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이팝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사동미나리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사동미나리(Cnidium dauricum (Jacq.) Fisch. & C.A.Mey.) : 무심거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촬영일자2012:07:20 12:42:30촬영자moohim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80조리개 값f/7.1촛점거리49/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Manual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5184 X 3456

    무심거사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 산형화서,
산형과(Apiaceae) 45속 (피자식물문/목련강/미나리목)   ---->미나리과(Apiaceae)
천궁속(Cnidium) 4종
국명사동미나리
학명Cnidium dauricum (Jacq.) Fisch. & C.A.Mey.
원산지한국
분포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 우리나라 전역, 백두산지역의 농사동(農事洞)과 삼하면(三下面) 사이에서 자란다.
전체크기높이 50cm
형태
  • 줄기잎은 엽초가 있고 1~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3개 또는 우상으로 갈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맥이 달린 것처럼 두꺼워지거나 약간 뒤로 말려 두꺼워지고 끝이 바늘처럼 뾰족하며 엽병에 줄이 있고 잎맥이 표면에서는 들어가며 뒷면에서는 튀어나온다.
  • 꽃은 8월에 피며 백색이고 겹우산모양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잎과 비슷하지만 가장자리가 넓은 막질로 된 끝에 잎의 흔적이 있으며 화경에 능선이 있다. 총포 및 소총포는 피침형이고 녹색 주맥과 측맥 바깥부분이 녹색부보다 훨씬 넓은 백색 막질이며 끝은 주맥의 연장으로서 뾰족하고 소산경은 한쪽에 불규칙한 돌기가 있다. 씨방은 하위이며 6개의 날개같은 능선이 있고 암술대는 짧으며 끝이 파지고 곧다.
  • 열매는 분과, 능선이 있음. 7~8월에 익는다.
  • 높이 50cm에 달하고 털이 없다.
서식지산지의 초지
개요산지의 초지에서 키는 1m쯤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전체에 털이 거의 없고,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가 많다. 잎은 호생이며 3회 깃꼴겹잎이다. 최종 갈래는 선형이고 가장자리는 뒤로 말려 두꺼워지고 짙은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자루는 밑부분이 넓어져 원줄기를 감싸고 위로 가면 밑부분이 잎집으로 된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흰색이고 겹산형꽃차례에 달리며, 작은산형꽃차례는 20개쯤이다. 모인꽃싸개잎은 선형이고 가장자리는 흰색이며 막질이다. 열매는 분과이며 타원형 또는 날개 모양이며 흰색으로 능선이 10개 있다. 7~8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약재로 재배하는 천궁과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천궁에 비해 잎이 더 가늘게 갈리고 꽃차례에 달려 있는 꽃싸개잎의 가장자리가 투명한 막질인 점에서 구분된다. 열매는 약용하며, 종자는 향료로 이용한다. 개사상자, 돌사상자, 벌궁궁이, 산미나리라고도 한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댓글 2

  • Profile 무심거사 2012.07.20 16:55:19 촬영일시 : 20120720 강원 인제군 진동리(식재)

    사동미나리(Cnidium dauricum (Jacq.) Fisch. & C.A.Mey.) : 무심거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촬영일자2012:07:20 12:42:30촬영자moohim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80조리개 값f/7.1촛점거리49/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Manual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5184 X 3456

  • 벼루 2012.07.23 19:49:24

    새로운 모습을 보네요.~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17

식물이름 학명 조회
삼수구릿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jaluana   산형과   당귀속   1,836
가는바디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stericum maximowiczii   산형과   묏미나리속   1,848
왜방풍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egopodium alpestre   산형과   왜방풍속   1,852
털전호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thriscus sylvestris var. hirtiructus   산형과   전호속   1,890
부전바디 [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nakaiana   산형과   당귀속   1,898
세잎개발나물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um ternifolium   산형과   개발나물속   1,898
그늘참나물 [3/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mpinella brachycarpa var. uchiyamana   산형과   참나물속   1,902
노루참나물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mpinella komarovii   산형과   참나물속   1,921
좁은어수리 [0/5] Heracleum moellendorffii for. angustum   산형과   어수리속   1,972
물개발나물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um suave var. nipponicum   산형과   개발나물속   1,991
피막이 [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ydrocotyle sibthorpioides   산형과   피막이속   1,998
유럽전호 [2/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thriscus caucalis   산형과   전호속   2,017
쌍구슬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ifora radians   산형과   쌍구슬풀속   2,039
제주피막이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ydrocotyle yabei   산형과   피막이속   2,072
대마참나물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ilingia tsusimensis   산형과   속리참나물속   2,072
두메당근 국가표준식물목록 Angelica florenti   산형과   당귀속   2,098
왜천궁 [3/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genuflexa   산형과   당귀속   2,112
사동미나리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nidium dauricum   산형과   천궁속   2,173
큰피막이풀 [1/3] 국가표준식물목록 Hydrocotyle javanica   산형과   피막이속   2,325
개사상자 [3/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orilis scabra   산형과   개사상자속   2,388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