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황기,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실별꽃, 낙우송, 은행나무, 백목련, 철쭉,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마디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1년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원추화서,
벼과(Poaceae) 115속 (피자식물문/백합강/사초목)
포아풀속(Poa) 31종
국명마디포아풀
학명Poa acroleuca Steud. var. submoniliformis Makino
원산지일본
분포한국
전체크기높이는 40-50㎝이다.
형태
  • 엽신은 길이 5.1~11.0cm이고, 너비는 1.4~3.9mm이다. 5.1~11.0cm 1.4~3.9mm 엽초는 매끄럽고,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다. 엽설의 길이는 0.5~1.8mm, 예두이다. 0.5~1.8mm
  • 개방원추화서이다. 화서는 길이 5~17cm이고, 거칠며 가지는 한 마디에서 2(~5)개의 가지가 나오고, 길이 1.9~8.5cm이다. 소수의 길이는 3~5mm이고, 2~4개의 소화가 달린다. 포영은 거칠고, 제1포영은 길이 2.0~2.6mm이며, 1맥이나 드물게 3맥이다. 제2포영은 길이 2.3~3.0mm이며, 3맥이다. 소화 기반은 털이 있다. 호영은 길이가 2.3~2.6mm이며, 5맥이고, 맥과 표면은 털이 있다. 내영은 길이가 1.7~2.1mm, 용골과 표면에 연모가 있다. 소화축은 거칠다. 인피는 2개이고, 막질이며, 길이는 0.2mm이다.
  • 영과
  • 한 포기에서 여러 개의 줄기를 내어 곧추선다. 줄기는 높이 17~69cm이고, 납작하며, 마디는 4~6개이다. 줄기 기부는 구근처럼 부풀어 오른다. 17~69cm
서식지저지대 초원에 자란다.
개요낮은 지대 초원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많은 줄기는 모여나서 포기를 이루며, 줄기는 곧게 서며, 아랫부분이 굵게 부푼다. 높이는 17~69cm이고, 4~6개의 마디가 있다. 잎집은 매끈하고 입구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잎혀는 0.5~1.8mm로 막질이다. 잎몸은 길이 5~11cm이고, 너비 1.4~3.9mm이다. 꽃은 4~7월에 핀다. 전체 꽃차례는 줄기의 마디에서 2개 정도의 가지가 나오며, 원추형을 이루고, 길이 5~17cm이다. 작은이삭은 길이 3~5mm로, 꽃이 2~4개 들어 있고, 소화 아래에는 긴 털이 있다. 제1포영은 길이 2.0~2.6mm이고, 제2포영은 2.3~3.0mm이다. 호영은 5개의 맥이 있고, 표면에 연한 털이 있으며, 길이는 2.3~2.6mm이다. 내영은 호영보다 짧다. 우리나라 전라남도, 제주도 등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기본종인 실포아풀과는 줄기 아랫부분이 굵게 부푸는 것으로 구분된다. 구슬실꿰미풀, 섬꾸렘미풀로도 부른다.
근연종*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l): 줄기는 밀생하고 곧게 선다. 잎몸은 황록색, 납작하고 엽초에 털이 없이 매끈하다.
▶가는포아풀(P. mastumurae Hack.): 높이 40-80㎝, 근경은 가냘프고 줄기는 곧게 서거나 밑이 약간 구부러지며 납작하다.
▶눈포아풀(P. palustris L.): 높이 50-100㎝, 근경은 가냘프고 짧으며, 줄기는 밑이 땅을 긴다.
▶섬포아풀(P. takeshimana Honda): 줄기는 밀생, 가냘프고 줄무늬가 있으며 털이 없다. 줄기 윗부분의 잎몸은 꽃차례보다 길기도 하다.
동정키실포아풀(P. acroleuca)과 비슷하지만 줄기 기부가 부풀어 올라 구근형태를 나타낸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0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396

식물이름 학명 조회
두메미꾸리광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eria alnasteretum   벼과   미꾸리광이속   1,104
두메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malacantha var. shinanoana   벼과   포아풀속   977
들새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amagrostis heterogluma   벼과   산새풀속   1,285
라프랜드새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amagrostis lapponica   벼과   산새풀속   987
마디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acroleuca var. submoniliformis   벼과   포아풀속   923
묏억새 국가표준식물목록 Miscanthus sinensis var. ionandros   벼과   억새속   1,566
물대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rundo donax   벼과   물대속   1,309
민메기이삭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ostis canina for. mutica   벼과   겨이삭속   1,309
민바랭이새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crostegium japonicum   벼과   민바랭이새속   1,593
민숲개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achypodium sylvaticum var. miserum   벼과   숲개밀속   1,471
반죽 국가표준식물목록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f. punctata   벼과   왕대속   1,102
백산새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amagrostis angustifolia   벼과   산새풀속   1,136
북선메뛰기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amagrostis monticola   벼과   산새풀속   1,168
붕겐새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amagrostis bungeana   벼과   산새풀속   1,176
빗살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osurus cristatus   벼과   빗살새속   1,006
뿔이삭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rapholis incurva   벼과   뿔이삭풀속   992
사할린새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amagrostis sachalinensis   벼과   산새풀속   1,113
산갯보리 국가표준식물목록 Elymus dahuricus var. villosulus   벼과   갯보리속   1,209
산두 Oryza sativa var. terrestis   벼과   벼속   1,105
산묵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estuca japonica   벼과   김의털속   1,022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