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물참대, 토끼풀, 해당화, 금낭화, 황기, 융단사초, 정향풀, 층층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말발도리,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별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별고사리(Cyclosorus acuminatus (Houtt.) Nakai) : 설뫼

    설뫼

  • 상록다년초
처녀고사리과(Thelypteridaceae) 7속 (양치식물문/고사리강/고사리목)
별고사리속(Cyclosorus) 5종
국명별고사리
학명Cyclosorus acuminatus (Houtt.) Nakai
별명이삭고사리
원산지한국
분포남쪽 섬에서 자란다.
형태
  • 잎은 드문드문 달리며 엽병은 길이 20-50㎝로서 잔털과 더불어 밑부분에 인편이 있고 인편은 피침형이며 길이 4-6mm로서 갈색. 엽신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30-60㎝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1회우상복엽이고 끝이 갑자기 좁아져서 정우편이 뚜렷하며 중축에 짧은 털이 있고 뒷면에 굳센 털이 섞여 있다. 우편은 선상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대가 없고 절저로서 우상으로 갈라지고 표면 맥 위에 짧은 털, 뒷면 맥위에 퍼진 털이 있다. 열편은 난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로서 끝이 튀어나오고 앞쪽 첫째 열편이 특히 길다.
  • 포자낭군은 가장자리 가까이에 2줄로 달리며 성숙한 것은 서로 붙어 있어서 1줄로 보이고 포막은 둥근 신장형이며 털이 있다.
  • 길게 뻗는 근경에 인편과 더불어 털이 드문드문 있다.
개요산 속이나 길가 양지 등 비교적 해가 잘 드는 곳에서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하는 양치식물이다. 뿌리줄기는 길게 뻗으며 비늘조각과 털이 있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드문드문 달리며, 2회 깃꼴겹잎이다. 잎몸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30~60cm이며, 2회 깃꼴겹잎이며 짙은 녹색이고, 끝이 갑자기 좁아져 정우편이 뚜렷하다. 우편은 피침형이고 대가 없으며, 밑은 자른 모양이고 끝이 점차 좁아져 깃처럼 갈라진다. 잎 양면은 잎줄 위에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20~50cm이고 잔털과 비늘조각이 있다. 비늘조각은 피침형이며 길이 4~6cm이고 갈색이다. 포자낭군은 열편의 가장자리와 가운데 잎맥 중간에 붙거나 가장자리 근처에 붙는다.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 털이 있다. 포자는 6~9월에 성숙한다. 한반도 남부에 자생하며, 타이완,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필리핀 등에 분포한다. 이 종에 비해 탐라별고사리는 뿌리줄기가 짧으므로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이삭고사리라고도 한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3)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4)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댓글 4

  • Profile 설뫼 2007.01.20 10:18:03 촬영일시 : 2006.12.15.13:52 경기 부천

    별고사리(Cyclosorus acuminatus (Houtt.) Nakai) : 설뫼

    부천식물원

  • 통통배 2008.03.26 13:26:08 촬영일시 : 2008.3 제주 서귀포시 .

    별고사리(Cyclosorus acuminatus (Houtt.) Nakai) : 설뫼

  • Profile 무심거사 2012.03.31 23:19:56 촬영일시 : 20120214 해외 일본 대마도

    별고사리(Cyclosorus acuminatus (Houtt.) Nakai) : 설뫼

  • 곰배령 2013.10.26 17:59:21 촬영일시 : 20131026 경기 화성시 우리꽃식물원

    별고사리(Cyclosorus acuminatus (Houtt.) Nakai) : 설뫼 별고사리(Cyclosorus acuminatus (Houtt.) Nakai) : 설뫼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영춘화 [3/3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Jasminum nudiflorum   물푸레나무과   영춘화속   5,307
좁쌀냉이 [7/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damine fallax   배추과   황새냉이속   5,305
기린초 [4/5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edimus kamtschaticus   돌나물과   기린초속   5,293
귀룽나무 [5/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runus padus   장미과   벚나무속   5,283
참나리 [3/8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lium lancifolium   백합과   백합속   5,283
흰진범 [7/5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nitum longecassidatum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5,281
가시상추 [5/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actuca serriola   국화과   왕고들빼기속   5,271
왕고들빼기 [4/6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actuca indica   국화과   왕고들빼기속   5,271
나래회나무 [5/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onymus macropterus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   5,270
서양오엽딸기 [6/26] 국가표준식물목록 Rubus americanus   장미과   산딸기속   5,264
여우오줌 [6/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pesium macrocephalum   국화과   담배풀속   5,257
새우난초 [2/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anthe discolor   난초과   새우난초속   5,255
참빗살나무 [7/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onymus hamiltonianus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   5,254
퉁퉁마디 [2/2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licornia perennans   명아주과   퉁퉁마디속   5,253
개다래 [5/5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tinidia polygama   다래나무과   다래나무속   5,248
수리취 [6/5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ynurus deltoides   국화과   수리취속   5,247
물달개비 [4/6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   물옥잠과   물옥잠속   5,243
매실나무 [4/5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runus mume for. mume   장미과   벚나무속   5,230
둥근바위솔 [2/3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stachys malacophylla   돌나물과   바위솔속   5,229
용담 [5/8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entiana scabra   용담과   용담속   5,226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