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단풍나무, 말발도리, 정향풀, 황기, 토끼풀, 물참대, 미나리냉이, 실별꽃, 장미, 해당화,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초종용,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왜모시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왜모시풀(Boehmeria japonica (L.f.) Miq.) : 꽃천사

    꽃천사

  • 왜모시풀(Boehmeria japonica (L.f.) Miq.) : 설뫼

    설뫼

  • 왜모시풀(Boehmeria japonica (L.f.) Miq.) : 설뫼

    설뫼

  • 여러해살이풀이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ish green
  • 이삭화서,
쐐기풀과(Urticaceae) 10속 (피자식물문/목련강/쐐기풀목)
모시풀속(Boehmeria) 15종
국명왜모시풀
학명Boehmeria japonica (L.f.) Miq.
별명진(제주)
원산지한국
분포중부 이남에 나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전체크기높이 80~100cm이다.
형태
  • 잎은 마주나기하고 난상 원형으로 길이 12~19cm이며 끝은 꼬리처럼 다소 길고 밑은 둥글며 양면에 털이 있고 엽질이 약간 두꺼우며 거칠거칠하고 위로 갈수록 톱니는 점차 커지며 3주맥이고 엽병은 엽신보다 짧다.
  • 꽃은 자웅일가로 7∼9월에 연한 녹색을 피며 이삭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하부에 수꽃화서, 상부에 암꽃화서가 달리며 꽃은 구상으로 모인다.
  • 과실은 수과로 작고 무배생식을 한다.
  • 줄기는 곧추 서며 모여나기하고 둔한 모가 있고 윗부분에 짧은 털이 밀생한다.
서식지산야
개요산과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80~100cm, 위쪽에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난다. 잎은 마주나며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12~20cm, 밑부분은 둥글고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겹톱니가 있다. 양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특히 뒷면에 빽빽하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이삭꽃차례에 둥글게 모여 달리며, 수꽃은 꽃차례 아래쪽에 달리고 암꽃은 꽃차례 위쪽에 달린다. 열매는 수과, 길이 2mm쯤이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이 종은 잎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이중톱니가 있으므로 규칙적인 톱니 모양인 왕모시풀과 구분되며, 개모시풀에 비해 잎이 보다 두꺼우므로 구분된다. 전초를 약용한다. 개모시풀, 꼬리모시풀, 모시풀이라고도 한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3)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5

  • 塞翁之馬 2006.08.05 00:22:06 촬영일시 : 2006, 08, 03 대전 만인산 자연휴양림

    왜모시풀(Boehmeria japonica (L.f.) Miq.) : 설뫼

  • 꽃천사 2006.09.13 21:20:21 촬영일시 : 2006.9.12 고창선운사

    왜모시풀(Boehmeria japonica (L.f.) Miq.) : 설뫼

  • Profile 설뫼 2009.09.19 09:21:29 촬영일시 : 2009.9.14.07:15 제주 서귀포시 남제주군

    왜모시풀(Boehmeria japonica (L.f.) Miq.) : 설뫼 왜모시풀(Boehmeria japonica (L.f.) Miq.) : 설뫼

     

    성산읍 일출봉


    * 10-07-01 13:56:24:개모시풀에서 변경(설뫼)

  • Profile 바지랑대 2013.10.13 11:55:49 촬영일시 : 20131012 경기 남양주시 예봉산

    왜모시풀(Boehmeria japonica (L.f.) Miq.) : 설뫼

  • 산들꽃 2014.07.23 20:50:49 촬영일시 : 20140723 경북 경주시 학동

    왜모시풀(Boehmeria japonica (L.f.) Miq.) : 설뫼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참거북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silvestrii   쐐기풀과   모시풀속   145
긴잎모시풀 [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sieboldiana   쐐기풀과   모시풀속   2,648
제주모시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quelpaertensis   쐐기풀과   모시풀속   1,833
개모시풀 [2/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platanifolia   쐐기풀과   모시풀속   3,677
풀거북꼬리 [5/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paraspicata   쐐기풀과   모시풀속   4,176
왕모시풀 [4/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pannosa   쐐기풀과   모시풀속   3,236
섬모시풀 [3/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nivea var. nipononivea   쐐기풀과   모시풀속   2,901
모시풀 [5/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nivea   쐐기풀과   모시풀속   3,366
제주긴잎모시풀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nakaiana   쐐기풀과   모시풀속   1,608
왜모시풀 [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japonica   쐐기풀과   모시풀속   2,308
털긴잎모시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oehmeria hirtella   쐐기풀과   모시풀속   1,431
톱거북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Boehmeria gracilis   쐐기풀과   모시풀속   100
올챙이솔 [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lyxa japonica   자라풀과   올챙이자리속   1,588
올챙이풀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lyxa echinosperma   자라풀과   올챙이자리속   1,415
올챙이자리 [2/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lyxa aubertii   자라풀과   올챙이자리속   1,803
자란 [2/5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letilla striata   난초과   자란속   3,564
애기씨범꼬리 Bistorta vivipara var. angustifolia   마디풀과   범꼬리속   1,504
털씨범꼬리 Bistorta vivipara for. roessleri   마디풀과   범꼬리속   1,365
씨범꼬리 [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istorta vivipara   마디풀과   범꼬리속   1,678
이른범꼬리 [4/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istorta tenuicaulis   마디풀과   범꼬리속   1,636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