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섬공작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섬공작고사리(Adiantum monochlamys D.C.Eaton) : 무심거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2 Windows촬영일자2011:10:23 14:32:34촬영자moohim감도(ISO)640촬영모드0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60조리개 값f/5.6촛점거리10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5184 X 3456

    무심거사

  • 상록다년초(난대성 양치류)
봉의꼬리과(Pteridaceae) 8속 (양치식물문/고사리강/고사리목)   ---->공작고사리과(Adiantaceae)
공작고사리속(Adiantum) 4종
국명섬공작고사리(희귀멸종위기 식물 : VU 취약종)
학명Adiantum monochlamys D.C.Eaton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대만, 중국
전체크기높이 50cm.
형태
  • 길이 3.2-19.8cm로 광택이 있는 진갈색이다. 인편은 기부에만 있으며, 1.1-3.2mm로 피침형 또는 침형이고, 진갈색이다. 길이 4.7-24.5cm, 너비 1.7-5.1cm로 삼각상 난형이며, 3회우상복엽이다. 중축은 가늘고, 적갈색이며, 광택이 있다. 우편은 삼각상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밑쪽 절반이 쐐기모양이며, 짧은 자루가 있고, 엽질은 경질(硬質)이다. 최하우편은 길이 0.6-1.3cm로 난형이다.
  • 포자낭군은 각 소엽의 끝부분에 1개씩 달리고 윗가장자리의 오목한 곳에 달리며 원형 또는 신장형이다. 잎 가장자리는 뒤로 말려서 포막처럼 된다.
  • 굵기 1.1-3.7mm로 짧게 기고, 털은 없으며, 잎이 총생한다. 인편은 길이 1.1-3.7mm로 흑갈색이며, 피침형 또는 침형이다.
  • 근경은 짧고 단단하며 가로로 뻗는데, 엽병 밑부분과 더불어 흑갈색이 도는 선형 인편으로 덮인다. 흑갈색의 수염 뿌리가 밀생하고 근생엽은 총생한다.
서식지산지의 경사지 암벽
개요낮은 산지의 계곡 그늘진 바위 틈새에서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드물게 착생하는 남방계 양치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짧게 기며, 비늘조각이 빽빽이 붙고, 비늘조각은 흑갈색이다. 잎자루는 적갈색 또는 자갈색이며, 광택이 있고, 기부에 비늘조각이 있다. 잎몸은 난형 내지 삼각형으로 길이 10~25cm, 2~3회 깃꼴겹잎이다. 우편은 6~8쌍이 달리고, 작은잎자루가 있다. 최종 열편은 도란형 또는 도삼각형으로 가장자리는 선단부의 불규칙한 이모양톱니를 제외하고는 밋밋하며, 기부는 쐐기형이다. 잎맥은 여러 번 서로 엇갈린 모양으로 나누어지고, 이모양톱니가 있는 가장자리까지 닿는다. 포자낭군은 열편마다 1개가 달리며, 원형 또는 신장형으로 가짜 포막인 잎 가장자리가 뒤로 말려 싸고 있다. 우리나라 전남, 제주도 등에 자생하며, 중국 남부, 일본 중부 이남, 타이완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잎몸이 2회 깃꼴겹잎으로 난형내지 아삼각형이고, 최종 열편은 도란형 또는 도삼각형인 점에서 공작고사리와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식재하고, 전초를 약용한다. 큰공작고사리, 큰섬공작고사리라고도 한다.
근연종* ▶공작고사리(A. pedatum L.)
▶큰공작고사리 var.plurisorum H.CHRIST : 1개의 소엽에 포자낭군이 2개 이상 달리며 한라산의 영실근처에서 자란다.
동정키봉작고사리(A. capillus-veneris L.)는 본 종에 비해 우편이 부채꼴이며 막질이고 포자낭군은 가장자리에 4-6개가 붙는 특징으로 구분되며 온실에서 재배되고 있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3)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4)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5)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6)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7)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댓글 2

  • Profile 무심거사 2011.10.26 00:37:01 촬영일시 : 20111023 충남 태안군 안면도수목원

    섬공작고사리(Adiantum monochlamys D.C.Eaton) : 무심거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2 Windows촬영일자2011:10:23 14:32:34촬영자moohim감도(ISO)640촬영모드0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60조리개 값f/5.6촛점거리10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5184 X 3456

  • Profile 설뫼 2011.11.12 18:24:23 촬영일시 : 20111023 충남 태안군 안면읍

    섬공작고사리(Adiantum monochlamys D.C.Eaton) : 무심거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5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5 Windows촬영일자2011:10:23 14:29:34감도(ISO)500촬영모드셔터스피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6400조리개 값f/2.7촛점거리52/10조리개 최대개방46/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섬공작고사리(Adiantum monochlamys D.C.Eaton) : 무심거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5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5 Windows촬영일자2011:10:23 14:30:29감도(ISO)800촬영모드셔터스피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6400조리개 값f/2.8촛점거리53/10조리개 최대개방46/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3 X 767원본사진 크기1828 X 1370

    안면도수목원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쇠물푸레나무 [2/3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raxinus sieboldiana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속   4,461
단풍나무 [4/4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er palmatum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   4,460
우단일엽 [2/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yrrosia linearifolia   고란초과   석위속   4,459
병조희풀 [4/5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urticifoli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4,458
산뽕나무 [4/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orus bombycis   뽕나무과   뽕나무속   4,458
설설고사리 [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egopteris decursive-pinnata   넉줄고사리과   설설고사리속   4,458
돌바늘꽃 [5/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pilobium amurense subsp. cephalostigma   바늘꽃과   바늘꽃속   4,456
풀솜나물 [2/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chiton japonicus   국화과   풀솜나물속   4,456
부레옥잠 [4/5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ichhornia crassipes   물옥잠과   부레옥잠속   4,452
박주가리 [8/8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etaplexis japonica   협죽도과   박주가리속   4,451
솔나리 [12/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lium cernuum   백합과   백합속   4,451
비목나무 [3/4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ndera erythrocarpa   녹나무과   생강나무속   4,447
꽃층층이꽃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inopodium chinense var. grandiflorum   꿀풀과   탑꽃속   4,446
반송 [0/16]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소나무과   소나무속   4,446
서양금혼초 [6/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ypochaeris radicata   국화과   금혼초속   4,443
요강나물 [2/3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fusca var. flabellat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4,443
보리장나무 [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laeagnus glabra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   4,438
더덕 [4/5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donopsis lanceolata   초롱꽃과   더덕속   4,437
소경불알 [5/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donopsis ussuriensis   초롱꽃과   더덕속   4,433
도둑놈의갈고리 [2/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ylodesmum podocarpum subsp. oxyphyllum   콩과   도둑놈의갈구리속   4,432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