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비비추, 말발도리, 산딸나무, 느티나무, 미나리냉이, 황기, 토끼풀, 실별꽃, 박태기나무, 봉숭아, 사과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생열귀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벼루

    벼루

  •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벼루

    벼루

  •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설뫼*

  •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설뫼*

  •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설뫼*

  • 낙엽활엽관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red
장미과(Rosaceae) 42속 (피자식물문/목련강/장미목)
장미속(Rosa) 21종
국명생열귀나무
학명Rosa davurica Pall.
별명해당화, 뱀의찔레, 가마귀밥나무,뱀찔네,붉은인가목,산붉은인가목,생열귀장미,좀붉은인가목,산해당화
원산지한국
분포중국(만주), 일본(훗카이도 및 혼슈), 러시아(시베리아), 한국(중부 이북)
전체크기높이 1~1.5m이다.
형태
  • 잎은 호생하고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이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예두,원저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길이 1~3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회록색이고 작은 선점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엽축 및 탁엽에 선모가 있다.
  • 꽃은 양성화로 5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새가지 끝에 1개 또는 몇개가 달리며 화경에 선모가 있고 꽃받침열편은 5개이고 길이 2cm이며 겉에 선점이 있고 털이 없거나 안쪽에 털이 있으며, 꽃잎은 5개로 넓은 도란형으로서 끝이 오므라지고 홍자색이다. 수술은 많은데 이들은 모두 단지모양의 꽃받침통 변두리에 붙는다. 암술은 여럿으로 꽃받침통속 바닥에 붙어 있다.
  • 열매는 크기 1.0-1.3㎝로 구형이고 선형의 꽃받침이 달려 있으며, 6월에 황홍색으로 익는다.
  • 원줄기는 적갈색이며 털이 없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탁엽 밑에 가시가 있다.
서식지▶산록이나 계곡의 암석지에서 자란다.
▶추위에 강하고 양지와 음지, 바닷가 또는 도심지에서도 생장이 양호하며, 습기가 있는 비옥한 땅에서도 잘 자란다.
개요산지 숲속이나 골짜기 물가에서 높이 1~1.5m가량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모여나며 적갈색으로 털이 없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줄기의 가시는 똑바르게 나는데 종종 마주나기도 한다. 잎은 5~9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며 어긋나게 달린다. 작은잎은 타원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이다. 잎의 양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 밑부분에 턱잎이 변한 한 쌍의 가시가 있다. 작은잎 길이는 2~3cm 정도이다. 5~6월경에 연한 붉은색 꽃이 피는데 새 가지 끝에 1~3개씩 달리며 꽃대에 샘털이 있다. 열매는 구형으로 9~10월에 붉게 익는다. 우리나라 정선, 홍천, 영월 등 강원도 이북에 나며, 일본 혼슈 이북, 중국 동부~동북부, 몽골,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이 종은 인가목에 비해 잎자루에 가시가 있고 작은잎 뒤에 샘점이 있으며 열매가 둥글어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꽃은 향수의 원료로 이용한다.
근연종*▶흰생열귀(for. alba Nakai): 꽃이 흰색이며 북한에 나는데 드물다.
▶긴생열귀(var.ellipsoidea Nakai): 타원형의 열매가 달리며 북부지역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민생열귀(R.silenidiflora): 잎의 뒷면에 선점이 거의 없다.
▶왕가시나무, 개해당화, 흑산가시나무, 용가시나무, 털용가시나무, 축자가시나무, 찔레나무, 털가시나무, 해당화 등이 있다.
참고문헌한반도 수목지 1(2017), Kim, J. S. and T. Y. Kim. 201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688 pp.,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Pp. 519-520.

댓글 26

  • 벼루 2006.02.12 15:20:24 촬영일시 : 2003. 7. 12 백두산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 07-10-02 13:51:12 : 붉은인가목에서 변경(카르마)

  • 벼루 2006.02.12 15:23:35 촬영일시 : 2005. 6. 10 강원도 평창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중산간지 개울가에서 많이 보이는데, 주민들은 산해당화라고 많이 부릅니다.

  • 벼루 2006.02.12 15:24:10 촬영일시 : 2005. 6. 10 강원도 평창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 벼루 2006.02.23 18:16:37 촬영일시 : 2003. 7 백두 (서파)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우측 아래편 봉오리의 열매모양이 중요한 구분점의 하나입니다.
    * 07-10-02 13:51:04 : 붉은인가목에서 변경(카르마)

  • 벼루 2006.02.24 04:48:03 촬영일시 : 2003 강원도 정선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 통통배 2006.03.22 11:47:50 촬영일시 : 2005.6 백두산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막 피어나기 시작한 응달녀석이라 색이 흐려서 민둥인지, 붉은인지 동정하기 한참 힘이 들었습니다.
    * 06-10-30 17:21:55 : 붉은인가목에서 변경(통통배)

  • 현촌 2006.03.22 15:07:34

    해당과 같은 분위기입니다. 추운지방에서 자라는 꽃인가 보네요. 아름답습니다.

