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비비추, 말발도리, 산딸나무, 느티나무, 미나리냉이, 황기, 토끼풀, 실별꽃, 박태기나무, 봉숭아, 사과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애기좁쌀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일년초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violet,red
현삼과(Scrophulariaceae) 29속 (피자식물문/목련강/현삼목)
산좁쌀풀속(Euphrasia) 6종
국명애기좁쌀풀(한반도특산식물)
학명Euphrasia coreanalpina Nakai ex Y.Kimura
원산지한국
분포厚昌, 雲仙嶺 및 赴戰高原에서 자란다.
전체크기높이는 10~15cm이다.
형태
  • 경생엽은 길이 4mm 정도로서 밑부분의 것이 곧 떨어지고 끝이 둔한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2~3쌍의 둔한 또는 둥근 톱니가 있고 가장자리 근처에 잔돌기가 있다.
  • 6~8월에 개화하며 홍자색으로서 윗부분의 엽액에 달리고 포는 난형 또는 원형이며 길이 3.5~6mm로서 2~4쌍의 둔한 톱니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3mm 정도로서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고 화관은 길이 4mm 정도이다.
  • 삭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mm 정도로서 성숙한 꽃받침보다 길며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 높이 10-15cm이고 가지는 없으며 밑을 향한 털이 있다.
서식지풀밭에서 자란다.
개요고산의 풀밭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가지가 없으며 높이 8~15cm이고 밑을 향한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난형으로 길이 4~6mm이며 끝은 둔하고 가장자리에 3~4쌍의 둔하거나 둥근 톱니가 있으며 가장자리 근처에 잔 돌기가 있다. 꽃은 6~8월에 백색으로 피고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꽃싸개잎은 난형 또는 원형으로 길이 3.5~6mm로서 2~4쌍의 둔한 톱니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3~4.5mm로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꽃부리는 관모양의 종형으로 길이 4~5mm이다. 열매는 삭과이고 성숙한 꽃받침보다 긴 길이 4mm 정도의 장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평안북도 주봉정, 함경남도 운선령, 한대리, 차일봉, 함경북도 두류산 등에 분포하는 한반도 고유종이다. 줄기와 잎에는 털이 거의 없고, 꽃받침통이 열편보다 짧은 점에서 깔끔좁쌀풀과 비슷하지만, 잎몸의 거치 끝이 뾰족하나 꼬리처럼 길어지지 않으므로 구별된다. 관상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산좁쌀풀, 고려깨풀, 아기좁쌀풀, 둥근잎깨풀, 조선좁쌀풀이라고도 한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569

식물이름 학명 조회
좀현삼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rophularia kakudensis var. microphylla   현삼과   현삼속   1,268
제주현삼 Scrophularia buergeriana var. quelpartensis   현삼과   현삼속   1,407
절국대 [3/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phonostegia chinensis   현삼과   절국대속   3,294
일월토현삼 [0/2] Scrophularia koraiensis var. melutina   현삼과   현삼속   2,053
이삭송이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edicularis spicata   현삼과   송이풀속   1,371
유럽큰고추풀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ratiola officinalis   현삼과   큰고추풀속   2,716
우단담배풀 [4/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erbascum thapsus   현삼과   우단담배풀속   3,829
외풀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ndernia crustacea   현삼과   받뚝외풀속   1,744
오동나무 [6/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ulownia coreana   현삼과   오동속   3,691
애기좁쌀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phrasia coreanalpina   현삼과   산좁쌀풀속   1,495
애기송이풀 [3/2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edicularis ishidoyana   현삼과   송이풀속   3,949
애기물꽈리아재비 [2/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mulus tenellus   현삼과   물꽈리아재비속   3,829
애기며느리밥풀 [2/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elampyrum setaceum   현삼과   며느리밥풀속   3,260
알며느리밥풀 [4/4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현삼과   며느리밥풀속   3,179
앉은좁쌀풀 [7/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phrasia maximowiczii   현삼과   산좁쌀풀속   2,128
쌀파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mphalotrix longipes   현삼과   쌀파도풀속   1,050
수염며느리밥풀 [1/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elampyrum roseum var. japonicum   현삼과   며느리밥풀속   2,152
송이풀 [2/4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edicularis resupinata   현삼과   송이풀속   4,373
소엽풀 [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mnophila aromatica   현삼과   구와말속   1,454
성주풀 [0/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entranthera cochinchinensis   현삼과   성주풀속   1,446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