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말발도리, 단풍나무, 정향풀, 황기, 토끼풀, 물참대, 미나리냉이, 실별꽃, 해당화,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봉숭아, 사과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자주종덩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통통배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200소프트웨어Ver.2.00 촬영일자2011:06:27 15:03:59감도(ISO)64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0/1250조리개 값f/4.5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1/10노출보정-2/6플래쉬5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6원본사진 크기1195 X 800

    통통배

  •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통통배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200소프트웨어Ver.2.00 촬영일자2011:06:28 14:54:00감도(ISO)32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800조리개 값f/4.5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2/10노출보정-2/6플래쉬Not Fired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6원본사진 크기1195 X 800

    통통배

  •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몽블랑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CYBERSHOT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2 Windows촬영일자2005:06:11 21:43:03감도(ISO)2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0/6400조리개 값f/3.2촛점거리97/10조리개 최대개방33/16노출보정-3/10플래쉬Not Fired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587원본사진 크기2416 X 1772

    몽블랑

  •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꽃사랑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40D소프트웨어VGL Image Editor촬영일자2009:07:05 15:16:45감도(ISO)8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60조리개 값f/6.3촛점거리30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533원본사진 크기3888 X 2592

    꽃사랑

  • 낙엽활엽만경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violet,red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23속 (피자식물문/목련강/미나리아재비목)
으아리속(Clematis) 25종
국명자주종덩굴
학명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원산지한국
분포러시아, 중국, 일본, 한국(북부,강원)
형태
  • 잎은 대생하며 2회3출복엽이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절저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고 선모가 약간 있다.
  • 꽃은 5-6월에 피며 엽액에서 긴 화경이 나와서 끝에 자주색 꽃이 1송이씩 달리고 꽃받침은 4개로서 타원상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겉에 짧은 백색 털이 있다. 꽃밥이 없는 수술은 주걱 같은 꽃잎처럼 보인다.
  • 열매는 수과로서 9-10월에 익으며 난형이고 황갈색 깃털 모양의 긴 암술대가 있으며 황갈색 털이 있다.
  • 덩굴성이다. 1년지는 털이 없고 붉은 빛이 돌지만 2년지는 갈색이다.
서식지깊은 산의 산허리 수풀속에서 자란다.
개요고지대 숲속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덩굴나무이다. 줄기는 덩굴지며, 높이가 1m 이상으로 자라고, 햇가지에는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2회 3출 겹잎이다. 작은잎은 피침형,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2.5~7.0cm, 가장자리가 2~3갈래로 깊게 갈라지기도 하며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4~7cm, 부드러운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자루에 1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종 모양이고 짙은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4장, 타원상 난형 또는 긴 난형이고 끝이 뒤로 젖혀진다. 꽃잎은 긴 주걱형으로 꽃받침 길이의 절반이다. 수술은 많고 털이 있다. 헛수술은 6개 이상으로 띠 모양, 꽃받침잎 길이의 절반 정도다. 열매는 수과, 넓은 난형이다. 한반도 강원도 이북에 자생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시베리아,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산종덩굴에 비해 키가 1m 이상이고 꽃은 짙은 자색이며 작은잎에 예리한 톱니가 있는 것이 다르다. 원변종에 비해서 헛수술이 4개인 것을 고려종덩굴로 구분하기도 한다.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근연종*▶산종덩굴 (C.nobilis NAK.) : 높이가 10cm정도이고 함남에서 자란다.
▶많첩산종덩굴 (C.nobilis for.poena UYEKI et SAKATA): 산종덩굴중에서 꽃이 많첩이며 함남 자일봉에서 자란다.
▶세잎종덩굴(C. koreana Kom.): 뒷면과 엽병에 털이 많다.
▶누른종덩굴(C. chiisanensis Nak.,): 산야에 자라고 꽃받침잎이 황색이며 지리산 해발 1,200m이상의 고지와 한라산의 해발 1,400m이상의 중성토양의 수림속에서 잘 자란다.
참고문헌한반도 수목지 2(2018),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ayangmunsa, Seoul. 914 pp.,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Kyohaksa, Seoul. 975 pp.

댓글 10

  • 河志 2007.09.27 22:57:46 촬영일시 : 2007.6.14 대암산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꽃사랑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8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7.0촬영일자2007:06:14 14:09:09감도(ISO)4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800조리개 값f/8.0촛점거리600/10조리개 최대개방34/10노출보정0/6플래쉬Not Fired35mm 환산90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536 X 800원본사진 크기536 X 800


    * 10-07-16 16:57:33:자주종덩굴에서 변경(카르마)
    * 12-06-22 10:29:55:세잎종덩굴에서 변경(카르마)

  • 청암 2008.06.26 23:42:00 촬영일시 : 08.6.24 경기 포천시 국망봉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꽃사랑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1촬영일자2008:06:24 13:51:36감도(ISO)64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800조리개 값f/4.0촛점거리60/10조리개 최대개방48/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00 X 800원본사진 크기1944 X 2592


    * 12-05-04 13:01:57:자주종덩굴에서 변경(카르마)
    * 12-06-22 10:31:01:세잎종덩굴에서 변경(카르마)

  • 몽블랑 2006.01.21 20:33:39 촬영일시 : 2005,6,11 설악산 귀떼기청 능선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꽃사랑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CYBERSHOT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2 Windows촬영일자2005:06:11 21:43:03감도(ISO)2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0/6400조리개 값f/3.2촛점거리97/10조리개 최대개방33/16노출보정-3/10플래쉬Not Fired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587원본사진 크기2416 X 1772


