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말발도리, 산딸나무, 느티나무, 실별꽃, 벚나무, 해당화,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초종용, 황기, 낙우송, 토끼풀,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서울개발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서울개발나물(Pterygopleurum neurophyllum (Maxim.) Kitag.) : 산들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촬영일자2021:06:05 11:59:19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200조리개 값f/7.1촛점거리100/1노출보정-2/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280 X 1920원본사진 크기5184 X 3456

    산들꽃

  • 서울개발나물(Pterygopleurum neurophyllum (Maxim.) Kitag.) : 산들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촬영일자2021:06:05 11:57:35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160조리개 값f/7.1촛점거리100/1노출보정-2/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920 X 1280원본사진 크기5184 X 3456

    산들꽃

  • 서울개발나물(Pterygopleurum neurophyllum (Maxim.) Kitag.) : 산들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촬영일자2021:06:05 11:59:46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200조리개 값f/7.1촛점거리100/1노출보정-2/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920 X 1280원본사진 크기5184 X 3456

    산들꽃

  • 서울개발나물(Pterygopleurum neurophyllum (Maxim.) Kitag.) : 무심거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3 Windows촬영일자2014:06:19 14:29:51촬영자moohim감도(ISO)4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50조리개 값f/16.0촛점거리10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Manual사진 크기683 X 1024원본사진 크기3456 X 5184

    무심거사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 산형화서,
산형과(Apiaceae) 45속 (피자식물문/목련강/미나리목)   ---->미나리과(Apiaceae)
서울개발나물속(Pterygopleurum) 1종
국명서울개발나물(희귀멸종위기 식물 : CR 멸종위기종)(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2급)
학명Pterygopleurum neurophyllum (Maxim.) Kitag.
별명긴잎당근, 나도감자가락잎·나도감자개발나물(북한명),실바디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 한국(서울시 노원구; 전라북도 전주시; 경상남도 양산시)
전체크기높이 80-159㎝
형태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많이 갈라지며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엽초로 되며 2~3회 3출복엽이지만 전체가 우상복엽으로 보이고 길이 10~20cm정도이다. 소엽은 선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다.
  • 꽃은 7-8월에 피고 흰색이며 겹우산모양꽃차례로 달린다. 총산경 윗부분에 산경과 더불어 날개같은 능선이 있고 소산경은 8-10개로서 길이 2.5-4cm이며 총포조각은 길이 7~12mm로서 소산경에 압착되고 소총포는 길이 2-5mm이며 가지에 붙어 있다. 꽃자루는 길이 6-10mm이다.
  • 열매는 타원형으로서 길이 3.5~4mm이다. 8~9월, 분과
  • 높이가 1m에 달하고 원줄기는 속이 비었고 능각이 있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 뿌리는 방추형으로 굵어진다.
서식지습지에 난다.
개요서울개발나물은 미나리과 여러해살이풀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중부 이남 풀밭과 습지에 매우 드물게 살며, 7~8월경에 흰색 꽃이 피고, 8~9월 열매를 맺는다. ‘지촌인삼실바디’, ‘나도감자개발나물’, ‘나도감자가락잎’으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 한국적색목록에 멸종위기범주인 위급종(CR)으로 평가되어 있다.풀밭이나 들판의 습지에 매우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흰색, 육질로 굵어지고 뿌리줄기는 짧다. 줄기는 속이 비어 있으며 능각이 있고 높이 80~120cm,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줄기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짧고 잎집으로 된다. 잎은 2~3회 깃꼴로 갈라지고 갈래잎은 선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겹우산꽃차례를 이룬다. 꽃줄기에 날개 모양의 주름이 있으며 꽃싸개잎은 있거나 없다. 꽃자루는 8~10개, 길이 2.5~4.0cm다. 꽃은 5수성, 꽃잎은 흰색 또는 누런빛이 약간 돌고 끝이 오목하게 들어간다. 열매는 분과, 타원형, 길이 3.5~4.0mm, 8~9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경기, 전북, 전남, 경남 등 중부 이남에 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전 세계 1속 1종으로 한국, 일본, 중국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현재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줄기와 잎을 약용한다. 나도감자가락잎풀, 나도감자개발나물, 실바디, 지촌인삼이라고도 한다.
동정키우리 나라에 1종이 분포하며, 뿌리는 감자개발나물과 비슷하다.
참고문헌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댓글 2

  • Profile 무심거사 2014.06.29 14:55:40 촬영일시 : 20140619 경남 양산시 낙동강변

    서울개발나물(Pterygopleurum neurophyllum (Maxim.) Kitag.) : 무심거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3 Windows촬영일자2014:06:19 14:29:51촬영자moohim감도(ISO)4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50조리개 값f/16.0촛점거리10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Manual사진 크기683 X 1024원본사진 크기3456 X 5184

  • 산들꽃 2021.06.06 17:31:18 촬영일시 : 20210605 경남 양산시 원동면

    서울개발나물(Pterygopleurum neurophyllum (Maxim.) Kitag.) : 무심거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촬영일자2021:06:05 11:59:19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200조리개 값f/7.1촛점거리100/1노출보정-2/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280 X 1920원본사진 크기5184 X 3456 서울개발나물(Pterygopleurum neurophyllum (Maxim.) Kitag.) : 무심거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촬영일자2021:06:05 11:57:35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160조리개 값f/7.1촛점거리100/1노출보정-2/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920 X 1280원본사진 크기5184 X 3456 서울개발나물(Pterygopleurum neurophyllum (Maxim.) Kitag.) : 무심거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촬영일자2021:06:05 11:59:46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200조리개 값f/7.1촛점거리100/1노출보정-2/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920 X 1280원본사진 크기5184 X 3456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

식물이름 학명 조회
서울개발나물 [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terygopleurum neurophyllum   산형과   서울개발나물속   1,575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