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토끼풀,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수원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다년초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사초과(Cyperaceae) 20속 (피자식물문/백합강/사초목)
사초속(Carex) 226종
국명수원사초
학명Carex omiana Franch. & Sav.
분포북한, 중국, 일본
전체크기키 30-50㎝이다.
형태
  • 잎은 폭 1.5-2.5㎜이다.
  • 작은 이삭은 3-5개이고 공모양으로 길이 3-4㎝, 폭 2.5-3㎜이다. 수꽃이삭은 줄기끝에 달리고, 암꽃이삭은 밑에 달린다. 과낭은 비늘조각의 거의 2배 길이, 길이 4.5㎜로 약간 비틀어지고 피침상 난형으로 맥이 희미하고 긴 부리가 있으며, 끝이 2갈래로 갈라진다. 암술머리는 3갈래이다.
  • 줄기에 거의 털이 없다.
  • 근경은 짧다.
개요다년생. 근경은 짧게 뻗는다. 줄기 높이는 20-50cm, 모여나고, 단면은 둔한 삼릉형이며, 위쪽이 까끌거린다. 잎 줄기보다 길이가 짧고, 너비는 2-2.5mm, 단면은 편평하거나 드물게 주름이 진다. 기부의 엽초 담갈색이다. 포엽 인편모양이다. 화서 수상화서이며, 길이는 약 2cm이다. 소수 3-4개, 자웅성이고, 공모양이며, 정소수의 웅성부는 측소수의 웅성부보다 길이가 약간 길다. 웅인편 갈색이고, 길이는 약 2.9mm이며, 끝은 예두이다. 자인편 갈색이고, 길이는 약 2.3mm이며, 난형 또는 광난형이다. 중앙에 녹색의 1맥이 있고, 끝은 예두이다. 과포 녹색을 띤 갈색이고, 자인편보다 길이가 길며, 난상 피침형이다. 강하게 옆으로 벌어지고, 때로는 아래로 굽으며, 길이는 4.5-5mm이다. 거의 막질이고, 등쪽에는 많은 맥이 있으며, 배쪽에는 소수의 맥이 있다. 끝은 급히 좁아져서 매끈하거나 또는 까끌거리는 긴 부리로 되며, 구부는 가위모양이다. 수과 난상 타원형으로 양면이 볼록하며, 길이는 1.7-2mm이다. 주두 2갈래로 갈라진다.고산 습원의 대표적인 종으로 북부지방에 분포하며, 장백산에서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타래사초(C. maackii)와 비슷하나, 소수의 수가 적고, 과포가 성숙하면 옆으로 벌어지거나 아래쪽으로 휘며 가장자리에, 날개가 없다.Habit Marshes in low lands. Perennials. rhizomes short. Stems 20-50 cm tall, tufted, obtusely trigonous, scabrous above. Leaves shorter than stem; blades 2-2.5 mm wide, flat or rarely plicate. Basal sheaths pale brown. Involucral bracts scalelike. Inflorescence spicate inflorescence, ca. 2 cm long. Spikes 3-4, gynaecandrous, globose, terminal spikes with a slightly longer male portion than in those of lateral ones. Staminate scales brown, 2.9 mm long, apex acute. Pistillate scales brown, 2.3 mm long, ovate or broadly ovate, apex acute. Perigynia greenish brown, longer than pistillate scale, ovate-lanceolate, strongly patent to somewhat deflexed, 4.5-5 mm long, submembranous, many veined abaxially, few veined adaxially, apex abruptly contracted into a smooth or scabrous long beak, mouth minutely bidentate. Achenes ovate-elliptic, biconvex, 1.7-2 mm long. Stigmas 2.
참고문헌한국식물 도해도감 4 사초과(2016)

댓글 0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227

식물이름 학명 조회
수원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omiana   사초과   사초속   1,529
숲이삭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drymophila   사초과   사초속   1,499
실사초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fernaldiana   사초과   사초속   1,394
실이삭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laxa   사초과   사초속   1,303
실피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longerostrata var. pallida   사초과   사초속   1,270
싸라기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ussuriensis   사초과   사초속   1,322
쌀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glauciformis   사초과   사초속   1,548
애기반들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tristachya var. pocilliformis   사초과   사초속   1,480
애기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conica   사초과   사초속   1,390
애기이삭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ochrochlamys   사초과   사초속   1,460
애기천일사초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subspathacea   사초과   사초속   1,414
애기흰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mollicula   사초과   사초속   1,529
언덕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oxyandra   사초과   사초속   1,552
얼룩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misandra   사초과   사초속   1,493
엷은갈미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eleusinoides   사초과   사초속   1,338
염낭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mollissima   사초과   사초속   1,561
염주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ischnostachya   사초과   사초속   1,376
왕밀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matsumurae   사초과   사초속   1,362
유성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korshinskyi   사초과   사초속   1,291
이삼사초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leucochlora   사초과   사초속   1,392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