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정향풀, 토끼풀, 은방울꽃,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새모래덩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벼루

    벼루

  •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통통배

    통통배

  •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꽃천사

    꽃천사

  •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塞翁之馬

  • 낙엽 활엽 덩굴식물.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Light Yellow
  • 원추화서,
방기과(Menispermaceae) 4속 (피자식물문/목련강/미나리아재비목)   ---->새모래덩굴과(Menispermaceae)
새모래덩굴속(Menispermum) 2종
국명새모래덩굴
학명Menispermum dauricum DC.
원산지한국
분포중국, 일본; 한반도 전역.
전체크기길이 1~3m.
형태
  • 잎은 어긋나기로 첨두 심장저이고 3~7각이거나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와 폭이 각각 5~13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 3~10㎜로서 가장자리에서 6~10㎜ 떨어져 방패처럼 달려 있다.
  • 꽃은 암수딴그루로 4월 말 ~ 6월 초에 연한 노란색으로 피고 원뿔모양꽃차례는 가지 옆에 달린다. 수꽃은 꽃받침조각이 4~6개, 꽃잎이 6~10개, 수술은 12~20개이고 암꽃은 3개의 심피와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진 1개의 암술이 있다.
  • 열매는 둥글며 검은색으로 지름이 1cm이고 종자는 편평하며 둥근 콩팥모양으로 지름이 7mm정도로 요철이 심한 홈이 있으며 9월에 성숙한다.
  • 줄기에 털이 없고 길이 1~3cm로서 길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녹색의 원주형이다.
  • 뿌리를 만주방기(滿洲防己)라 한다.
서식지▶각지의 응달이나 돌담 근방에서 자란다.
▶산기슭 양지쪽에 나며 추위에 강하고 양지와 음지에서 모두 잘 자란다.
▶내건성이 강하며 습기있는 땅을 좋아하고, 해안지방이나 도심지에서도 잘 자란다.
개요산기슭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길이 1~3m, 다른 물체를 감는다. 잎은 어긋나며, 홑잎, 둥근 심장 모양, 길이와 폭은 각각 7~13cm, 가장자리는 5~9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잎자루는 길이 5~15cm, 방패 모양으로 붙는다. 잎 앞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흰빛을 띤다. 꽃은 4~6월에 암수딴포기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난 원추꽃차례에 달리고, 연한 노란색이다. 수꽃은 꽃받침잎 6장, 꽃잎 4장, 수술 12~24개, 꽃받침잎이 꽃잎보다 크다. 암꽃은 꽃받침잎 4장, 꽃잎 6장이다. 열매는 핵과, 9~10월에 검게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동시베리아,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잎몸은 원형으로 가장자리에 3~7개의 얕은 결각이 있는 점에서 밋밋한 함박이와 구별된다. 뿌리를 약용한다. 가막덩굴이라고도 한다.
근연종* ▶털새모래덩굴(M. dauricum var. pilosum SCHNEID.): 주맥기부와 엽병 상부에 털이 약간 있으며 설악산 이북에서 자란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댓글 36

  • 벼루 2006.02.24 04:45:58 촬영일시 : 2003 강원도 정선 (싹)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통통배 2006.04.03 13:25:54 촬영일시 : 2003.9 강원도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통통배 2006.04.03 13:26:25 촬영일시 : 2003.9 강원도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현촌 2006.05.09 14:02:22 촬영일시 : 2006.04.29 충남농협 2006 벤쳐농업박람회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현촌 2006.05.09 14:03:54 촬영일시 : 2006.04.29. 충남농협 2006 벤쳐농업박람회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버들피리 2006.05.31 15:01:13 촬영일시 : 2006.05.28 경기도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들국화 2006.07.19 14:27:16 촬영일시 : 2006 . 5 . 25 서울신학 대학교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塞翁之馬 2006.09.15 22:42:21 촬영일시 : 2006, 09, 09 한밭수목원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塞翁之馬 2007.05.09 23:37:41 촬영일시 : 2007, 05, 09 대둔산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塞翁之馬 2007.05.09 23:38:23 촬영일시 : 2007, 05, 09 대둔산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꽃사랑 2008.04.08 23:30:24 촬영일시 : 2008.4.6 경기 광주시 초월면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청암 2008.06.26 21:12:42 촬영일시 : 08.6.24 경기 가평군 견치봉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꽃천사 2008.07.09 11:27:02 촬영일시 : 2008.7.5 강원 원주시 솔치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08-07-09 17:01:36 : 단풍마에서 변경(꽃천사)

