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단풍나무, 황기, 토끼풀, 말발도리, 물참대, 실별꽃, 장미, 해당화, 정향풀,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초종용, 이끼,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실부추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실부추(Allium anisopodium Ledeb.) : 박용석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T30촬영일자2007:07:04 09:46:11감도(ISO)125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unknwon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600조리개 값f/3.5촛점거리633/100조리개 최대개방58/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박용석

  • 여러해살이풀이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Reddish purple
백합과(Liliaceae) 33속 (피자식물문/백합강/백합목)
부추속(Allium) 31종
국명실부추(희귀멸종위기 식물 : DD 자료부족종)
학명Allium anisopodium Ledeb.
별명가는잎달래, 실달래, 쥐달래
분포중국, 몽골, 러시아 / 한국(인천시 강화군, 옹진군; 경기도 시흥시;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화천군; 충청남도 예산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전체크기높이 30~50cm이다.
형태
  • 잎은 3~6개이고 나비 약 1mm인 극히 가는 실모양으로 화경보다 약간 짧으며 횡선열매는 좁은 편평형으로 속이 차 있고 밀랍분이 없다.
  • 꽃은 9~10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화경 끝에 우산모양꽃차례로 달리며 꽃자루의 길이는 불규칙하여 1~3cm이다. 화피편은 길이 3.5~4mm이고 끝이 둔하거나 일자모양이며 내편은 쐐기모양이고 외편은 장 타원형으로 보다 짧다. 수술은 6개로 화피보다 짧다. 화경은 곧추선다.
  • 열매는 삭과이다.
  • 비늘줄기는 좁은 원통상 원뿔모양이고 길이 1.9~2.2cm이며 부풀지 않고 묵은잎의 엽초와 엽초가 분해한 여로상 섬유로 싸여 있다.
서식지건조한 산지 경사면 모래땅
개요바닷가 바위틈, 산지 능선의 바위틈에서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비늘줄기는 원통형에 가깝고 갈색 또는 검은색이 도는 갈색의 껍질 같은 비늘잎에 싸인다. 잎은 꽃차례의 줄기 아랫부분에만 달리고 너비 1~2mm이며 표면이 매끄럽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비늘줄기에서 나온 줄기 끝에 큰 산형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의 줄기는 길이 30~50cm, 표면은 매끄럽고 단면은 각이 진다. 모인꽃싸개는 1개, 길고 부리 모양이다. 꽃은 빽빽하지 않게 달리며, 작은꽃자루는 각기 길이가 다르고 1.5~3.5cm이다. 꽃은 연한 보라색 또는 자주색, 화피 열편은 6장이다. 외화피편은 난형, 끝이 둔하고, 내화피편은 도란형, 끝이 편평하다. 외화피편과 내화피편의 크기는 서로 비슷하다. 수술은 6개, 아랫부분이 융합되어 있고, 안쪽 3개가 바깥쪽 3개보다 길이가 약간 짧다. 열매는 삭과이며, 7~9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백령도, 강화도 등에 나며, 중국, 몽골, 카자흐스탄, 러시아 동부 등에 분포한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1

  • 박용석 2014.10.21 12:08:04 촬영일시 : 20070704 인천 옹진군 대청도

    실부추(Allium anisopodium Ledeb.) : 박용석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T30촬영일자2007:07:04 09:46:11감도(ISO)125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unknwon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600조리개 값f/3.5촛점거리633/100조리개 최대개방58/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가시복분자딸기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ubus schizostylus   장미과   산딸기속   1,901
넓은잎산사 [2/3]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rataegus pinnatifida var. major   장미과   산사나무속   1,902
홍돌가시나무 [0/2] Rosa wichuraiana for. rosiflora   장미과   장미속   1,903
털향유 [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aleopsis bifida   꿀풀과   털향유속   1,903
얇은잎고광나무 [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iladelphus tenuifolius   범의귀과   고광나무속   1,903
비단쑥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rtemisia lagocephala   국화과   쑥속   1,906
물부추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soetes japonica   물부추과   물부추속   1,906
겹돌잔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crolepia pseudostrigosa   잔고사리과   돌잔고사리속   1,906
흰용담 [0/11] Gentiana scabra var. buergeri for. alba   용담과   용담속   1,907
산새밥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uzula pallescens   골풀과   꿩의밥속   1,907
방동사니아재비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perus cyperoides   사초과   방동사니속   1,907
흰억새 [1/8] 국가표준식물목록 Miscanthus sinensis var. albiflorus   벼과   억새속   1,908
흰겨이삭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ostis gigantea   벼과   겨이삭속   1,909
선연리초 [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athyrus komarovii   콩과   연리초속   1,909
남포분취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ussurea chinnampoensis   국화과   취나물속   1,909
연보라과남풀 [0/3] 국가표준식물목록 Gentiana triflora var. japonica f. alboviolacea   용담과   용담속   1,910
실부추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llium anisopodium   백합과   부추속   1,910
민야광나무 Malus baccata for. jackii   장미과   사과나무속   1,911
쇠보리 [5/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schaemum aristatum var. glaucum   벼과   쇠보리속   1,914
땅괭이싸리 국가표준식물목록 Lespedeza × patentihirta   콩과   싸리속   1,915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