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물참대, 토끼풀, 해당화, 금낭화, 황기, 정향풀,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벚나무, 말발도리, 단풍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이삭송이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Reddish purple
현삼과(Scrophulariaceae) 29속 (피자식물문/목련강/현삼목)
송이풀속(Pedicularis) 13종
국명이삭송이풀(희귀멸종위기 식물 : DD 자료부족종)
학명Pedicularis spicata Pall.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 한국(제주특별자치도)
전체크기높이가 20-30cm정도로 자란다.
형태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줄기잎은 4개씩 돌려나기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2-5cm, 폭 5-10mm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달걀모양이며 가장자리에 가시끝이 있는 톱니가 있다. 잎표면은 짧은 흰털이 있으며 뒷면은 맥줄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0-11mm이다.
  • 꽃은 7-8월에 피며 홍자색으로서 윗부분의 줄기나 가지에 수상(穗狀)으로 모여 달리고 포는 잎과 비슷하며 꽃보다 길거나 비슷하다. 꽃받침은 길이 3-4mm로서 연모(軟毛)가 있고 종형이며 털이 있고 윗부분이 얕게 갈라지며 끝이 3개로 갈라졌다. 꽃부리는 순형이며 길이 1-1.5cm이고 상순은 길이 2.5mm정도로서 전 길이의 1/3정도이며 용골상이고 끝이 부리처럼 되었으며 하순은 3쪽으로 넓게 갈라졌다.
  • 삭과는 편달걀모양이며 다소 곧게 서고 길이 6-8mm이며 흑갈색이고 3개의 능선이 있으며 겉에 그물 무늬가 있고 9월에 익는다.
  • 줄기는 한개 또는 여러개가 나와 곧게 서고 4개 능선을 따라 털이 있다.
서식지산골짜기 관목림, 모래자갈 땅.
개요높은 산의 습기 많은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5~60cm,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전체에 흰 털이 있다. 잎은 줄기에 3~5개가 돌려나며,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3~5cm, 폭 1cm쯤, 깃꼴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7~8월에 자주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이삭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종 모양으로 길이 3~4mm다. 꽃부리는 입술 모양, 윗입술은 아랫입술보다 짧다. 아랫입술은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 난형이다. 한반도 강원도 이북에 자생하며, 러시아 시베리아 동부, 일본 홋카이도, 중국 북부 등에 분포한다. 구름송이풀에 비해 전체가 크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잎자루가 없으며, 꽃부리의 갈래 길이는 통부의 2배 정도로 길므로 구분된다. 가야산, 방태산, 설악산의 것을 이 종으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이들을 구름송이풀 또는 한라송이풀로 보는 견해도 있다. 꽃이삭을 약용한다. 꼭지송이풀이라고도 한다.
동정키구름송이풀과 비슷하지만 꽃의 상순이 짧은 것이 다르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댓글 0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12

식물이름 학명 조회
털넓은잎꼬리풀 Veronica kiusiana var. villosa   현삼과   개불알풀속   84
미국큰고추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ratiola neglecta   현삼과   큰고추풀속   117
참새외풀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ndernia antipoda   현삼과   받뚝외풀속   124
애기금어초 [3/3]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naria incarnata   현삼과   해란초속   133
우단현삼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rophularia maximowiczii   현삼과   현삼속   133
긴꽃며느리밥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elampyrum koreanum   현삼과   며느리밥풀속   134
산좁쌀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phrasia mucronulata   현삼과   산좁쌀풀속   145
애기구와꼬리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seudolysimachion pyrethrinum var. gasanensis   현삼과   꼬리풀속   147
부산꼬리풀 [7/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seudolysimachion pusanensis   현삼과   꼬리풀속   237
털좁쌀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phrasia retroticha   현삼과   산좁쌀풀속   1,032
쌀파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mphalotrix longipes   현삼과   쌀파도풀속   1,050
솔잎해란초 [4/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Nuttallanthus canadensis   현삼과   솔잎해란초속   1,119
좀현삼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rophularia kakudensis var. microphylla   현삼과   현삼속   1,268
털꼬리풀 [0/1] 국가표준식물목록 Pseudolysimachion linariifolium var. villosulum   현삼과   꼬리풀속   1,333
설령개현삼 Scrophularia borealikoreana   현삼과   현삼속   1,336
큰산좁쌀풀 [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phrasia hirtella   현삼과   산좁쌀풀속   1,343
이삭송이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edicularis spicata   현삼과   송이풀속   1,370
제주현삼 Scrophularia buergeriana var. quelpartensis   현삼과   현삼속   1,407
진흙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crocarpaea minima   현삼과   진흙풀속   1,430
큰송이풀 [0/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edicularis grandiflora   현삼과   송이풀속   1,43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