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토끼풀,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말똥비름,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수강아지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수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subsp. pycnocoma (Steud.) Tzvelev) : 무심거사

    무심거사

  • 1년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벼과(Poaceae) 115속 (피자식물문/백합강/사초목)
강아지풀속(Setaria) 10종
국명수강아지풀
학명Setaria viridis (L.) P.Beauv. subsp. pycnocoma (Steud.) Tzvelev
원산지일본, 중국, 유라시아
분포한국
전체크기높이 20-70㎝이다.
형태
  • 엽신은 길이 15~45cm, 너비 5~12mm로 가장자리는 깔끔거린다. 15~45cm 5~12mm 엽초는 털이 없으나 가장자리는 긴 털이 줄지어 난다. 엽설은 막질부가 없이 긴 털이 줄지어 난다.
  • 응축원추화서이다. 화서는 길이 6~18cm, 폭 2cm, 다수의 짧은 가지로 갈라지며 각각 소수가 밀집되어 분화서를 이룬다. 소수의 기부에는 강모가 있고 강모는 길이 7~12mm, 녹색 또는 자색을 띤다. 소수는 길이 2.5~3.0mm, 2개의 소화가 있다. 제1포영은 길이 0.7~1.0mm, 3맥, 제2포영은 2.3~2.8mm, 5맥이다. 제1소화는 불임이며 제2소화가 양성으로 임성이다. 제1소화의 호영은 소수 길이와 같고 7맥이다. 제2소화의 호영은 길이 2.5~3.0mm, 혁질이며 광택이 있고 가장자리는 내영을 감싼다. 제2소화 내영은 안쪽으로 말리고 경질이다.
  • 영과
  • 줄기는 높이 40~150cm, 7~9개의 마디가 있다. 40~150cm
서식지숲 가장자리 초원에 자란다.
개요경작지 주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150cm이다. 잎몸은 선형, 편평하며 길이 15~45cm, 폭 5~12mm이다. 잎혀는 길이 1mm 정도, 끝은 자른 모양이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꽃차례는 작은이삭이 빽빽하게 붙은 둥근 기둥 모양이고 길이 10~15cm, 곧추선다. 작은이삭은 2개의 낱꽃으로 된다. 제1포영은 길이 0.8mm, 폭 0.8mm, 제2포영의 길이 1.5~2mm, 폭 1~1.5mm이다. 외영은 길이 2mm, 내영은 길이 1~2mm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세계적으로 러시아 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몽골, 일본, 중국, 중앙아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조와 강아지풀의 잡종으로 높이가 1m 내외에 이르는 대형종이고 꽃차례가 곧추서므로 유사종들과 구분된다. 가락지조, 왕강아지풀이라고도 부른다.
근연종* 강아지풀 (Setaria viridis (L.) BEAUV.)
갯강아지풀 (var.pachystachys MAK. et NEMOTO)
동정키강아지풀(S. viridis)에 비해 원추화서는 길이 6~18cm로 보다 크며, 화서에 다수의 짧은 가지가 생기며 여기에 소수가 밀집되어 분화서(分花序)를 이룬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댓글 8

  • Profile 설뫼* 2010.11.25 14:06:55 촬영일시 : 20101009 경기 파주시 문산읍

    수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subsp. pycnocoma (Steud.) Tzvelev) : 무심거사 수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subsp. pycnocoma (Steud.) Tzvelev) : 무심거사

    임진강변

  • Profile 무심거사 2011.09.07 21:28:19 촬영일시 : 20110902 강원 인제군 원대리

    수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subsp. pycnocoma (Steud.) Tzvelev) : 무심거사

  • Profile 바지랑대 2012.08.21 11:21:35 촬영일시 : 20120820 충북 단양군 소백산

    수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subsp. pycnocoma (Steud.) Tzvelev) : 무심거사

  • 현촌 2012.09.09 19:19:41 촬영일시 : 20120820 충북 단양군 소백산

    수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subsp. pycnocoma (Steud.) Tzvelev) : 무심거사

    .

  • 산들꽃 2013.07.24 23:13:02 촬영일시 : 20130723 경북 김천시 황악산

    수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subsp. pycnocoma (Steud.) Tzvelev) : 무심거사 수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subsp. pycnocoma (Steud.) Tzvelev) : 무심거사 수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subsp. pycnocoma (Steud.) Tzvelev) : 무심거사

  • 박용석 2014.09.05 16:08:13 촬영일시 : 20060731 인천 옹진군 백령도

    수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subsp. pycnocoma (Steud.) Tzvelev) : 무심거사

  • 곰배령 2017.09.21 23:27:02 촬영일시 : 20170917 제주 제주시 밭가

    수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subsp. pycnocoma (Steud.) Tzvelev) : 무심거사 수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subsp. pycnocoma (Steud.) Tzvelev) : 무심거사 수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subsp. pycnocoma (Steud.) Tzvelev) : 무심거사 수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subsp. pycnocoma (Steud.) Tzvelev) : 무심거사

  • Profile 설뫼* 2018.10.01 21:31:47 촬영일시 : 20180930 강원 영월군 원동재

    수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subsp. pycnocoma (Steud.) Tzvelev) : 무심거사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569

식물이름 학명 조회
섬강개갓냉이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rippa apetala   배추과   갓냉이속   1,307
흰강낭콩 [0/11] Phaseolus multiflorus var. albus   콩과   강낭콩속   2,949
붉은강낭콩 [2/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aseolus multiflorus   콩과   강낭콩속   3,813
덩굴강낭콩 [2/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aseolus vulgaris   콩과   강낭콩속   2,706
강낭콩 [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   콩과   강낭콩속   2,757
주름금강아지풀 국가표준식물목록 Setaria glauca var. dura   벼과   강아지풀속   1,188
조아재비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chondrachne   벼과   강아지풀속   1,495
[3/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italica   벼과   강아지풀속   3,566
유럽강아지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verticillata   벼과   강아지풀속   1,353
수강아지풀 [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viridis subsp. pycnocoma   벼과   강아지풀속   3,335
금강아지풀 [3/3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pumila   벼과   강아지풀속   3,401
갯강아지풀 [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s   벼과   강아지풀속   2,306
강아지풀 [4/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viridis   벼과   강아지풀속   4,043
가을강아지풀 [2/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faberi   벼과   강아지풀속   3,678
가는금강아지풀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pumila subsp. pallide-fusca   벼과   강아지풀속   1,658
나도개감채 [5/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loydia triflora   백합과   개감채속   4,063
개감채 [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loydia serotina   백합과   개감채속   2,536
참새발고사리 [1/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thyrium monomachii   꼬리고사리과   개고사리속   2,828
지리산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Athyrium excelsius   꼬리고사리과   개고사리속   1,360
암뱀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thyrium clivicola   꼬리고사리과   개고사리속   1,346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