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뿔이삭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다년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수상화서,
벼과(Poaceae) 115속 (피자식물문/백합강/사초목)
뿔이삭풀속(Parapholis) 1종
국명뿔이삭풀(외래식물)
학명Parapholis incurva (L.) C.E.Hubb.
원산지유럽
분포한국(제주)
전체크기높이 10-40㎝
형태
  • 엽신은 길이 0.4~3.0cm, 너비 1~2mm, 가장자리가 깔끔거린다. 0.4~3.0cm 1~2mm 엽초는 광택이 있다. 엽설은 막질로 길이 0.5~1.0mm이다. 0.5~1.0mm
  • 줄기의 엽액과 끝에서 총(raceme)이 한 개씩 나온다. 화서는 원통형이고 길이 1~8cm, 안쪽으로 휜다. 소수는 화축의 폭과 같은 폭이며 1개의 소화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포영은 나란히 붙고 혁질로 용골이 없으며 길이 4~6mm, 각각 3~4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3.5~5.5mm, 투명한 막질이며 1맥이 있다. 내영은 호영보다 짧고 투명하다.
  • 영과
  • 줄기는 한 포기에서 여러 개의 줄기를 내어 큰 포기를 이루며 굴절하여 비스듬히 서고 높이 10~40cm이다. 10~40cm
서식지유럽원산의 귀화식물이며 제주특별자치도 및 남해안의 바닷가에 자란다.
개요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해안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 여러 대가 포기를 이루며, 다시 가지를 치고 마디에서 뿌리가 난다. 줄기는 비스듬히 선다. 높이는 10~40cm이다. 잎집은 광택이 있고 털이 없으며 마디 간격보다 짧다. 잎혀는 막질이고 길이 0.5~1.0mm이다. 잎몸은 길이 0.5~3.0cm이고, 너비 1~2mm이다. 꽃은 봄에 피는데 전체 꽃차례는 선형으로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길이는 1~8cm이며, 활처럼 휜다. 작은이삭은 길이 4~6mm로, 꽃이 한 개 들어 있고 축에 밀착하여 달린다. 두 포영은 길이가 비슷하고 4~6mm이고, 맥은 3~4개다. 호영의 길이는 3.5~5.5mm이고 투명한 막질이다. 내영은 호영보다 짧다. 우리나라 전라남도, 제주도 등에 자라며, 인도, 중국, 유럽, 지중해 지역 등에 분포한다. 전체 꽃차례가 휘어 있는 모습 때문에 회초리잔디 또는 뿔이삭풀이라고 하며, 잎몸이 짧고, 꽃싸개잎이 꽃차례를 둘러싸는 점이 특징적이다.
동정키총(raceme)이 줄기의 엽액과 끝에서 한 개씩 나오며, 화서는 원통형이고 길이 1~8cm로 안쪽으로 굽어 소의 굽은 뿔모양처럼 보인다.
참고문헌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VI) (박수현, 1995)

댓글 0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396

식물이름 학명 조회
자주이대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seudosasa japonica var. purpurascens   벼과   이대속   954
외대쇠치기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emochloa ophiuroides   벼과   외대쇠치기아재비속   953
이삭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bulbosa subsp. vivipara   벼과   포아풀속   952
애기향모 [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ierochloe glabra   벼과   향모속   944
좀겨풀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ersia oryzoides   벼과   겨풀속   941
마디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acroleuca var. submoniliformis   벼과   포아풀속   923
탐라민바랭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gitaria violascens var. lasiophylla   벼과   바랭이속   919
성긴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tuberifera   벼과   포아풀속   915
은털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ira caryophyllea   벼과   은털새속   913
자주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glauca   벼과   포아풀속   896
시베리아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sibirica   벼과   포아풀속   853
큰개사탕수수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ccharum arundinaceum   벼과   개사탕수수속   707
그늘납작귀리 [2/3]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asmanthium latifolium   벼과   그늘납작귀리속   206
청쌀새 [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elica grandiflora   벼과   쌀새속   162
팜파스그래스 [0/1]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taderia selloana   벼과   팜파스그래스속   147
사방김의털 [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estuca heterophylla   벼과   김의털속   138
개쇠치기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ttboellia cochinchinensis   벼과   개쇠치기풀속   135
염주개나래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rrhenatherum elatius var. bulbosum   벼과   개나래새속   135
천도미꾸리광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uccinellia pumila   벼과   각시미꾸리광이속   126
털큰참새귀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omus commutatus   벼과   참새귀리속   125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