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토끼풀,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왜젓가락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왜젓가락나물(Ranunculus silerifolius H.L?v.) : 오솔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S소프트웨어andoWKS15촬영일자2017:08:16 14:32:24감도(ISO)25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60조리개 값f/10.0촛점거리100/1노출보정-1/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200 X 800

    오솔

  • 왜젓가락나물(Ranunculus silerifolius H.L?v.) : 오솔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S소프트웨어andoWKS15촬영일자2017:08:16 14:32:37감도(ISO)25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80조리개 값f/10.0촛점거리100/1노출보정-1/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200 X 800

    오솔

  • 왜젓가락나물(Ranunculus silerifolius H.L?v.) : 오솔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S소프트웨어andoWKS15촬영일자2017:08:16 14:33:04감도(ISO)25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25조리개 값f/18.0촛점거리100/1노출보정-1/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200 X 800

    오솔

  • 왜젓가락나물(Ranunculus silerifolius H.L?v.) : 오솔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S소프트웨어andoWKS15촬영일자2017:08:16 14:30:48감도(ISO)25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20조리개 값f/32.0촛점거리100/1노출보정-1/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200 X 800

    오솔

  • 이년,다년초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yellow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23속 (피자식물문/목련강/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25종
국명왜젓가락나물
학명Ranunculus silerifolius H.L?v.
별명왜젓가락풀
원산지한국
분포▶동아시아의 한대에서 아열대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울릉도와 제주도 및 일부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전체크기높이 15-80cm.
형태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폭 4-10cm로서 3출복엽이고 소엽은 엽병이 다소 길며 난형이고 3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편은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복모가 있고 경생엽은 엽병이 짧으며 3출복엽이고 윗부분의 것이 단순히 3개로 갈라진다.
  • 꽃은 8월에 황색으로 피며 줄기나 가지끝에 3-4개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1.5-6cm이며 꽃받침잎은 5개이고 꽃이 필때 뒤로 젖혀지며 타원형이고 길이 2.5-4mm로서 뒷면에 털이 있으며 기부에 꿀샘이 있다. 꽃잎은 5개이며 황색이고 길이 4-6mm로서 도란형이며 수술대는 털이 없고 길이 1-1.5mm이며 꽃밥은 길이 1.5mm정도이다.
  • 취과는 둥글고 화탁에 짧은 털이 있으며 수과는 길이 3.5mm정도로서 편평한 도란형이고 암술대가 뒤로 젖혀진다.
  • 곧게 서고 높이 15-80cm이며 비스듬히 선 털이 있거나 털이 거의 없고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서식지습지나 볕이 잘 드는 물가에서 자란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댓글 2

  • 오솔 2016.09.18 15:06:22 촬영일시 : 20160910 제주 서귀포시 중산간

    왜젓가락나물(Ranunculus silerifolius H.L?v.) : 오솔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S소프트웨어andoWKS15촬영일자2016:09:10 13:00:16감도(ISO)10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1250조리개 값f/5.0촛점거리100/1노출보정-1/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500 X 1000 왜젓가락나물(Ranunculus silerifolius H.L?v.) : 오솔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S소프트웨어andoWKS15촬영일자2016:09:10 13:00:45감도(ISO)10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60조리개 값f/13.0촛점거리100/1노출보정-1/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500 X 1000 왜젓가락나물(Ranunculus silerifolius H.L?v.) : 오솔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S소프트웨어andoWKS15촬영일자2016:09:10 13:00:47감도(ISO)10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160조리개 값f/13.0촛점거리100/1노출보정-1/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500 X 1000 왜젓가락나물(Ranunculus silerifolius H.L?v.) : 오솔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S소프트웨어andoWKS15촬영일자2016:09:10 13:01:10감도(ISO)10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100조리개 값f/13.0촛점거리100/1노출보정-1/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500 X 1000

    ..

  • 오솔 2017.08.17 07:58:50 촬영일시 : 20170816 제주 제주시 중산간 오름

    왜젓가락나물(Ranunculus silerifolius H.L?v.) : 오솔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S소프트웨어andoWKS15촬영일자2017:08:16 14:32:24감도(ISO)25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60조리개 값f/10.0촛점거리100/1노출보정-1/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200 X 800 왜젓가락나물(Ranunculus silerifolius H.L?v.) : 오솔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S소프트웨어andoWKS15촬영일자2017:08:16 14:32:37감도(ISO)25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80조리개 값f/10.0촛점거리100/1노출보정-1/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200 X 800 왜젓가락나물(Ranunculus silerifolius H.L?v.) : 오솔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S소프트웨어andoWKS15촬영일자2017:08:16 14:33:04감도(ISO)25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25조리개 값f/18.0촛점거리100/1노출보정-1/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200 X 800 왜젓가락나물(Ranunculus silerifolius H.L?v.) : 오솔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S소프트웨어andoWKS15촬영일자2017:08:16 14:30:48감도(ISO)25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20조리개 값f/32.0촛점거리100/1노출보정-1/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200 X 800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86

식물이름 학명 조회
매화바람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lianthemum insigne   미나리아재비과   매화바람꽃속   1,430
좀산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acris for. oreodoxa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440
왜젓가락나물 [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nunculus silerifoliu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445
바디풀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topyrum fumarioides   미나리아재비과   바디풀속   1,468
북미나리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nunculus natan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496
좀미나리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nunculus arvensi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521
흰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for. albifloru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526
바이칼꿩의다리 [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halictrum baicalense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1,549
유럽미나리아재비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nunculus muricatu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552
나도마름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Halerpestes salsuginosa   미나리아재비과   덩굴미나리아재비속   1,562
국화바람꽃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emone pseudoaltaica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1,563
남바람꽃 [3/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emone flaccida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1,602
한라투구꽃 [4/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nitum quelpaertense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1,609
키다리바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nitum fischeri var. arcuatum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1,624
좀사위질빵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brevicaudat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1,646
줄바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nitum alboviolaceum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1,654
좀종덩굴 국가표준식물목록 Clematis crassisepal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1,677
작은사위질빵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pierotii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1,686
민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tachiroei for. glabrescen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686
바이칼바람꽃 [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emone baicalensis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1,693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