle yabei   산형과   피막이속   2,067
제주큰옥매듭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lygonum fusco-ochreatum   마디풀과   마디풀속   1,508
제주큰물통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lea taquetii   쐐기풀과   물통이속   1,345
제주창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tochilus × shintenensis   고란초과   손고비속   1,869
제주찔레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a luciae   장미과   장미속   1,546
제주진득찰 [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gesbeckia orientalis   국화과   진득찰속   2,910
제주지네고사리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ryopteris championii   면마과   관중속   1,533
제주조릿대 [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sa quelpaertensis   벼과   조릿대속   2,037
제주제비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 chejuensis   제비꽃과   제비꽃속   174
제주장딸기 [0/6] Rubus hirsutus for. argyi   장미과   산딸기속   2,427
제주왕벚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runus × nudiflora   장미과   벚나무속   1,644
제주왁살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rachniodes miqueliana   면마과   쇠고사리속   145
제주올챙이골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hoenoplectiella lineolata   사초과   송이고랭이속   1,581
제주엉겅퀴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irsium chinense   국화과   엉겅퀴속   1,653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