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북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북사초(Carex augustinowiczii Menish. ex Korsh.) : 추풍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Kiss Digital X촬영일자2008:05:05 10:33:21감도(ISO)200촬영모드Landscape Mode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50조리개 값f/5.6촛점거리50/1노출보정0/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535 X 800원본사진 크기560 X 840

    추풍

  • 다년초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사초과(Cyperaceae) 20속 (피자식물문/백합강/사초목)
사초속(Carex) 226종
국명북사초
학명Carex augustinowiczii Menish. ex Korsh.
별명북바위사초, 지리사초
원산지한국
분포한국(함북, 양강, 평남, 강원, 경기, 경북, 전남), 중국, 일본, 러시아
전체크기높이 30-50㎝
형태
  • 밑부분의 엽초는 연하며 볏짚색이고 겉에 있는 잎이 달린 엽초와 잎이 없는 엽초는 밤빛이 도는 갈색. 잎은 연약, 편평하고 나비 2-4mm이다.
  • 소수는 4-6개이며 정소수는 길이 0.5-1.5㎝, 지름 2-3mm로서 수꽃만 달리거나 윗부분에 암꽃이 달리고 측소수는 암꽃이지만 밑부분에 수꽃이 약간 달리며 길이 1-3㎝, 지름6mm로서 긴 타원형 또는 짧은 원주형이고 곧추선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초가 없고 자화영은 긴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이고 길이 2mm로서 흑자색 또는 흑적색이며 뒷면에 1개의 녹색 맥이 있다. 웅화영은 크고 색이 연하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지 않으며 암술머리는 3개이다.
  • 과포는 포영보다 약간 길며 세모진 난형이고 길이 2.5-4mm로서 가는 맥이 많이 있으며 부리는 짧고 끝이 갈라지지 않는다. 수과는 엉성하게 들어있으며 길이 1.7mm로서 도란상 삼릉형이다.
  • 총생하고 뻗는 줄기는 짧으며 섬세하고 윗부분이 깔깔하다.
서식지▶깊은산 냇가의 바위 겉에서 자란다.
개요산지나 계곡 주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짧다. 줄기는 높이 30~50cm, 가늘고, 단면은 삼각형이며, 꺼끌꺼끌하다. 줄기 아래쪽의 잎몸이 없는 잎집은 갈색이고, 실처럼 갈라졌다. 잎은 선형이며, 줄기보다 짧거나 거의 같고, 폭 2~4mm, 편평하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꽃차례는 4~6개의 작은이삭으로 되어 있고, 서로 떨어져 있고, 곧게 서며, 맨 아래의 것에만 짧은 자루가 있다. 아래쪽의 포는 잎 모양이고, 꽃차례보다 짧고, 잎집이 없다. 위의 포는 거센털 모양이다. 맨 위쪽의 작은이삭은 대개 수꽃이삭이며, 가는 기둥 모양으로 길이 1~2cm, 녹색을 띤 갈색이다. 아래쪽의 작은이삭들은 대개 암꽃이삭이며, 짧은 기둥 모양으로 길이 1~3cm, 폭 2~3mm다. 열매는 타원형으로 길이 1.5~2.0mm, 좀 납작한 삼각상이다. 우리나라 남부 이북에 나며, 러시아 원동지방, 일본 홋카이도 및 혼슈, 중국 동북 및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이 종은 열매가 얇은 막질의 포 안에 헐겁게 들어 있고, 포가 인편보다 2~3배 큰 점에서 다른 종들과 구별된다.
참고문헌한국식물 도해도감 4 사초과(2016)

댓글 2

  • Profile 추풍 2008.05.05 12:31:45 촬영일시 : 2008.5.5 인천 남동구 님구 문학산

    북사초(Carex augustinowiczii Menish. ex Korsh.) : 추풍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Kiss Digital X촬영일자2008:05:05 10:32:45감도(ISO)200촬영모드Landscape Mode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50조리개 값f/5.6촛점거리50/1노출보정0/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535원본사진 크기840 X 560

  • Profile 추풍 2008.05.05 12:33:04 촬영일시 : 2008.5.5 인천 남동구 님구 문학산

    북사초(Carex augustinowiczii Menish. ex Korsh.) : 추풍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Kiss Digital X촬영일자2008:05:05 10:33:21감도(ISO)200촬영모드Landscape Mode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50조리개 값f/5.6촛점거리50/1노출보정0/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535 X 800원본사진 크기560 X 84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북골담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agana manshurica   콩과   골담초속   120
북관중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ryopteris sichotensis   면마과   관중속   1,686
북금매화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rollius chinensis   미나리아재비과   금매화속   99
북만리화 국가표준식물목록 Forsythia mandschurica   물푸레나무과   개나리속   29
북미골풀 국가표준식물목록 Juncus torreyi   골풀과   골풀속   28
북미나리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nunculus natan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498
북민들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araxacum sinicum   국화과   민들레속   138
북바람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emone cathayensis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59
북바위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ryptogramma crispa   고란초과   북바위고사리속   1,976
북방산비장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rratula coronata   국화과   산비장이속   156
북범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istorta manshuriensis   마디풀과   범꼬리속   102
북부싯깃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Cheilanthes kuhnii f. gracilis   비고사리과   개부싯깃고사리속   1,297
북분취 [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ussurea mongolica   국화과   취나물속   3,046
북사초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augustinowiczii   사초과   사초속   1,636
북새발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thyrium melanolepis   꼬리고사리과   개고사리속   1,358
북선메뛰기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amagrostis monticola   벼과   산새풀속   1,168
북선점나도나물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erastium rubescens var. koreanum   석죽과   점나도나물속   1,591
북쇠뜨기 Equisetum arvense var. boreale   속새과   속새속   1,656
북수백산파 국가표준식물목록 Allium stenodon   백합과   부추속   81
북왕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hatusimae   벼과   포아풀속   97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