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토끼풀,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자주땅귀개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청풍

    청풍

  •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현촌

    현촌

  •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현촌

    현촌

  •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고들빼기

    고들빼기

  •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고들빼기

    고들빼기

  • 한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red
통발과(Lentibulariaceae) 2속 (피자식물문/목련강/현삼목)
통발속(Utricularia) 9종
국명자주땅귀개(희귀멸종위기 식물 : CR 멸종위기종)(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2급)
학명Utricularia uliginosa Vahl
별명자주땅귀이개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 한국(경상남도 양산시; 울산시 울주군; 부산시; 한라산)
전체크기높이 8cm내외로 자란다.
형태
  • 잎은 긴 달걀모양으로 밑동에서 나오고 녹색이다.
  • 꽃대는 가늘고 길며, 1개가 곧게 선다. 꽃은 연분홍색이고 소형이며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꽃자루가 있다. 꽃부리는 3-4mm이고 끝이 입술모양으로서, 하순 꽃잎은 달걀모양이며 뾰족한 거(距)는 아래로 향하고 상순 꽃잎은 거보다 짧다. 2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 열매를 덮은 숙존악은 귀이개와 같다.
서식지습지에 난다.
개요자주땅귀개는 통발과 여러해살이풀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습지에서 살며, 포충낭이 있어 벌레를 잡아먹고 산다. 주로 남부지방에서 발견되는 습지식물로, 습지 개발로 인해 자생지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현재 한국적색목록에 멸종위기범주인 취약종(VU)으로 평가되어 있다.습지에서 드물게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작은 벌레를 잡아먹는 식충식물이다. 식물체의 높이는 8cm 내외이다. 땅속줄기는 실처럼 뻗으며 밑부분에 벌레잡이주머니가 달린다. 꽃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추선다. 잎은 땅속줄기에서 나는데 긴 달걀형 또는 주걱 모양, 길이 3∼6mm이고 녹색이다. 꽃은 8~10월에 연분홍색으로 피는데 길이 5∼15cm의 꽃자루 끝에 1∼4개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여러 개의 비늘잎이 달리는데, 꽃싸개잎은 비늘잎처럼 생기고 길이 1∼1.5mm이다. 꽃부리는 끝이 입술 모양이며 아랫입술 꽃잎은 난형이다. 길이 2∼3mm의 뾰족한 꽃뿔은 아래로 향한다. 윗입술꽃잎은 꽃뿔보다 짧다. 수술은 2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 타원 모양이거나 공 모양, 길이 약 3mm이고 10월에 익는다. 열매를 덮은 영구 꽃받침 조각은 귓바퀴 모양과 같다. 우리나라 경상북도, 경기도, 서울, 남부지방 등에 자생하며, 세계적으로 일본에도 분포한다. 관상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댓글 10

  • Profile 추풍 2006.06.06 21:44:39 촬영일시 : 2004.10 인천대공원 전시장에서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고들빼기

    자주귀이개라고도 하더군요.,..

  • kplant1 2007.08.10 18:14:43

    외래종 같습니다.

  • 청풍 2006.07.08 16:35:53 촬영일시 : 2006.07.05 경남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고들빼기

  • kplant1 2007.08.10 18:13:42 촬영일시 : 9월 제주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고들빼기

    포충낭으로 땅 속의 작은 벌레를 잡아먹는 식충식물

  • 통통배 2009.10.13 17:33:43 촬영일시 : 2009.10 제주 서귀포시 .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고들빼기

  • 통통배 2009.10.13 17:34:18 촬영일시 : 2009.10 제주 서귀포시 .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고들빼기

  • 고들빼기 2012.07.30 22:29:22 촬영일시 : 20120728 부산 기장군 일광산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고들빼기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고들빼기

    자축!!!

    드디어 1000종을 등재하다.^^

  • 산들꽃 2012.08.11 17:39:45 촬영일시 : 20120805 부산 금정구 금정산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고들빼기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고들빼기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고들빼기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고들빼기

    잎과줄기

  • Profile 바지랑대 2012.10.12 10:19:14 촬영일시 : 20121011 경기 수원시 팔달구 칠보산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고들빼기

  • 현촌 2012.11.29 10:38:41 촬영일시 : 20121011 경기 화성시 칠보산 일광사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고들빼기 자주땅귀개(Utricularia uliginosa Vahl) : 고들빼기

    .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1

식물이름 학명 조회
참통발 [0/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tricularia tenuicaulis   통발과   통발속   141
털잡이제비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guicula villosa   통발과   벌레잡이속   1,333
개통발 [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tricularia intermedia   통발과   통발속   1,826
북통발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tricularia ochroleuca   통발과   통발속   1,956
실통발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tricularia minor   통발과   통발속   2,485
들통발 [2/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tricularia aurea   통발과   통발속   2,933
벌레잡이제비꽃 [3/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guicula vulgaris var. macroceras   통발과   벌레잡이속   2,966
땅귀개 [9/3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tricularia bifida   통발과   통발속   3,262
이삭귀개 [2/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tricularia caerulea   통발과   통발속   3,335
자주땅귀개 [5/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tricularia uliginosa   통발과   통발속   3,871
통발 [11/3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Utricularia japonica   통발과   통발속   4,153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