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물참대, 장미, 해바라기, 토끼풀, 실별꽃, 해당화, 금낭화, 황기, 정향풀,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벚나무, 말발도리,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이노리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이노리나무(Malus komarovii (Sarg.) Rehder) : 도리뫼EXIF DB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D Mark II촬영일자2019:06:06 12:53:44감도(ISO)400촬영모드수동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100조리개 값f/11.0촛점거리93/1노출보정0/1플래쉬Not Fired사진 크기3300 X 2200

    도리뫼

  • 이노리나무(Malus komarovii (Sarg.) Rehder) : 설뫼*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5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5 Windows촬영일자2013:09:05 15:20:10감도(ISO)640촬영모드셔터스피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20000조리개 값f/2.8촛점거리66/10조리개 최대개방46/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Manual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설뫼*

  • 낙엽 활엽 소교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장미과(Rosaceae) 42속 (피자식물문/목련강/장미목)
사과나무속(Malus) 9종
국명이노리나무(희귀멸종위기 식물 : CR 멸종위기종)
학명Malus komarovii (Sarg.) Rehder
원산지한국
분포중국 / 한국(함경북도; 함경남도; 평안북도; 설악산)
전체크기높이 5m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며 3-5개의 장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첨두이고 심장저 또는 절저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맥위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 편평꽃차례는 정생하고 털이 있으며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꽃받침조각은 뒤로 젖혀지고 털이 있으며 꽃잎은 거꿀달걀모양이다. 암술대는 4개이다.
  • 열매는 이과(梨果)로 구형이고 9-10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껍질눈이 없다.
  • 높이가 5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에 털이 있다.
서식지▶심산의 산중턱 이상에 자란다.
▶내한성과 내조성은 강하나 내음성이 약하여 햇빛을 좋아하며, 사질양토로서 토심이 깊고 비옥한 토양에서 번성한다.
개요깊은 산 능선부에서 드물게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 또는 작은큰키나무로 높이 3~5m 정도이다. 어린가지에는 털이 있으며 짙은 갈색에 차츰 자갈색으로 변한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며 손바닥 모양, 길이 4~8cm, 3~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잎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형이며, 잎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산방꽃차례는 정생하고 털이 있으며, 백색이다. 꽃받침잎은 뒤로 젖혀지고 털이 있으며 꽃잎은 도란형이다. 암술대는 4개이다. 열매는 이과(梨果)로 구형, 지름 1~1.5cm이고, 9~10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껍질눈이 없다. 한반도 강원도 점봉산, 설악산 이북, 함경남·북도에 자생하며,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열매는 식용한다.
근연종* ▶이노리나무에 비해서 형질이 큰 것을 왕이노리나무라고 한다.
▶ 털이 많은 것을 털이노리나무(var.pilosa Nakai)라고 하며 잎의 양면, 열매자루와 잎자루에 털이 많다. 함경도에 자란다.
동정키▶한국 특산식물이다.
▶잎에 털이 없는 것과 있는 것을 구별하고 또 잎의 크기에 따라 변종을 인정하기도 하나 뚜렷한 차이가 없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댓글 2

  • Profile 설뫼* 2013.09.19 21:21:22 촬영일시 : 20130914 경기 포천시 국립수목원

    이노리나무(Malus komarovii (Sarg.) Rehder) : 설뫼*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5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5 Windows촬영일자2013:09:05 15:20:10감도(ISO)640촬영모드셔터스피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20000조리개 값f/2.8촛점거리66/10조리개 최대개방46/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Manual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 Profile 도리뫼 2019.06.07 22:28:15 촬영일시 : 20190606 강원 양양군 설악산

    이노리나무(Malus komarovii (Sarg.) Rehder) : 설뫼*EXIF DB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D Mark II촬영일자2019:06:06 12:53:44감도(ISO)400촬영모드수동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100조리개 값f/11.0촛점거리93/1노출보정0/1플래쉬Not Fired사진 크기3300 X 2200

    .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1

식물이름 학명 조회
이노리나무 [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alus komarovii   장미과   사과나무속   1,815
꽃사과나무 [0/6]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alus floribunda   장미과   사과나무속   254
서부해당화 [5/47]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alus halliana   장미과   사과나무속   9,106
사과나무 [2/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alus pumila   장미과   사과나무속   4,487
털야광나무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alus mandshurica   장미과   사과나무속   1,674
아그배나무 [3/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alus toringo   장미과   사과나무속   4,096
야광나무 [8/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alus baccata   장미과   사과나무속   4,479
능금나무 [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alus asiatica   장미과   사과나무속   3,635
개아그배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alus micromalus   장미과   사과나무속   2,115
민야광나무 Malus baccata for. jackii   장미과   사과나무속   1,911
좀야광나무 Malus baccata for. minor   장미과   사과나무속   2,039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