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황기, 말발도리, 비비추, 낙우송, 장미, 산딸나무, 느티나무, 토끼풀, 실별꽃, 회화나무, 봉숭아, 왕벚나무, 팽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솔붓꽃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kplant1

    kplant1

  •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무심거사

    무심거사

  •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박용석

  •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박용석

  •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박용석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violet
붓꽃과(Iridaceae) 5속 (피자식물문/백합강/백합목)
붓꽃속(Iris) 23종
국명솔붓꽃(희귀멸종위기 식물 : EN 위기종)
학명Iris ruthenica KerGawl.
별명가는붓꽃
원산지한국
분포중국, 몽골, 러시아 / 한국(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남도)
형태
  • 잎은 비스듬히 서며 칼모양이고 길이 15cm, 나비 4cm정도로 선형이지만 개화후 길이 30cm정도로 자란다.
  • 개화기는 4-5월로 보라색이고 화경은 극히 짧으며 끝에 1-2개의 꽃이 달리고 잎집 같은 포는 가장자리에 붉은 빛이 돈다. 외꽃덮이는 3개이며 거꿀피침모양이고 밖으로 퍼지며 백색의 그물무늬가 있고 내꽃덮이는 좁은 피침형으로서 곧추선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며 꽃잎같고 끝부분이 얕게 2개로 갈라지며 열편에 톱니가 있다.
  • 삭과는 둥글고 익으면 곧 터지며 종자는 둥글다.
  • 근경은 옆으로 뻗으면서 새순이 나오고 묵은 잎의 섬유로 싸여 있고 적색이며 단단하다.
서식지낮은 야산의 낙엽수림 하부 반그늘진 곳에 주로 생육한다.
개요무덤가 잔디밭 등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는다. 잎은 선형으로 꽃이 진 뒤에 길어져서 길이 5-30cm로 된다. 꽃은 4월에 보라색으로 피며, 꽃줄기는 높이 2-6cm이다. 바깥화피에 흰색 그물 무늬가 있다. 인천, 대구, 경기, 충남, 전남, 제주 등지에 드물게 자라며, 환경부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중국, 몽골, 러시아 및 카자흐스탄을 거쳐 동유럽까지 널리 분포한다.솔붓꽃은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북방계 식물이지만 대구 및 충남 지역에만 분포하여 학술적 가치가 높다. 이른 봄에 피는 꽃이 아름다워 원예가치가 높으며, 원예품종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현재 한국적색목록에 멸종위기범주인 취약종(VU)으로 평가되어 있다.무덤가 잔디밭이나 저지대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는다. 잎은 선형으로 꽃이 진 뒤에 길어져서 길이 5~30cm이다. 꽃은 4월에 보라색으로 피며, 꽃줄기는 높이 2~6cm이다. 바깥화피에 흰색 그물 무늬가 있다. 열매는 삭과이다. 우리나라 대구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에 자생하며, 세계적으로 중국에도 분포한다. 이 종은 화통이 길이 1.5cm 이하로 각시붓꽃에 비해 작고, 꽃싸개잎이 녹색, 피침형, 부드럽고, 끝이 점차 뾰족해지는 데 비해 난장이붓꽃은 꽃싸개잎이 황록색, 넓은피침형, 단단하며, 끝이 둔하거나 약간 뾰족하므로 다르다. 꽃이 아름다워 원예가치가 높으며, 원예품종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뿌리줄기를 약용한다.
동정키▶번식력 및 이식력에 문제가 있어 경제작물로 이용하기가 어려우므로 앞으로 많은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예전에 무명을 짜던 시절에 풀칠하던 솔을 솔붓꽃의 뿌리로 만들었다고 하여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여졌다. 모양이 각시붓꽃과 매우 흡사하나 뿌리의 모양으로 구별이 가능하다. 솔붓꽃의 뿌리가 각시 붓꽃의 뿌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강인하다.

댓글 16

  • 통통배 2009.05.08 09:12:22 촬영일시 : 2009.05 제주 제주시 .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 통통배 2009.05.08 09:12:50 촬영일시 : 2009.05 제주 제주시 .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 kplant1 2009.05.19 09:49:43 촬영일시 : 08. 5. 9 대구 수성구 00아파트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 kplant1 2009.05.19 09:54:26 촬영일시 : 8. 5 대구 수성구 0아파트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 kplant1 2009.05.19 09:56:30 촬영일시 : 08.5 대구 수성구 00아파트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 여로 2010.05.13 20:57:10 촬영일시 : 20100504 충남 서산시 해미면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 통통배 2010.06.01 22:01:29 촬영일시 : 20100515 제주 서귀포시 .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 Profile 무심거사 2011.04.20 17:10:24 촬영일시 : 20110420 강원 인제군 북리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 산들꽃 2011.05.02 15:11:42 촬영일시 : 20110502 경북 구미시 야산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 산들꽃 2011.05.02 15:13:55 촬영일시 : 20110430 경북 구미시 야산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 박용석 2014.10.21 14:12:02 촬영일시 : 20140425 충남 서천군 해미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 Profile 도리뫼 2015.05.05 07:07:08 촬영일시 : 20150503 충남 서산시 해미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 곰배령 2016.05.02 11:30:41 촬영일시 : 20160426 충남 서산시 고북면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 Profile 바지랑대 2016.11.03 20:01:31 촬영일시 : 20161022 강원 인제군 원대리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 고들빼기 2017.04.23 21:19:34 촬영일시 : 20170422 충남 서산시 고북면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 Profile 晴嵐 2022.04.24 22:26:57 촬영일시 : 20220423 충남 서산시 휴암리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 박용석

    솔붓꽃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참꽃마리 [3/6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지치과   꽃마리속   4,635
금마타리 [3/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trinia saniculifolia   마타리과   마타리속   3,227
홀아비바람꽃 [3/5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emone koraiensis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5,644
잔개자리 [4/3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edicago lupulina   콩과   개자리속   3,722
길마가지나무 [5/5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onicera harai Makino   인동과   인동속   4,753
요강나물 [2/3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fusca var. flabellat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4,439
큰꽃으아리 [4/5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patens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5,059
가막살나무 [6/5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burnum dilatatum   인동과   산분꽃나무속   4,616
좀씀바귀 [3/4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xeris stolonifera   국화과   선씀바귀속   4,076
왕씀배 [1/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renanthes ochroleuca   국화과   왕씀배속   3,078
청괴불나무 [2/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onicera subsessilis   인동과   인동속   3,181
창포 [5/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rus calamus   천남성과   창포속   2,646
노랑갈퀴 [3/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cia chosenensis   콩과   나비나물속   4,536
새밥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uzula rufescens   골풀과   꿩의밥속   2,665
새완두 [3/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cia hirsuta   콩과   나비나물속   3,402
산분꽃나무 [3/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burnum burejaeticum   인동과   산분꽃나무속   2,837
타래붓꽃 [3/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ris lactea var. chinensis   붓꽃과   붓꽃속   2,832
살갈퀴 [5/4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cia sativa   콩과   나비나물속   3,674
백화등 [0/33]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majus   협죽도과   마삭줄속   5,319
서양수수꽃다리 [2/3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yringa vulgaris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3,994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