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정향풀, 비비추, 말똥비름, 장미, 박태기나무, 은방울꽃, 사과나무, 해바라기,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토끼풀,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섬회양목 국가생물종목록


  • 섬회양목(Buxus koreana for. insularis (Nakai) Kim & Kim) : 능선따라EXIF Viewer

    능선따라

  • 상록 활엽관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yellow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회양목과(Buxaceae) 2속 (피자식물문/목련강/대극목)
회양목속(Buxus) 3종
국명섬회양목
학명Buxus koreana for. insularis (Nakai) Kim & Kim
원산지한국
분포남부 도서지역 섬 산 중턱의 습윤하고 비옥한 땅에 난다.
전체크기수고 6m에 달한다.
형태
  • 잎은 혁질이며 넓은 타원형이고 둔두 또는 미요두이며 예저이고 엽병으로 흐르며 길이 12~22mm, 나비 4~11m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광택이 난다. 잎 뒷면에는 털이 없으며 톱니도 없다. 중간 하반부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황록색이고 가장자리가 뒤로 젖혀진다. 엽병은 길이 2mm로서 회양목과 달리 털이 없다.
  • 꽃은 4-5월에 엷은 노란색으로 소형이며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수꽃은 1-4(보통 3)개의 수술과 자방의 흔적이 있으며 수술대는 길이 5mm로서 흰빛이 돌고 꽃밥은 황색이며 암꽃은 3개의 암술머리가 있는 둥근 삼각형의 자방이 있고 3실이다. 벌이 많이 모여든다.
  • 열매는 둥근 모양의 삭과이고 길이 10mm로서 털이 없으며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며 6-7월에 갈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튀어나간다.
  • 높이가 7m에 달하고 수피는 회록색이며 소지는 녹색이고 가늘며 네모지고 털이 있다.
  • 실뿌리가 사방으로 퍼져 서로 엉킨다.
서식지사질양토에서 잘 자라고, 비교적 토양은 가리지 않는 편이며, 석회암지대에 많이 자생한다. 중생식물로 음지와 양지 모두에서 잘 자란다. 습기가 있는 곳이나 건조한 토양에서도 생장이 양호하고 추위와 공해에 견디는 힘이 강하다
개요산 중턱에서 자라는 상록 떨기나무이다. 높이는 60cm쯤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햇가지는 네모지고 털이 없으며 녹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광타원형 또는 아원형으로 길이 12~19mm, 폭 7~14mm다. 엽저와 잎자루에 짧은 털이 산생한다. 꽃은 4월에 단성화로 피는데 연한 황록색으로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모여 달리며, 암꽃을 중심으로 4~8개의 수꽃이 뭉쳐 달린다. 수꽃은 수술 4개, 퇴화한 암술대가 있다. 암꽃은 암술 1개, 암술대는 3개, 씨방은 3실이다. 열매는 삭과, 7~8월에 둥글고 흑갈색으로 익으며, 3갈래로 갈라진다. 우리나라 전라남도, 제주도 등 남해와 서해의 도서지역에 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기본종에 비해 잎이 크고 둥글며, 잎 밑부분에 짧은 털이 산생하는 특징으로 구분한다. 정원수로 심으며, 목재는 도장, 지팡이, 조각 재료로 쓰고 가지와 잎은 약용한다. 섬고양나무라고도 부른다.
근연종*▶긴잎회양목(for. elongata T.Lee): 잎이 좁은 피침형이다.
▶좀회양목(B. microphylla S.et Z.): 잎 아래쪽이 설저로서 좁아지면서 거의 잎자루가 없는 것 같이 된 작은 관물으로서 뜰에 흔히 심는다.
참고문헌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댓글 6

  • Profile 능선따라 2007.09.02 12:55:41 촬영일시 : 2007.08.07 제주 한림공원

    섬회양목(Buxus koreana for. insularis (Nakai) Kim & Kim) : 능선따라EXIF Viewer


    상록관목.
    산방산의 암벽에 드물게 자람.

    섬회양목 (회양목과)
    Buxus microphylla var. insularis Nak.

    분포 : 산방산의 암벽에 드물게 자란다.