    * 12-06-22 10:30:46:세잎종덩굴에서 변경(카르마)

  • Profile 능선따라 2007.08.29 12:37:06 촬영일시 : 2007.07.07 설악산 서북능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꽃사랑EXIF Viewer소프트웨어andoWKS15저장일자2007:07:12 16:40:53사진 크기800 X 605원본사진 크기537068544 X 1476526848


    * 12-06-22 10:30:35:세잎종덩굴에서 변경(카르마)

  • 꽃사랑 2009.07.06 20:02:02 촬영일시 : 2009.7.5 경기 가평군 화학산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꽃사랑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40D소프트웨어VGL Image Editor촬영일자2009:07:05 15:16:45감도(ISO)8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60조리개 값f/6.3촛점거리30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533원본사진 크기3888 X 2592


    * 12-06-22 10:31:17:세잎종덩굴에서 변경(카르마)

  • Profile 카르마 글쓴이 2010.06.10 14:38:51 촬영일시 : 20100606 경기 가평군 화악산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꽃사랑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 Mark II촬영일자2010:06:06 12:31:43감도(ISO)16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320조리개 값f/11.0촛점거리18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5616 X 3744


    * 12-06-22 10:31:52:세잎종덩굴에서 변경(카르마)

  • 현촌 2010.06.28 19:41:40 촬영일시 : 20100623 경기 가평군 화악산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꽃사랑EXIF Viewer카메라제조사Panasonic카메라모델명DMC-FZ28소프트웨어Ver.1.0 촬영일자2010:06:23 15:57:23감도(ISO)1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2500조리개 값f/5.6촛점거리101/10조리개 최대개방30/10노출보정-66/100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100화이트밸런스Manual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꽃사랑EXIF Viewer카메라제조사Panasonic카메라모델명DMC-FZ28소프트웨어Ver.1.0 촬영일자2010:06:23 16:16:05감도(ISO)1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2500조리개 값f/4.0촛점거리216/10조리개 최대개방30/10노출보정-100/100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216화이트밸런스Manual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꽃사랑EXIF Viewer카메라제조사Panasonic카메라모델명DMC-FZ28소프트웨어Ver.1.0 촬영일자2010:06:23 16:30:07감도(ISO)1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600조리개 값f/3.4촛점거리133/10조리개 최대개방30/10노출보정-33/100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134화이트밸런스Manual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 12-06-22 10:32:02:세잎종덩굴에서 변경(카르마)

  • 통통배 2011.07.06 18:23:43 촬영일시 : 20110627 해외 중국 백두산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꽃사랑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200소프트웨어Ver.2.00 촬영일자2011:06:26 11:03:19감도(ISO)64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1000조리개 값f/6.3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2/10노출보정-2/6플래쉬5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86 X 1024원본사진 크기800 X 1195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꽃사랑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200소프트웨어Ver.2.00 촬영일자2011:06:26 15:48:48감도(ISO)5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2500조리개 값f/5.6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3/10노출보정-4/6플래쉬5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6원본사진 크기1195 X 800

  • 통통배 2011.07.06 18:27:01 촬영일시 : 20110627 해외 중국 백두산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꽃사랑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200소프트웨어Ver.2.00 촬영일자2011:06:27 15:03:59감도(ISO)64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0/1250조리개 값f/4.5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1/10노출보정-2/6플래쉬5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6원본사진 크기1195 X 800 자주종덩굴(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 꽃사랑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200소프트웨어Ver.2.00 촬영일자2011:06:28 14:54:00감도(ISO)32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800조리개 값f/4.5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2/10노출보정-2/6플래쉬Not Fired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6원본사진 크기1195 X 800


    * 11-07-06 18:30:10:세잎종덩굴에서 변경(통통배)

  • 통통배 2011.07.06 18:31:03 촬영일시 :

    꽃색도 다르고 꽃의 모양도 전혀 다른데....

    그래도 함북이 자주랑 통합되었다하여 옮겨옵니다.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86

식물이름 학명 조회
중국할미꽃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ulsatilla chinensis   미나리아재비과   할미꽃속   1,398
가는잎할미꽃 [1/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ulsatilla cernua   미나리아재비과   할미꽃속   2,499
자주종덩굴 [4/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3,033
애기미나리아재비 [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nunculus acri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2,135
애기금매화 [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rollius riederianus   미나리아재비과   금매화속   2,177
금매화 [2/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rollius ledebourii   미나리아재비과   금매화속   2,534
물미나리아재비 [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nunculus gmelinii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3,518
구례종덩굴 Clematis mankiuensis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1,867
국화바람꽃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emone pseudoaltaica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1,563
그늘꿩의다리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halictrum osmorhizoides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2,005
매화바람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lianthemum insigne   미나리아재비과   매화바람꽃속   1,430
묏꿩의다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halictrum sachalinense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1,411
민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tachiroei for. glabrescen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686
부전제비고깔 [0/1] Delphinium maackianum var. lasiophyllum   미나리아재비과   제비고깔속   1,345
북미나리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nunculus natan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496
붉은노루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taea rubra   미나리아재비과   노루삼속   1,762
비연초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elphinium ajacis   미나리아재비과   제비고깔속   1,880
애기동의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tha natans   미나리아재비과   동의나물속   1,341
작은사위질빵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pierotii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1,686
좀미나리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nunculus arvensi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52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