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해당화, 금낭화, 토끼풀,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정향풀, 층층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개벼룩,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선투구꽃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선투구꽃(Aconitum umbrosum (Korsh.) Kom.) : 벼루EXIF Viewer사진 크기600 X 800원본사진 크기768 X 1024

    벼루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yellow
  • 총상화서,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23속 (피자식물문/목련강/미나리아재비목)
투구꽃속(Aconitum) 32종
국명선투구꽃(희귀멸종위기 식물 : EN 위기종)
학명Aconitum umbrosum (Korsh.) Kom.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중국, 몽골 / 한국(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전체크기높이 1m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고 거의 3개로 갈라지며 측열편은 다시 2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이 있고 양면 맥위에 긴 털이 드물게 있으며, 특히 표면에 많다.
  • 꽃은 7-8월에 피고 황색이며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자루에 꼬부라진 털이 밀생하고 꽃받침조각은 5개로서 꽃잎같으며 겉에 극히 짧고 꼬부라진 털이 있으나 안쪽에서는 긴 털이 밀생한다. 씨방은 3-4개이며 털이 약간 있다.
  • 골돌은 3개이며 암술대는 뒤로 말리고 겉에 꼬부라진 털이 있다.
  •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게 자라며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있다.
  • 뿌리가 굵다.
서식지고산지대에서 자란다.
개요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굵고 곧으며, 나무질로 되고 어두운 갈색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120cm, 지름 3~8mm, 밑부분에는 털이 없고 윗부분에 구부러진 짧고 연한 털이 있다. 뿌리잎은 2~3장으로 잎자루가 길며, 길이 17~46cm다. 잎은 어긋나며 콩팥 모양의 5각형으로 길이 15cm, 폭 20cm쯤이고, 3~5갈래로 깊게 갈라지거나 잎몸 길이의 3/4 정도까지 갈라진다. 잎 양면 맥 위에 긴 털이 성기게 있고, 특히 윗면에 많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총상꽃차례에 성글게 달리고 노란색이다. 작은꽃자루에 굽은 털이 많이 난다. 꽃받침잎은 5장, 위꽃받침잎은 둥근 통 모양으로 거의 구부러지지 않고, 옆꽃받침잎은 둥근 난형, 아래꽃받침잎은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2장, 털은 없다. 열매는 골돌이며, 10월에 익는다. 한반도 평안북도 낭림산, 묘향산, 노봉 등에 나며, 러시아,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줄바꽃에 비해 줄기는 밑에서부터 옆으로 퍼지고 잎은 크며 5갈래로 갈라져 손바닥 모양이 되고, 꽃은 옅은 노란색이며 씨방은 3개다. 선오돌또기라고도 부른다.
동정키▶햇가지에 털이 남.
▶유독식물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6

  • 벼루 2006.02.23 19:01:30 촬영일시 : 2003. 7 남백두

    선투구꽃(Aconitum umbrosum (Korsh.) Kom.) : 벼루EXIF Viewer사진 크기600 X 800원본사진 크기768 X 1024

  • 현촌 2006.02.23 19:40:10

    노랑투구꽃 별미를 맛보고 돌아 갑니다.

  • 벼루 2006.02.23 22:13:05

    노랑투구꽃으로 잘못 동정된 경우가 좀 있습니다.. ^^ 제 동네에서 담은 노랑투구꽃을 올려 볼께요.

  • 벼루 2006.02.28 13:11:48

    첫 백두행이라 동행한 분이 말씀한 노랑투구꽃으로 알고 있다가... 그해 8월 정선, 평창에서 진짜 노랑투구꽃을 만나 둘의 분류에 매우 고심을 했었지요. 분포지, 개화기, 화관모양, 잎을 비교하여 선투구꽃으로 결론을 내었습니다.

  • Profile 바지랑대 2012.09.17 23:03:40 촬영일시 : 20120914 강원 평창군 자생식물원

    선투구꽃(Aconitum umbrosum (Korsh.) Kom.) : 벼루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 카메라모델명DSLR-A350소프트웨어DSLR-A350 v1.00촬영일자2012:09:14 15:27:40감도(ISO)2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25조리개 값f/5.6촛점거리800/10조리개 최대개방497/100노출보정-10/10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120화이트밸런스Manual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3408 X 2272

  • 곰배령 2017.07.11 23:25:02 촬영일시 : 20170706 해외 중국 황송포

    선투구꽃(Aconitum umbrosum (Korsh.) Kom.) : 벼루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A810S소프트웨어A810SKSU1AQD2촬영일자2017:07:06 16:02:53감도(ISO)5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30조리개 값f/1.9촛점거리370/100조리개 최대개방185/100노출보정0/10플래쉬135mm 환산28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768 X 1024원본사진 크기4608 X 3456 선투구꽃(Aconitum umbrosum (Korsh.) Kom.) : 벼루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A810S소프트웨어A810SKSU1AQD2촬영일자2017:07:06 16:02:59감도(ISO)5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30조리개 값f/1.9촛점거리370/100조리개 최대개방185/100노출보정0/10플래쉬135mm 환산28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768 X 1024원본사진 크기4608 X 3456 선투구꽃(Aconitum umbrosum (Korsh.) Kom.) : 벼루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A810S소프트웨어A810SKSU1AQD2촬영일자2017:07:06 16:03:57감도(ISO)64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30조리개 값f/1.9촛점거리370/100조리개 최대개방185/10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28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768 X 1024원본사진 크기4608 X 3456 선투구꽃(Aconitum umbrosum (Korsh.) Kom.) : 벼루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800소프트웨어PhotoScape촬영일자2017:07:07 11:43:12촬영자 감도(ISO)720촬영모드Manual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0/4000조리개 값f/3.5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1/10노출보정-2/6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105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34 X 950원본사진 크기950 X 634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심산구슬봉이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entiana pseudoaquatica   용담과   용담속   188
라벤더 [2/4]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avandula angustifolia   꿀풀과   라벤더속   188
한석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scoparia   사초과   사초속   189
산형나도별꽃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olosteum umbellatum   석죽과   산형나도별꽃속   189
넓은잎큰조롱 [5/3]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boudieri   협죽도과   백미속   189
물꼬리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aequialta   사초과   사초속   190
갈래잎어수리 [3/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eracleum dissectum   산형과   어수리속   190
돌해국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ter asa-grayi   국화과   참취속   191
설악개별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seudostellaria × seoraksanensis   석죽과   개별꽃속   191
진도하늘지기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imbristylis jindoensis   사초과   하늘지기속   192
넓은잎바늘꽃 Epilobium cephalostigma var. nudicarpum   바늘꽃과   바늘꽃속   193
긴다람쥐꼬리 [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uperzia jejuensis   석송과   뱀톱속   193
가시바위솔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stachys fimbriata   돌나물과   바위솔속   193
천마괭이눈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rysosplenium valdepilosum   범의귀과   괭이눈속   193
영주무엽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canorchis japonica var. insularis   난초과   무엽란속   194
참닻꽃 [5/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alenia coreana   용담과   닻꽃속   194
명천바늘꽃 Epilobium cylindrostigma   바늘꽃과   바늘꽃속   195
흰밀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multifolia   사초과   사초속   195
로즈마리 [0/7]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marinus officinalis   꿀풀과   로즈마리속   195
가지제비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ramiflora   제비꽃과   제비꽃속   196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