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단풍나무, 물참대, 장미, 해바라기, 토끼풀, 말발도리, 실별꽃, 해당화, 금낭화, 황기, 정향풀,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바보여뀌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통통배

    통통배

  •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塞翁之馬

  • 1년생 초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Background and Light Reddish
  • 이삭화서,
마디풀과(Polygonaceae) 12속 (피자식물문/목련강/마디풀목)
여뀌속(Persicaria) 41종
국명바보여뀌
학명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별명점박이여뀌(북한명)
원산지한국.
분포우리 나라 각처에 분포한다.
전체크기높이가 40-80cm 정도로 자란다.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5-10cm, 폭 1-2.5cm로서 양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마르면 원줄기와 더불어 적갈색이 돈다. 잎집의 탁엽은 막질이며 길이 8-13mm로서 복모가 있고 연모는 길이 3-8mm이며 가장자리에도 털이 있다. 잎에 흑색점이 있으며 매운맛이 없고 엽병이 있다.
  • 꽃은 8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연한 붉은빛이 돌고 가지 끝에 달리는 이삭꽃차례는 길이 5-10cm로서 가늘며 밑으로 처져서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화피는 녹색이고 윗부분이 적색이며 5개로 갈라지고 선점이 있으며 열매가 익을 때는 홍록색이 섞여서 나타나므로 한층더 아름답다. 수술은 7-8개,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진 1개의 암술이 있다. 씨방은 구형이다.
  • 열매는 수과로서 길이 2mm정도이며 세모진 달걀모양이고 흑색이며 작은 점이 퍼져 있고, 광택은 없다.
  •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40-80cm이며 홍자색이고 털이 있다.
서식지논두렁이나 냇가에서 자란다.
개요습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키는 40~80cm이고 전체에 샘점이 퍼져 있다. 줄기는 붉은 자주색이고 곧게 서며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5~10cm이고 양면에 짧은 털이 나고 뒷면에 검은색 점과 샘점이 있으며 잎자루가 있다. 잎집 모양의 턱잎은 막질이고 누운털이 있다. 꽃은 8월에 피는데 흰색에 연붉은색을 띠며 가지 끝의 이삭꽃차례에 달린다. 꽃차례는 길이 5~10cm이며 가늘고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은 5장이고 녹색으로 끝이 붉은색이며 샘점이 있다. 수술은 7~8개이다. 씨방은 구형이다.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수과이고 세모진 난형이며 검은색이고 작은 점이 퍼져 있으며 광택은 없다. 우리나라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 등에 나며, 부탄, 인도 시킴,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일년생 식물로 땅속줄기가 없고 꽃이 흰빛이 도는 분홍색 또는 녹색을 띤다는 점에서 여뀌와 비슷하나, 줄기에 털이 빽빽이 나 있고, 잎에 검은색 점이 있으며 매운맛이 없는 특징으로 구분된다. 전초를 약용한다. 점박이여뀌라고도 한다.
근연종*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미꾸리낚시(P. sieboldii):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에 두상으로 달린다.
▶쪽(P. tinctoria): 거의 털은 없고 줄기는 원통 모양, 붉은 자주색이다.
동정키▶전체에 선점이 퍼져 있다.
▶여뀌와 비슷하지만 원줄기에 털이 있고 잎에 흑색점이 있으며 매운 맛이 없고 열매가 세모진 것이 다르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5)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댓글 19

  • 통통배 2006.09.07 14:15:03 촬영일시 : 2006.9 경기도남양주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 통통배 2006.09.07 14:15:35 촬영일시 : 2006.9 경기도남양주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꽃모양만 담았습니다.

  • 塞翁之馬 2006.09.13 21:27:00 촬영일시 : 2006, 09, 06 대전 계족산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 Profile 추풍 2008.08.31 20:18:23 촬영일시 : 2008.8.28 인천 계양구 서구 마전지구 산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 꽃사랑 2008.09.07 21:06:59 촬영일시 : 2008.9.7 충남 아산시 온양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도고

  • 별꽃 2009.08.20 17:19:26 촬영일시 : 09.8.20 경기 부천시 원미구 시민의강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 Profile 능선따라 2009.09.14 01:27:56 촬영일시 : 2009.9.13 경남 밀양시 단장면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 꽃사랑 2009.11.02 17:21:17 촬영일시 : 2009.11.1 서울 마포구 노울공원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 Profile 무심거사 2010.08.08 20:04:08 촬영일시 : 20131013 충북 단양군 단양휴게소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 Profile 바지랑대 2010.09.10 09:04:58 촬영일시 : 20100909 강원 양양군 한계령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 Profile 설뫼* 2010.11.14 09:49:47 촬영일시 : 20101017 경기 의왕시 청계산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 Profile 바지랑대 2012.09.14 22:48:59 촬영일시 : 20120914 강원 평창군 자생식물원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 현촌 2012.09.26 07:02:43 촬영일시 : 20120921 충남 아산시 도산초실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

  • 꽃사랑 2012.10.04 19:02:07 촬영일시 : 20121003 경기 안양시 만안구 수리산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 곰배령 2012.10.06 20:58:52 촬영일시 : 20121005 충남 아산시 도산초실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 현촌 2013.12.20 10:19:37 촬영일시 : 20130819 충남 아산시 도산초실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

  • 꽃사랑 2014.09.10 05:27:50 촬영일시 : 20140909 경기 광주시 동문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 산들꽃 2018.09.17 06:52:24 촬영일시 : 20180916 강원 평창군 선재길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IMG_0523.JPGIMG_0557.JPG

  • Profile 晴嵐 2021.10.04 12:11:17 촬영일시 : 20211004 충남 아산시 도고산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 塞翁之馬

    바보여뀌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비짜루 [4/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paragus schoberioides   백합과   비짜루속   4,892
물별이끼 [1/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litriche palustris   별이끼과   별이끼속   1,972
해국 [3/7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ter spathulifolius   국화과   참취속   6,049
다북개미자리 [0/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leranthus annuus   석죽과   다북개미자리속   2,108
민매화마름 [0/2] 국가표준식물목록 Ranunculus yezoensi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1,828
비진도콩 [4/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umasia truncata   콩과   비진도콩속   1,647
여우구슬 [3/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yllanthus urinaria   대극과   여우구슬속   4,071
추분취 [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hynchospermum verticillatum   국화과   추분취속   1,233
흰동백나무 [0/17] Camellia japonica for. albipetala   차나무과   동백나무속   3,002
작두콩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navalia ensiformis   콩과   해녀콩속   3,424
바위솔 [3/4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stachys japonica   돌나물과   바위솔속   5,916
꽃향유 [5/6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lsholtzia splendens   꿀풀과   향유속   4,350
사철쑥 [3/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rtemisia capillaris   국화과   쑥속   5,221
주홍서나물 [2/3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rassocephalum crepidioides   국화과   주홍서나물속   3,509
울산도깨비바늘 [3/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idens pilosa   국화과   도깨비바늘속   4,401
삽주 [4/5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tractylodes ovata   국화과   삽주속   3,711
마삭줄 [3/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rachelospermum asiaticum   협죽도과   마삭줄속   5,656
진주바위솔 [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stachys margaritifolia   돌나물과   바위솔속   2,404
위성류 [2/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amarix chinensis   위성류과   위성류속   3,950
좁은잎덩굴용담 [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terygocalyx volubilis   용담과   좁은잎덩굴용담속   2,135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