  • Profile 카르마 글쓴이 2008.07.09 11:30:36

    엽병이 잎중간에 붙는 것이 새모래덩굴은 아닐까요?

  • 꽃천사 2008.07.09 17:02:58

    카르마님 확인하고 이사 왔습니다. 감사합니다.

  • 꽃천사 2008.07.09 17:05:39 촬영일시 : 2008 7 * 5 강원 원주시 솔치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산들꽃 2009.05.06 21:04:41 촬영일시 : 2009년 5월2일 경북 경주시 내남면 비지리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꽃사랑 2009.05.11 20:47:13 촬영일시 : 2009.5.10 충남 아산시 도고산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고들빼기 2009.10.12 10:42:53 촬영일시 : 2009.10.10 대전 동구 계족산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Profile 추풍 2010.06.07 23:15:06 촬영일시 : 20100606 경기 동두천시 소요산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늘봄 2010.09.15 15:32:31 촬영일시 : 20100515 경기 성남시 분당구 불곡산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늘봄 2010.09.15 15:38:51 촬영일시 : 20080831 경남 창녕군 이방면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Profile 무심거사 2010.10.18 19:34:03 촬영일시 : 20101018 강원 인제군 원대리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Profile 바지랑대 2011.05.16 08:47:35 촬영일시 : 20110515 강원 고성군 오호리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Profile 설뫼* 2011.06.13 10:21:50 촬영일시 : 20110611 경기 포천시 죽엽산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현촌 2011.06.15 23:46:55 촬영일시 : 20110603 강원 인제군 원대리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Profile 바지랑대 2011.09.27 09:29:21 촬영일시 : 20110925 강원 평창군 대덕사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Profile 도리뫼 2013.05.26 18:34:00 촬영일시 : 20130526 경기 성남시 분당구 맹산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곰배령 2013.10.26 18:32:58 촬영일시 : 20131026 경기 화성시 우리꽃식물원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Profile 설뫼* 2014.06.02 14:41:24 촬영일시 : 20140529 경기 포천시 국립수목원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수꽃

  • 꽃사랑 2014.07.24 14:02:40 촬영일시 : 20130818 경기 광주시 지월리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Profile 바지랑대 2015.05.09 19:33:05 촬영일시 : 20150509 경기 동두천시 마차산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Profile 설뫼* 2015.05.12 13:11:21 촬영일시 : 20150509 경기 동두천시 마차산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암꽃

  • 박용석nerd 2015.09.18 08:57:27 촬영일시 : 20130608 강원 횡성군 법흥계곡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 꽃사랑 2016.04.26 10:57:09 촬영일시 : 20160424 경기 광주시 오포읍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광주시오포읍제방뚝에서

  • Profile 晴嵐 2023.05.31 09:35:42 촬영일시 : 20230530 강원 영월군 구래리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 塞翁之馬

    새모래덩굴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5

식물이름 학명 조회
새모래덩굴 [4/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enispermum dauricum   방기과   새모래덩굴속   4,189
댕댕이덩굴 [6/5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cculus orbiculatus   방기과   댕댕이덩굴속   7,418
함박이 [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tephania japonica   방기과   함박이속   2,119
방기 [4/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nomenium acutum   방기과   방기속   1,748
털새모래덩굴 국가표준식물목록 Menispermum dauricum f. pilosum   방기과   새모래덩굴속   1,520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