    상록관목으로 소지는 네모가 지며 털이 있다.
    잎은 혁질이며 둔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12~22mm, 폭 4~11mm이다.
    잎 표면에는 윤기가 있고 엽병에는 털이 없다.
    꽃은 4~5월에 정생 또는 액생하며 자웅화가 몇개씩 한군데에 달리고 암꽃은 중앙부에 있다.
    열매는 란형이고 털이 없으며 6~7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 Profile 능선따라 2007.09.02 12:56:25 촬영일시 : 2007.08.07 제주 한림공원

    섬회양목(Buxus koreana for. insularis (Nakai) Kim & Kim) : 능선따라EXIF Viewer

    도보여행중에

  • Profile 무심거사 2015.01.17 22:56:15 촬영일시 : 20120623 제주 제주시 한라수목원

    섬회양목(Buxus koreana for. insularis (Nakai) Kim & Kim) : 능선따라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3 Windows촬영일자2012:06:23 14:30:24촬영자moohim감도(ISO)32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160조리개 값f/5.6촛점거리10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Manual사진 크기1024 X 772원본사진 크기3508 X 2644

  • 박용석nerd 2015.09.18 18:19:03 촬영일시 : 20090906 전남 신안군 가거도

    섬회양목(Buxus koreana for. insularis (Nakai) Kim & Kim) : 능선따라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T30촬영일자2009:09:06 09:06:31감도(ISO)125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unknwon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600조리개 값f/5.6촛점거리633/100조리개 최대개방58/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3072 X 2304 섬회양목(Buxus koreana for. insularis (Nakai) Kim & Kim) : 능선따라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T30촬영일자2009:09:06 09:06:51감도(ISO)125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unknwon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000조리개 값f/5.6촛점거리633/100조리개 최대개방58/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3072 X 2304 섬회양목(Buxus koreana for. insularis (Nakai) Kim & Kim) : 능선따라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T30촬영일자2009:09:05 14:42:23감도(ISO)125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unknwon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600조리개 값f/3.5촛점거리633/100조리개 최대개방58/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3072 X 2304

  • Profile 추풍 2020.01.23 11:54:02 촬영일시 : 20190530 제주 제주시 한라수목원

    섬회양목(Buxus koreana for. insularis (Nakai) Kim & Kim) : 능선따라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D소프트웨어PhotoScape촬영일자2019:05:30 09:30:15감도(ISO)4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부분측광노출시간1/60조리개 값f/4.0촛점거리3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1536원본사진 크기5472 X 3648 섬회양목(Buxus koreana for. insularis (Nakai) Kim & Kim) : 능선따라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D소프트웨어PhotoScape촬영일자2019:05:30 09:30:18감도(ISO)4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부분측광노출시간1/125조리개 값f/4.0촛점거리3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5472 X 3648 섬회양목(Buxus koreana for. insularis (Nakai) Kim & Kim) : 능선따라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D소프트웨어PhotoScape촬영일자2019:05:30 09:30:38감도(ISO)4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부분측광노출시간1/80조리개 값f/4.0촛점거리3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1536원본사진 크기5472 X 3648

    .

  • 산들꽃 2024.01.18 11:25:13 촬영일시 : 20240117 경남 진주시 경남수목원

    섬회양목(Buxus koreana for. insularis (Nakai) Kim & Kim) : 능선따라EXIF DB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600소프트웨어Digital Photo Professional촬영일자2024:01:17 14:10:30감도(ISO)2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0/100조리개 값f/5.0촛점거리220/10조리개 최대개방39/10노출보정0/6플래쉬Not Fired35mm 환산22화이트밸런스Auto원본사진 크기1024 X 684

    섬회양목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569

식물이름 학명 조회
섬회양목 [1/6]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uxus koreana for. insularis   회양목과   회양목속   1,889
황칠나무 [2/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endropanax trifidus   두릅나무과   황칠나무속   3,153
황새풀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iophorum vaginatum   사초과   황새풀속   1,654
큰황새풀 [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iophorum latifolium   사초과   황새풀속   2,030
참황새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iophorum angustifolium   사초과   황새풀속   1,628
작은황새풀 [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iophorum gracile   사초과   황새풀속   3,566
설령황새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iophorum brachyantherum   사초과   황새풀속   2,133
두메황새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iophorum japonicum   사초과   황새풀속   1,349
눈썹황새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iophorum russeolum   사초과   황새풀속   120
황새냉이 [11/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damine flexuosa   배추과   황새냉이속   3,587
통영미나리냉이 [0/2] Cardamine leucantha var. toensis   배추과   황새냉이속   1,562
털싸리냉이 Cardamine impatiens var. eriocarpa   배추과   황새냉이속   1,363
큰황새냉이 [5/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damine scutata   배추과   황새냉이속   3,458
큰는쟁이냉이 [0/1] Cardamine komarovii for. macrophylla   배추과   황새냉이속   1,749
참고추냉이 Cardamine koreana   배추과   황새냉이속   1,543
좁은잎미나리냉이 국가표준식물목록 Cardamine schulziana   배추과   황새냉이속   1,564
좁쌀냉이 [7/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damine fallax   배추과   황새냉이속   5,305
좀냉이 [2/3]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damine parviflora   배추과   황새냉이속   1,857
제주싸리냉이 국가표준식물목록 Cardamine nakaiana   배추과   황새냉이속   1,385
왜갓냉이 [0/2] 국가표준식물목록 Cardamine yezoensis   배추과   황새냉이속   2,100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