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토끼풀, 정향풀,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층층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개벼룩, 해당화, 덩굴장미,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새우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새우나무(Ostrya japonica Sarg.) : kplant1EXIF Viewer

    kplant1

  • 낙엽 활엽 교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자작나무과(Betulaceae) 5속 (피자식물문/목련강/참나무목)
새우나무속(Ostrya) 1종
국명새우나무
학명Ostrya japonica Sarg.
별명모새남, 모세낭(제주)
원산지한국
분포중국, 일본; 제주특별자치도 및 전라남도 남해안 일대.
전체크기높이 20m, 지름 70cm.
형태
  • 잎은 어긋나기이고 달걀꼴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5 ~ 10(12)cm, 폭 3 ~ 4.5cm로서 긴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깊은 이중거치가 있고 측맥은 8~17쌍이며 처음에는 양면에 곧추선 잔털(연모)이 있어 비로드처럼 보이며 나중에는 없어지나 뒷면 맥상에만 끝까지 남는다. 잎자루는 길이 2~8mm로서 털과 샘털이 드문드문 있다.
  •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7월 개화하고 수꽃차례는 대가 없이 전년도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3cm정도이고 수꽃은 비늘잎 속에 들어 있으며 수술은 다수이다. 암꽃차례는 신년지 끝에서 위를 향해 피고 암꽃은 각 비늘잎에 2개씩 들어 있으며 암술머리도 각각 2개이다
  • 과수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5cm로서 약간 밑으로 처지며 포는 길이 1~1.8cm로서 톱니가 없고 타원상 달걀꼴이며 기부 가까이에 잔털이있고 기부가 주머니처럼 되어 소견과를 둘러싼다. 소견과는 긴 달걀꼴이며 길이 5 ~ 6mm로서 윗부분에 털이 없고 암술대가 남으며 8월 말 ~ 10월에 익는다.
  • 높이 20m, 지름 70cm이며 나무껍질은 갈색 또는 회갈색이고 얕게 세로로 갈라진다. 가지는 적갈색이며 일년생가지에 밀모 또는 샘털이 있다.
서식지▶우리 나라 남부 산 중턱 이하의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제주특별자치도의 낙엽활엽수림에서 드물게 나타난다.
개요해발고도 150~1,800m의 산지 골짜기에서 높이 20m, 지름 70cm 정도로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5~13cm, 폭 3~5cm, 밑은 둥글거나 뾰족하고 끝은 점차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잎 양면에 곧추선 털이 있으며 측맥은 8~17쌍이다. 잎자루는 길이 2~8mm로서 샘털이 성기게 난다. 꽃은 5월에 암수한그루로 핀다. 수꽃이삭은 보통 묵은 가지에 달리고 길이 3cm 정도이다. 암꽃이삭은 햇가지에 끝에서 위를 향해 피며, 포린 속에 2개씩 들어 있다. 열매이삭은 타원형이고 길이 4~5cm로 밑으로 처지며, 포는 길이 1.0~1.8cm로 톱니가 없다. 열매는 견과,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5~6mm이고, 9~10월에 익으며, 암술대가 남아 있다. 우리나라 전라남도 해남, 완도, 제주도에 자생하며, 일본 홋카이도 중부, 중국 중남부 등에 분포한다. 서어나무속은 나무껍질이 매끈하며 열매의 포가 퍼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 데 비해서, 이 종은 나무껍질이 벗겨지며 포가 열매를 감싸며 톱니가 없으므로 구분된다. 목재는 건축재, 가구재, 기구재 등으로 쓴다.
근연종* ▶좀새우나무 (var.homochaeta HONDA) : 샘털이 거의 또는 전혀 없다.
동정키▶우리 나라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를 비롯 난대지역에서 자라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북해도까지 자라고 있은 것으로 보아 난대성 수종임을 알 수 있다.
▶서어나무와 다른 점은 웅화서가 전년에 생겨서 월동하며 열매의 총포가 주머니처럼 생겼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3)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댓글 4

  • kplant1 2007.07.20 09:50:28 촬영일시 : 8월 제주도

    새우나무(Ostrya japonica Sarg.) : kplant1EXIF Viewer

    남녁에 자라는 떨기나무.

  • kplant1 2007.07.20 09:51:40 촬영일시 : 8월 제주도

    새우나무(Ostrya japonica Sarg.) : kplant1EXIF Viewer

    남방계 나무

  • Profile 봄까치꽃 2014.08.09 16:16:23 촬영일시 : 20140809 전남 완도군 완도읍 정도리 구계등

    새우나무(Ostrya japonica Sarg.) : kplant1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 Techwin카메라모델명소프트웨어510062촬영일자2014:08:09 11:31:13감도(ISO)63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5조리개 값f/3.5촛점거리66/10조리개 최대개방116/32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39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새우나무(Ostrya japonica Sarg.) : kplant1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 Techwin카메라모델명소프트웨어510062촬영일자2014:08:09 11:31:20감도(ISO)63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20조리개 값f/3.5촛점거리66/10조리개 최대개방116/32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39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 Profile 晴嵐 2022.12.13 00:53:07 촬영일시 : 20221211 전남 완도군 군외면 대문리

    새우나무(Ostrya japonica Sarg.) : kplant1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N986N소프트웨어N986NKSS1FVHC촬영일자2022:12:11 14:31:58감도(ISO)2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120조리개 값f/1.8촛점거리700/100조리개 최대개방169/100노출보정0/10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25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900 X 1200원본사진 크기4000 X 3000 새우나무(Ostrya japonica Sarg.) : kplant1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N986N소프트웨어N986NKSS1FVHC촬영일자2022:12:11 14:32:23감도(ISO)64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160조리개 값f/2.2촛점거리220/100조리개 최대개방227/100노출보정0/10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13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900 X 1200원본사진 크기4000 X 3000

    새우나무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40

식물이름 학명 조회
섬오리나무 Alnus japonica var. serrata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21
수우물오리 국가표준식물목록 Alnus incana subsp. tchangbokii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41
좀잎산오리나무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lnus inokumae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109
설령오리나무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lnus vermicularis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110
왕사방오리 국가표준식물목록 Alnus firma var. hirtella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1,244
털만주오리나무 Alnus mandshurica for. pubescens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1,394
잔털오리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lnus × mayrii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1,437
덤불오리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lnus alnobetula subsp. fruticosa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1,466
함북오리나무 Alnus mandshurica for. barbinervis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1,468
떡오리나무 Alnus borealis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1,498
웅기오리나무 Alnus japonica var. reginosa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1,571
털오리나무 [0/1] Alnus japonica var. koreana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1,614
당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var. brevicalycina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   1,624
병개암나무 Corylus hallaisanensis   자작나무과   개암나무속   1,647
좀사방오리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lnus pendula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1,684
민물오리나무 Alnus hirsuta for. glabra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1,719
좀산서어나무 [0/1] Carpinus turczaninovii var. arguta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   1,732
긴서어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pinus laxiflora var. longispica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   1,787
좀자작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etula fruticosa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1,877
새우나무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strya japonica   자작나무과   새우나무속   1,938

  • 1
  • 2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