  • 벼루 2006.03.25 06:51:14

    통통배님 ^^* 민둥인가목은 확실히 아니고요. 붉은인가목과 생열귀나무 중 하나가 틀림없는데요. 꽃잎의 화사한 연분홍 톤과 꽃받침잎이 꽃잎밖으로 보이지 않는 점에서 생열귀나무 쪽으로 맘이 기울어져요. ^^ 생열귀나무는 이쪽에서도 저지대 산자락이나 개울가에서 가

  • 통통배 2006.08.08 18:08:31 촬영일시 : 2006.07 백두산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 07-10-02 13:50:55 : 붉은인가목에서 변경(카르마)

  • 별꽃 2006.08.31 20:19:05 촬영일시 : 2006.7.20 백두산(왕지)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 07-10-02 13:50:46 : 붉은인가목에서 변경(카르마)

  • 벼루 2007.01.20 16:54:41

    전형적인 붉은인가목의 모습이네요. 참 반가운 아이 ^^~

  • 별꽃 2010.06.15 08:06:10 촬영일시 : 20100601 경기 부천시 소사구 성주산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 산들꽃 2010.06.21 20:50:38 촬영일시 : 20100620 강원 인제군 방태산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생열귀나무

  • Profile 무심거사 2011.09.09 23:08:47 촬영일시 : 20110716 북한 백두산 왕지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 현촌 2012.06.22 03:07:21 촬영일시 : 20120611 강원 평창군 한국자생식물원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붉은색 찔레꽃은 처음 봤습니다.


    * 12-07-06 11:45:40:찔레꽃에서 변경(카르마)

  • Profile 바지랑대 2012.09.17 21:55:46 촬영일시 : 20120914 강원 평창군 병내리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 꽃사랑 2013.06.10 17:05:08 촬영일시 : 20130526 인천 남동구 인천대공원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 곰배령 2013.09.20 21:52:59 촬영일시 : 20121025 경기 포천시 국립수목원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꽃-5.28

  • Profile 설뫼* 2014.06.29 22:32:59 촬영일시 : 20140727 경기 포천시 국립수목원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 Profile 도리뫼 2014.09.28 08:21:34 촬영일시 : 20140927 강원 평창군 선자령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 Profile habal 2016.05.26 00:01:01 촬영일시 : 20160525 충남 아산시 도산초실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 Profile habal 2016.05.26 00:05:47 촬영일시 : 20160525 충남 아산시 도산초실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잎 뒷면에 선점이 보이고 엽병과 탁엽및 그리고 나무 아래부분에는 가시가 있다.

  • Profile 바지랑대 2016.06.01 14:12:25 촬영일시 : 20160530 강원 태백시 태백산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 Profile 설뫼* 2016.06.05 15:33:23 촬영일시 : 20160525 강원 인제군 자원식물원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 곰배령 2016.06.14 22:50:04 촬영일시 : 20160607 해외 중국 백두산야생화탐사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 Profile 설뫼* 2017.05.24 18:41:45 촬영일시 : 20170519 인천 남동구 인천수목원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 설뫼*

    열매 → 2017.07.15 촬영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29

식물이름 학명 조회
해당화 [4/9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a rugosa var. rugosa   장미과   장미속   5,460
찔레꽃 [6/6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a multiflora   장미과   장미속   4,953
인가목 [2/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a acicularis   장미과   장미속   4,729
돌가시나무 [3/3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a lucieae   장미과   장미속   4,681
흰인가목 [6/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a koreana   장미과   장미속   4,560
덩굴장미 [4/39]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   장미과   장미속   4,534
생열귀나무 [5/2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a davurica   장미과   장미속   4,344
용가시나무 [0/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a maximowicziana   장미과   장미속   2,582
노랑해당화 [1/4]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a xanthina   장미과   장미속   2,470
국경찔레 [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a jaluana   장미과   장미속   2,390
대청가시나무 [3/1] 국가표준식물목록 Rosa taisensis   장미과   장미속   2,251
목향장미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a banksiae   장미과   장미속   2,172
둥근인가목 [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a spinosissima   장미과   장미속   2,109
흰생열귀나무 [0/1] 국가표준식물목록 Rosa davurica f. alba   장미과   장미속   2,094
긴돌가시나무 [0/1] Rosa wichuraiana f. ellipsoidea   장미과   장미속   2,061
흑산가시 [4/1]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a kokusanensis   장미과   장미속   2,003
긴생열귀 [0/2] Rosa davurica var. ellipsoidea   장미과   장미속   1,985
홍돌가시나무 [0/2] Rosa wichuraiana for. rosiflora   장미과   장미속   1,903
만첩해당화 [1/3]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a rugosa for. plena   장미과   장미속   1,849
민해당화 Rosa rugosa var. chamissoniana   장미과   장미속   1,706

  • 1
  • 2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