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비비추, 말발도리, 물참대, 토끼풀, 실별꽃, 장미, 해당화, 금낭화, 황기, 정향풀,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이끼,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돌토끼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돌토끼고사리(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 : 설뫼

    설뫼

  • 돌토끼고사리(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 : 무심거사

    무심거사

  • 상록다년초
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4속 (양치식물문/고사리강/고사리목)
돌잔고사리속(Microlepia) 4종
국명돌토끼고사리
학명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대만,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폴리네시아
형태
  • 길이 18.3-72.7cm로 표면에 골이 있다. 위쪽은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기부에는 털이 많고, 길이 1.5-2.7mm로 연갈색이며 피침형이다. 길이 22.5-89.6cm, 너비 10.8-32.8cm로 2회우상복엽이며, 장타원상피침형이다. 중축의 뒷면에는 털이 거의 없다. 열편은 치아상거치가 있고, 뒷면의 엽맥은 튀어나오며 측맥은 가장자리까지 이어진다. 최하우편은 길이 7.3-25.6cm로 장피침형이다.
  • 포자낭군은 톱니 밑에서 가까운 측맥 끝에 달리고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서 털이 없으며 전연(前緣)이 열편 가장자리에 닿는다.
  • 굵기 2.4-5.7mm로 옆으로 뻗고, 지면위로 나오기도 한다. 털은 길이 1.8-3.2mm로 피침형이다.
서식지바닷가의 산야
개요제주도, 전라남도 일부 섬 지역에 자라며, 세계적으로는 중국 남부, 일본 중부 이남, 대만, 인도, 스리랑카, 필리핀 등 아시아 남부의 열대 및 아열대지역에 자란다. 상록성으로 땅속줄기는 길게 옆으로 긴다. 엽신은 넓은 피침형으로 2회 우상복엽이다. 우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소우편은 좁은 타원형으로 우상심열하고, 가장자리는 치상거치가 있으며, 하면은 엽맥 위에 털이 있다. 포자낭군은 단일맥 끝의 잎 가장자리 가까이에 붙는다. 큰 군락을 이루어 자라며, 비교적 최근에 전남의 일부 도서지역의 바닷가에서도 확인된 남방계식물이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댓글 5

  • Profile 설뫼 2006.12.30 15:28:40 촬영일시 : 2006.12.15.13:42 경기 부천시 원미구 부천식물원

    돌토끼고사리(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 : 무심거사

    부천식물원

  • Profile 설뫼 2006.12.30 15:30:30 촬영일시 : 2006.12.14.15:38 경기 부천 (부천식물원)

    돌토끼고사리(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 : 무심거사

  • Profile 무심거사 2012.06.13 19:13:11 촬영일시 : 20120611 제주 서귀포시 천지연

    돌토끼고사리(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 : 무심거사

  • 나무지기 2014.09.14 18:39:06 촬영일시 : 20140914 제주 서귀포시 보목

    돌토끼고사리(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 : 무심거사 돌토끼고사리(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 : 무심거사 돌토끼고사리(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 : 무심거사

    어진이네 옆에서

  • 산들꽃 2022.01.28 07:19:45 촬영일시 : 20220127 경남 진주시 경남수목원

    돌토끼고사리(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 : 무심거사 돌토끼고사리(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 : 무심거사 돌토끼고사리(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 : 무심거사

    돌토끼고사리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4

식물이름 학명 조회
돌토끼고사리 [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crolepia strigosa   잔고사리과   돌잔고사리속   2,731
돌잔고사리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crolepia marginata   잔고사리과   돌잔고사리속   2,835
깃돌잔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crolepia × bipinnata (Makino) Shimura   잔고사리과   돌잔고사리속   1,536
겹돌잔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crolepia pseudostrigosa   잔고사리과   돌잔고사리속   1,906

  • 1

Guest

로그인