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토끼풀, 단풍나무, 황기, 말발도리, 물참대, 실별꽃, 장미, 해당화, 금낭화, 정향풀,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이끼,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섬꿩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상록다년초
꿩고사리과(Plagiogyriaceae) 1속 (양치식물문/고사리강/나무고사리목)
꿩고사리속(Plagiogyria) 2종
국명섬꿩고사리(희귀멸종위기 식물 : CR 멸종위기종)
학명Plagiogyria japonica Nakai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중국, 대만, 타이완,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형태
  • 2형으로 영양엽의 경우 길이 11.2-40cm로 회갈색이며, 포자엽은 길이 32.5-69.7cm로 갈색이다. 2형으로 난상장타원형이며, 포자엽은 영양엽보다 길다. 영양엽은 1회우상이며, 길이 15-47.5cm, 너비 8.7-40cm로 중축 앞면에 2줄의 홈이 있고, 뒷면은 둥글다. 우편은 직각으로 붙으며, 좁은 피침형으로 자루가 없고, 끝부분에만 또는 전체적으로 얕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포자엽은 1회우상이며, 길이 16.7-60.4cm, 너비 4.5-15.6cm로 우편은 선형이고, 짧은 자루가 있다. 최하우편은 피침형으로 길이 4.7-10.7cm이다.
  • 포자낭군은 2개로 갈라진 엽맥의 가지에 달리며 뒤로 말린 잎 가장자리로 덮임. 환대는 포자낭의 둘레를 완전히 돈다.
  • 굵기 2.8cm로 짧고 굵으며, 잎이 총생한다.
  • 근경은 덩어리로 되며 털과 인편이 없고 잎이 총생.
서식지산지 숲 속
개요산지의 숲속에서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하는 양치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짧고 굵다. 잎은 모여난다. 영양잎은 길이 20~40cm, 폭 15cm쯤이며, 잎자루는 길이 15~40cm이다. 1회 깃꼴로 갈라지며, 중축 앞면에 2줄의 홈이 있고, 뒷면은 둥글다. 갈래조각은 좁은 피침형으로 우축에 직각으로 붙으며, 아랫부분은 흘러 날개가 된다.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며, 끝이 뾰족하다. 영양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위쪽 가장자리가 날카로우며, 측맥은 2개씩 갈라진다. 포자잎은 길이 30~60cm이며, 잎자루의 아랫부분의 단면은 삼각형이다. 1회 깃꼴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선형으로 짧은 자루가 있다. 포자낭군은 포자잎의 갈래조각에 뒤로 젖혀진 잎 가장자리에 붙는다. 포자는 7~9월에 형성한다. 우리나라 경상남도, 제주도 등에 자생하며, 타이완, 일본, 중국, 인도 등에 분포한다. 꿩고사리에 비해 영양잎의 갈래조각은 자루가 없고, 포자잎의 아래쪽 갈래조각은 짧은 자루가 있어 구분된다.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동정키꿩고사리(P. euphlebia (Kunze) Mett.)는 섬꿩고사리에 비해 영양엽의 우편에는 짧지만 확실한 자루가 있으며, 엽병하부의 단면은 삼각형이고, 끝에 가깝게 달린 우편의 기부는 중륵을 기준으로 아래쪽이 더 넓게 붙는다. 일본과 중국에 주로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에만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확인하지 못하였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3)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염소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egilops cylindrica   벼과   염소풀속   980
좀꾸러미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radula   벼과   포아풀속   980
두메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malacantha var. shinanoana   벼과   포아풀속   976
좀미꾸리광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orreyochloa pallida   벼과   좀미꾸리광이속   975
털가침박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xochorda serratifolia var. oligantha   장미과   가침박달속   969
담상이삭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achyelytrum japonicum   벼과   담상이삭풀속   964
고사리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tapodium rigidum   벼과   고사리새속   958
자주이대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seudosasa japonica var. purpurascens   벼과   이대속   953
외대쇠치기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emochloa ophiuroides   벼과   외대쇠치기아재비속   952
좀낭아초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amaerhodos erecta   장미과   좀낭아초속   952
이삭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bulbosa subsp. vivipara   벼과   포아풀속   951
애기향모 [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ierochloe glabra   벼과   향모속   942
이란미나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saea heterocarpa   산형과   이란미나리속   941
좀겨풀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ersia oryzoides   벼과   겨풀속   940
아메리카대극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phorbia heterophylla   대극과   대극속   937
섬꿩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lagiogyria japonica   꿩고사리과   꿩고사리속   924
마디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acroleuca var. submoniliformis   벼과   포아풀속   922
일엽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aplopteris flexuosa   봉의꼬리과   일엽아재비속   921
애기개올미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crum caricinum   사초과   애기개올미속   918
탐라민바랭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gitaria violascens var. lasiophylla   벼과   바랭이속   918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