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융단사초,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모시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河志

    河志

  •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河志

    河志

  •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벼루

    벼루

  •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고들빼기

    고들빼기

  •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무심거사

    무심거사

  •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통통배

  •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통통배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violet
  • 원추화서,
초롱꽃과(Campanulaceae) 10속 (피자식물문/목련강/초롱꽃목)
잔대속(Adenophora) 26종
국명모시대
학명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별명모시나물,오시때,게로기
원산지한국
분포전국의 심산 수림 밑이나 계곡 산기슭 등 다소 습한 곳에 군락을 이루어 자생한다. 지리적으로는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체크기높이 40~100cm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며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고 달걀모양 심장형, 달걀모양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5~20cm, 나비 3~8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예저, 원저 또는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 꽃은 8~9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원줄기 끝에서 밑을 향해 엉성한 원뿔모양꽃차례로 된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녹색이며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꽃부리는 길이 2-3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져서 벌어진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씨방은 하위이고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진다.
  • 타원형의 삭과가 결실한다.
  • 높이 40-100cm이다.
  • 뿌리가 굵다.
서식지숲속의 약간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개요산지 숲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거의 갈라지지 않고, 높이 40~10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심장형, 넓은 피침형, 길이 5~20cm, 폭 3~8cm,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하고, 밑이 둥글거나 심장형이다. 잎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1~7cm이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여러 개가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밑을 향하고, 종 모양, 보라색 드물게 흰색, 길이 2~4cm이다. 꽃싸개잎은 피침형,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받침은 녹색, 5갈래, 갈래는 피침형이고 길이 0.5~1cm이다. 꽃부리는 끝이 5갈래로 벌어진다. 수술은 5개이다. 암술은 1개, 보통 꽃부리보다 짧고, 암술머리는 3갈래다. 열매는 삭과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만주, 러시아 우수리 등에 분포한다. 도라지모시대에 비해서 꽃이 작고 원추꽃차례이므로 구분된다. 어린잎은 식용, 뿌리는 약용한다. 모시때, 모싯대라고도 한다.
근연종* ▶흰모시대(for. leucantha HONDA)는 백색 꽃이 핀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47

  • 河志 2005.08.27 00:52:24 촬영일시 : 2005.8.24 영월 매봉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河志 2005.08.27 00:53:18 촬영일시 : 2005.8.24 영월 매봉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벼루 2006.02.25 06:12:57 촬영일시 : 2005. 7 함백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Profile 추풍 2006.07.01 00:47:35 촬영일시 : 2003.8.3 주왕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김새벽 2006.07.02 07:16:53 촬영일시 : 2006.6.24 경기도 성남시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꽃마리 2006.07.10 01:01:22 촬영일시 : 2006.07.07 관악산 자연학습장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김새벽 2006.07.16 10:02:42 촬영일시 : 2006.7.8 두위봉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세임 2006.08.16 10:44:51 촬영일시 : 06.8.5 지리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통통배 2006.09.07 16:29:37 촬영일시 : 2006.9 경기도남양주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통통배 2006.09.07 16:30:20 촬영일시 : 2006.9 경기도남양주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저쪽의 그늘모시대와 비교해보면 털이 있고없고가 확실히 보입니다.

  • Profile 능선따라 2006.10.20 21:57:31 촬영일시 : 2004.9.5 금정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dongnam 2007.07.01 13:53:43 촬영일시 : 2007.7.1 소백산 형제봉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파랑새 2007.07.23 12:08:55 촬영일시 : 2007.7.22 서울 홍릉수목원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현촌 2007.08.03 08:02:26 촬영일시 : 2007.08.01. 한국자생식물원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꽃천사 2007.08.03 16:46:03 촬영일시 : 2007.7.25 중국 북경 승덕산 정상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현촌 2007.08.04 06:09:23

    깨끗한 초롱 같이 생긴 아름다운 꽃 잘 감상하고 감니다.

  • 꽃사랑 2007.08.21 23:39:11 촬영일시 : 2007.8.15 남한산성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강촌 2007.08.27 15:40:14 촬영일시 : 8/24 지리산 노고단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 Profile 추풍 2007.09.02 21:03:49 촬영일시 : 2007.8.21 지리산종주중에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그리운 2007.10.11 21:54:37 촬영일시 : 2007. 7. 20. 오대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Profile 설뫼* 2007.11.24 20:27:34 촬영일시 : 2007.10.21.12:26 서울 동대문구 홍릉숲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2번사진 → 2007.07.25 촬영

  • 별꽃 2008.05.24 21:18:48 촬영일시 : 05.9.24 경기 용인시 처인구 한택식물원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현촌 2008.08.25 06:23:59 촬영일시 : 2008.08.23. 서울 동대문구 홍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청암 2008.08.25 11:54:58

    고문님!!!잔대가 아닌가요? 모시대는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집니다.

