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비비추, 말발도리, 산딸나무, 느티나무, 미나리냉이, 황기, 토끼풀, 실별꽃, 박태기나무, 봉숭아, 사과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산수유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habal

    habal

  •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habal

    habal

  •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塞翁之馬

    塞翁之馬

  •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무심거사

    무심거사

  •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꽃사랑

  • 낙엽 활엽 소교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Yellow
  • 산형화서,
층층나무과(Cornaceae) 2속 (피자식물문/목련강/층층나무목)
층층나무속(Cornus) 8종
국명산수유
학명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별명약조, 석조, 수유
원산지한국
분포경기도와 강원특별자치도 이남에서 널리 식재.
전체크기높이 7m.
형태
  •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형이고 긴 점첨두이며 넓은 예형으로 길이와 폭이 각 4 ~ 12cm × 2.5 ~ 6cm로, 표면은 녹색이며 복모가 약간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 또는 흰빛이 돌며 맥 겨드랑이에 갈색 밀모가 있다.
  • 암수한꽃으로 3 ~ 4월 잎보다 먼저 개화하고 노란색이며 지름이 4 ~ 5mm이고, 우산모양꽃차례에 20 ~ 30개의 꽃이 달린다. 총포조각은 4개이고 노란색이며 길이 6 ~ 8mm로, 타원형 예두이고, 꽃대 길이는 6 ~ 10mm이며, 꽃받침조각은 4개로 꽃받침통에 털이 있고, 꽃잎은 피침상 삼각형이며 길이 2mm이다.
  • 열매는 장과로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 ~ 2cm로 광택이 있고, 종자는 타원형으로 8월에 성숙한다.
  • 높이 7m이며 나무껍질은 벗겨지고 연한 갈색이다. 일년생가지는 처음에 짧은 털이 있으나 떨어지며 분녹색이 돌고 겉열매껍질은 벗겨진다.
서식지서북풍이 막힌 양지 바른 곳이 좋으며 토질은 별로 가리지 않으나 토심이 깊고 비옥적윤한 사질양토로서 배수가 양호한 곳이 좋다. 대체로 비옥한 산간계곡, 산록부, 논뚝,밭뚝의 공한지 등에서 생장이 양호하다. 내한성이 강하고 생장이 빠르다.
개요층층나무목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마을 주변, 민가 근처에 약용이나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낙엽 활엽 작은큰키나무 또는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5~12m,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줄기가 오래되면 껍질 조각이 떨어진다. 잎자루는 길이 5~10mm이며, 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길이 4~10cm, 폭 2~6cm,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앞면은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 또는 흰빛이 돌며, 양면에 털이 난다. 꽃은 3~4월에 피는데 20~30개가 산형꽃차례를 이루고, 지름 4~5mm, 노란색이다. 꽃자루는 가늘고, 길이 1cm쯤, 털이 난다. 열매는 핵과이며, 긴 타원형, 길이 1.0~1.5cm, 10월에 붉게 익는다. 산딸나무에 비해서 꽃은 잎보다 먼저 산형꽃차례를 이루어 피며 노란색이고, 열매는 타원형이므로 구분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열매는 약재로 쓴다. 산시유나무, 산수유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식재한다. 원산지 중국에서는 숲 가장자리, 산 사면에 분포한다.
근연종* ▶층층나무(C. controversa)
▶말채나무(C. walteri Wangerin)
동정키중국으로부터 도입되어 전국에 식재하고 있는 약용수이다. 산골짜기에 얼음이 풀리고 아지랑이가 피는 3월 중순경이면 화사한 황금색 꽃이 피어 약 보름 간 계속되며 가을에 진주홍색으로 익는 열매가 겨울 내내 붙어 있는 아름다운 관상수이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댓글 62

  • Profile 설뫼* 2013.04.08 23:01:50 촬영일시 : 20061015 서울 마포구 하늘공원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 Profile 설뫼* 2013.04.08 23:03:37 촬영일시 : 20080322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공원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 Profile 설뫼* 2013.04.08 23:05:07 촬영일시 : 20130405 경기 오산시 수청동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물향기수목원

  • 꽃사랑 2013.04.11 22:00:13 촬영일시 : 20130401 인천 남동구 남촌동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 항상초보 2013.05.25 21:57:39 촬영일시 : 20130328 서울 강동구 강일동 아파트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 곰배령 2013.08.20 12:46:09 촬영일시 : 20131228 경기 수원시 팔달구 화서2동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 Profile 설뫼* 2013.12.07 11:47:44 촬영일시 : 20131204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 Profile 바지랑대 2014.03.23 07:28:25 촬영일시 : 20140322 서울 동대문구 홍릉수목원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 Profile 도리뫼 2014.10.05 22:14:22 촬영일시 : 20141005 경기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 박용석 2014.10.21 23:13:34 촬영일시 : 20110406 충남 아산시 도산초실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 눈송이 2017.05.02 19:09:52 촬영일시 : 20170330 서울 서대문구 안산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매화보다 앞서 피고 생강나무와 구분하고파서 한컷

  • 산들꽃 2024.03.29 19:41:01 촬영일시 : 20240329 경북 의성군 사곡면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꽃사랑

    산수유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비비추난초 [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ipularia japonica   난초과   비비추난초속   2,600
호자덩굴 [3/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tchella undulata   꼭두선이과   호자덩굴속   4,849
금난초 [6/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ephalanthera falcata   난초과   은대난초속   3,313
흰양귀비 [2/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paver amurense   양귀비과   양귀비속   4,183
정향풀 [9/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msonia elliptica   협죽도과   정향풀속   5,967
오랑캐장구채 [3/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repens   석죽과   장구채속   2,540
산파 [5/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llium maximowiczii   백합과   부추속   3,054
산솜다리 [3/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ontopodium leiolepis   국화과   솜다리속   3,539
부채붓꽃 [4/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ris setosa   붓꽃과   붓꽃속   3,259
버들까치수염 [6/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ysimachia thyrsiflora   앵초과   까치수염속   2,853
백두산떡쑥 [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tennaria dioica   국화과   백두산떡쑥속   3,764
멱쇠채 [3/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orzonera austriaca   국화과   쇠채속   2,154
등대시호 [4/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upleurum euphorbioides   산형과   시호속   2,717
너도개미자리 [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nuartia laricina   석죽과   나도개미자리속   1,871
구름꿩의밥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uzula oligantha   골풀과   꿩의밥속   1,801
갯활량나물 [7/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hermopsis fabacea   콩과   갯활량나물속   3,206
개벼룩 [6/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oehringia lateriflora   석죽과   개벼룩속   4,313
하늘산제비란 [4/9]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latanthera neglecta   난초과   제비난초속   150
주걱끈끈이주걱 [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rosera spathulata   끈끈이귀개과   끈끈이주걱속   1,108
유럽조밥나물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ieracium caespitosum   국화과   조밥나물속   2,017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