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토끼풀,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말똥비름,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세포큰조롱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세포큰조롱(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 : 산들꽃

    산들꽃

  • 세포큰조롱(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 : 산들꽃

    산들꽃

  • 세포큰조롱(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 : 산들꽃

    산들꽃

  •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협죽도과(Apocynaceae) 11속 (피자식물문/목련강/용담목)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백미속(Cynanchum) 14종
국명세포큰조롱
학명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
원산지한국
분포중국 동북부 / 강원특별자치도 세포(洗浦)
형태
  • 관상용
  • 꽃은 8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자란 꽃대끝에 산형으로 달리며 화경과 꽃자루 한쪽에 털이 있고 포는 선형으로서 작다. 꽃받침은 5개로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2mm로서 가장자리가 막질이고 잔털이 다소 있으며 꽃부리도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길이 4mm이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3mm로서 안쪽에 잔털이 밀생한다.
  • 열매는 골돌
  • 덩굴식물로서 길게 뻗으며 곱슬털이 있으나 윗부분에서는 없어진다.
서식지낮은 산지에서 드물게 자람
개요낮은 산지에서 드물게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길게 뻗으며, 구부러진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1.0~1.5cm쯤이며, 홈이 있는 표면에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삼각상 피침형으로 길이는 7~10cm, 폭 1~2cm, 끝은 길게 뾰족하고 밑은 심장형, 가장자리는 거칠다. 꽃은 8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과 꽃잎은 5갈래로 갈라지고 꽃잎 안쪽에는 잔털이 있다. 열매는 골돌이다. 우리나라 강원도 평강군 고삽면 세포에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에도 분포한다. 세포큰조롱은 줄기가 덩굴성이며, 꽃부리 조각의 안쪽에 잔털이 밀생하여 백미꽃속 다른 식물과 구분된다.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큰은조롱이라고도 한다.
근연종*잎은 마주나기, 세모진 심장형 또는 심장형, 꽃은 연한 황록색이다.
동정키세계에 약 100종, 우리 나라에는 약 10종이 분포한다. 식물체에 흰색의 유액이 들어있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2

  • 산들꽃 2020.08.15 01:49:18 촬영일시 : 20200815 경북 군위군 부계면

    세포큰조롱(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 : 산들꽃 세포큰조롱(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 : 산들꽃 세포큰조롱(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 : 산들꽃

    .

  • 산들꽃 2023.07.30 21:37:07 촬영일시 : 20230730 경북 군위군 부계면

    세포큰조롱(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 : 산들꽃 세포큰조롱(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 : 산들꽃 세포큰조롱(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 : 산들꽃 세포큰조롱(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 : 산들꽃

    세포큰조롱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6

식물이름 학명 조회
넓은잎큰조롱 [5/3]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boudieri   협죽도과   백미속   188
선백미꽃 [6/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inamoenum   협죽도과   백미속   3,297
큰조롱 [5/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wilfordii   협죽도과   백미속   6,030
덩굴박주가리 [3/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nipponicum   협죽도과   백미속   3,380
민백미꽃 [3/4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ascyrifolium   협죽도과   백미속   4,555
양반풀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thesioides   협죽도과   백미속   2,021
흑박주가리 [5/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nipponicum var. glabrum   협죽도과   백미속   2,985
솜아마존 [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amplexicaule   협죽도과   백미속   1,734
백미꽃 [2/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atratum   협죽도과   백미속   3,860
덩굴민백미꽃 [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japonicum   협죽도과   백미속   3,942
검은솜아마존 Cynanchum amplexicaule for. castaneum   협죽도과   백미속   2,294
자주박주가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purpureum   협죽도과   백미속   1,654
가는털백미 [4/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chinense   협죽도과   백미속   2,754
산해박 [7/4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paniculatum   협죽도과   백미속   3,494
세포큰조롱 [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volubile   협죽도과   백미속   2,096
푸른백미꽃 Cynanchum atratum for. viridescens   협죽도과   백미속   2,053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