  • 별꽃 2008.09.27 10:03:52 촬영일시 : 08.9.21 충남 서산시 웅도에서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현촌 2009.04.29 10:58:44 촬영일시 : 2009.04.25. 서울 동대문구 광릉수목원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고들빼기 2009.07.31 22:54:21 촬영일시 : 2009.7.30 전북 무주군 덕유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꽃사랑 2009.08.15 19:24:24 촬영일시 : 2009.4.19 경기 성남시 수정구 은행동식물관찰원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통통배 2006.03.29 21:38:36 촬영일시 : 2005.8 전남 구례군 지리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로 보입니다.

    삭제해 주시면 교체하겠습니다.


    * 16-07-29 01:09:41:도라지모시대에서 변경(habal)

  • Profile 무심거사 2010.08.09 17:09:22 촬영일시 : 20100809 강원 인제군 원대리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Profile 설뫼 2010.09.09 09:55:08 촬영일시 : 20100822 강원 화천군 사내면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광덕산

  • Profile 추풍 2010.09.16 01:17:44 촬영일시 : 20100828 강원 인제군 아침가리골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Profile johan 2011.08.10 21:57:46 촬영일시 : 20110805 강원 평창군 오대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산들꽃 2011.08.22 10:43:14 촬영일시 : 20110821 전남 구례군 지리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산들꽃 2011.08.22 11:06:42 촬영일시 : 20110821 전남 구례군 지리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산들꽃 2011.08.22 11:08:13 촬영일시 : 20110821 전남 구례군 지리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Profile 도리뫼 2012.08.09 22:55:49 촬영일시 : 20120808 전북 무주군 덕유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곰배령 2012.09.20 02:43:17 촬영일시 : 20110824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통통배 2013.08.08 21:03:11 촬영일시 : 20130801 해외 중국 백두산 인근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와 도라지모시대의 구문은 

    도라지모시대는 총상화서

    모시대는 엉성한 원추화서라고 합니다.

    해서 확실히 구분해 올립니다.

  • 곰배령 2013.08.19 18:49:31 촬영일시 : 20130727 전북 무주군 덕유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Profile 추풍 2013.09.17 22:10:57 촬영일시 : 20130812 경북 문경시 주흘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Profile 추풍 2013.12.03 22:13:10 촬영일시 : 20130831 경기 동두천시 소요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꽃사랑 2014.08.08 23:17:19 촬영일시 : 20140806 경기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 Profile 晴嵐 2021.07.26 08:17:33 촬영일시 : 20210724 강원 선택 함백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

  • Profile 晴嵐 2021.08.02 09:05:12 촬영일시 : 20210801 강원 선택 석병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

  • Profile 晴嵐 2021.08.15 19:26:31 촬영일시 : 20210815 강원 선택 함백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

  • Profile 晴嵐 2021.08.24 13:52:41 촬영일시 : 20210822 강원 선택 구룡령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 통통배

    모시대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털진득찰 [2/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gesbeckia orientalis subsp. pubescens   국화과   진득찰속   3,971
쑥방망이 [5/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necio argunensis   국화과   금방망이속   2,415
부채마 [1/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oscorea nipponica   마과   마속   3,085
절굿대 [4/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chinops setifer   국화과   절굿대속   3,647
금강초롱꽃 [3/4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anabusaya asiatica   초롱꽃과   금강초롱속   5,046
흰금강초롱꽃 [0/15] Hanabusaya asiatica for. alba   초롱꽃과   금강초롱속   2,613
회나무 [2/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onymus sachalinensis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   3,993
싱아 [3/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nogonon alpinum   마디풀과   싱아속   3,847
흰오리방풀 [0/4] Isodon excisus for. albiflorus   꿀풀과   산박하속   2,722
좀돌팥 [4/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gna nakashimae   콩과   동부속   4,046
백양꽃 [3/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ycoris sanguinea var. koreana   수선화과   상사화속   3,606
새삼 [4/3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uscuta japonica   메꽃과   새삼속   4,517
개비름 [1/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maranthus blitum subsp. oleraceus   비름과   비름속   2,602
민산초나무 [0/3] Zanthoxylum schinifolium var. inermis   운향과   산초나무속   1,951
털까마중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olanum sarrachoides   가지과   가지속   2,131
수까치깨 [3/5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choropsis tomentosa   벽오동과   까치깨속   4,714
고마리 [5/8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ersicaria thunbergii   마디풀과   여뀌속   4,978
쥐꼬리망초 [3/4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Justicia procumbens   쥐꼬리망초과   쥐꼬리망초속   4,935
여뀌바늘 [3/3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udwigia epilobioides   바늘꽃과   여뀌바늘속   3,683
미국좀부처꽃 [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mmannia coccinea   부처꽃과   좀부처꽃속   1,932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